• Title/Summary/Keyword: 연구데이터관리

Search Result 7,551,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A Study on Data Resource Management Comparing Big Data Environments with Traditional Environments (전통적 환경과 빅데이터 환경의 데이터 자원 관리 비교 연구)

  • Park, Jooseok;Kim, Inhyun
    • The Journal of Bigdata
    • /
    • v.1 no.2
    • /
    • pp.91-102
    • /
    • 2016
  • In traditional environments we have called the data life cycle DIKW, which represents data-information-knowledge-wisdom. In big data environments, on the other hand, we call it DIA, which represents data-insight-a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data life cycles results in new architecture of data resource management. In this paper, we study data resource management architecture for big data environments. Especially main components of the architecture are proposed in this paper.

  • PDF

A Study on Data Literacy Competency Building Measures: Focusing on Research Data Management Education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을 중심으로 -)

  • Juseop Kim;Suntae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7 no.1
    • /
    • pp.115-137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guide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 data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for researchers affiliated with domestic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order to present the relevant program guide, first,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educational programs for overseas research data management. The educational programs studied and analyzed are RDMRose, RDMLA, DataONE, Digital Research Alliance of Canada, NNLM, PARTHENOS and Coursera.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it was reviewed through the detailed competency of data literacy researched in Korea. As a result of the review, most of the detailed competencies for data literacy were satisfied. Finally, a program guide for researchers was presented by synthesizing the research data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that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develop research data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that can systematically support and activate researchers belonging to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A Study on the Role of Records Center for Dataset Records Management: Focused on Case Study of KR Project Management System (데이터세트 기록관리를 위한 기록관의 역할 연구: KR 사업관리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 Lee, Kyungnam;Choi, Kwanghoon;Yim, Ji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8 no.3
    • /
    • pp.263-285
    • /
    • 2021
  •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urgency and importanc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management and study effective management measures and specific procedures applicable in practice. Particularly, identify dataset records and developing records schedule for records management needs to be presented in detail and specific. This study designed and verified an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raisal procedure of dataset records in public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dataset operating in public institution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role of the participants including the records center in the appraisal process. Through this, useful implications are derived for the development of specific and practical processes and tools for dataset management in the records center.

High Dimensional Index Information Management for Data Availability (데이터의 가용성을 보장하는 고차원 색인 정보 관리)

  • Choi, Hyun-Hwa;Lee, Mi-Young;Lee, Kyu-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874-877
    • /
    • 2010
  • 웹 서비스 혹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써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내용 기반 검색을 지원하기 위하여, 분산 고차원 색인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고차원 데이터의 색인 구조에 대한 연구와 달리, 고차원 색인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지금껏 대부분의 색인 데이터는 빠른 접근을 위하여 트랜잭션 관리 및 데이터의 복구를 제공하지 않은 파일 시스템에서 관리되어 왔다. 그러나,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색인 데이터는 이를 서비스하는 노드의 장애 발생 시에 일부 혹은 전체 데이터에 대한 검색이 이뤄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서비스의 가용성 여부가 중요한 요소인 웹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색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관리하여, 안정성 및 가용성을 보장하면서, 고차원 데이터의 색인 및 검색의 성능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공데이터 품질환경 내 데이터 오류의 발생원인별 보안기술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LEE, Won Jae;Kim, Huy Kang
    • Review of KIISC
    • /
    • v.30 no.4
    • /
    • pp.77-89
    • /
    • 2020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정부의 공공데이터 공개 제도에 따른 공공데이터 품질관리체계를 이해하고, 공공기관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위해 품질 점검을 시행하면서도 효과적인 관리를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공공데이터법과 공공데이터 품질관리체계를 이해하고, 저품질 공공데이터의 오류와 발생원인에 대해 알아본다. 오류 데이터 분석을 통한 보안위협에 따른 위험 분류를 통해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공공데이터를 데이터 품질 점검하여 도메인별 오류데이터를 살펴보고, 오류데이터 발생원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안위협과 공공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측면과 기관 측면의 보안 문제를 분류하였다. 분류된 오류 발생원인별 보안문제를 기준으로 데이터 품질관리를 통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품질관리 오류 개선방향별 데이터보안 정책별 보안기술을 비교 정리하여, 데이터 보안기술을 통한 품질관리 오류 개선 연계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A Study on Building the Scientific Data Repository Involving Human Data and Its Application (인체 데이터를 포함한 과학 데이터 리파지터리의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Lee, Sang-ho;Lee, sa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70.1-170.1
    • /
    • 2012
  • 본 발표에서는 KISTI에서 현재 구축하고 있는 인체 데이터의 현황과 인체 데이터를 포함한 과학 데이터 리파지터리의 구축과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한다. 인체 데이터는 인체 절단면 영상을 중심으로 한 Visible Korean 데이터와 CT, MR 영상과 인체 뼈대 물성을 중심으로 한 Digital Korean 데이터로 나누어지며 이들 데이터의 제작 과정과 활용 내용을 주로 소개한다. 과학 데이터 리파지터리 구축 내용은 현재 국가의 연구개발 예산으로 수행되고 있는 연구과제에서 생성된 다양한 과학 데이터들을 국가적 차원에서 수집, 관리, 유통시키기 위해 기관별 또는 분야별로 과학데이터센터를 육성하고 이를 거점으로 하여 국내의 과학데이터가 수집, 관리, 유통, 활용될 수 있도록 국가적 과학데이터 관리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이렇게 수집된 과학데이터의 활용을 위해 연구자들이 데이터 기반의 연구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데이터 기반의 첨단 연구 환경을 구축하고 연구에 필요한 S/W, H/W 및 기타 필요한 IT 기반의 요소기술들을 개발, 지원한다. 또한 KISTI가 제작 주체가 되어 생산한 상기의 인체 데이터뿐만 아니라 의료 관련 분야의 연구 현장에서 생산되고 있는 다양한 인체 데이터를 수집, 관리, 공유할 수 있도록 인체 데이터 리파지터리를 구축하기 위해 Visible Korean, Digital Korean 데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의료 데이터의 리파지토리를 설계하고 이러한 의료 데이터 기반 연구의 활성화 및 데이터 리파지터리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분야별 커뮤니티 차원의 다양한 대책들을 소개한다.

  • PDF

The Management of GIS Metadata for Interoperability (상호운용성을 고려한 GIS 메타데이터의 관리)

  • Lee, Seong-Jong;Lee, Soon-Hee;Ryu, Keun-H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6a
    • /
    • pp.121-127
    • /
    • 1999
  • 지형공간 정보 시스템의 상호운용성 및 메타데이터에 관한 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모델의 개발과 표준 사양의 정의, 데이터 포맷의 표준화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시스템 상호 운용성을 고려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설계와 구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아직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지형공간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기술 표준화 동향을 수용하며 이기종 분산환경에서 지형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을 지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통합메타데이터 저장소의 형태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설계된 메타데이터 관리자의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기능 명세를 세부적으로 정의하여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메타데이터의 관리방법으로써의 통합메타데이터저장소 시스템과 관리자의 기능을 제시하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Prototype System for Decision Making in the Nature Disaster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분산정보 공유형 인벤토리 프로토타입 개발 방안 연구)

  • Choi, Soo Young;Gang, Su Myung;Kim, Jin-Man;Jo, Yoon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33-633
    • /
    • 2015
  • 재해의 발생 빈도 증가와 불규칙성, 대형화 추세에 따른 SOC 시설물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유관 기관의 재난/재해 정보 수집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각 기관별로 자료가 분산 관리됨에 따라 선제적 재해대응 체계는 갖추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예방적 유지관리체계 구현을 위한 분산정보 공유형 재해대응 인벤토리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인벤토리는 3차원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분산 관리되고 있는 재난/재해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들의 통합적 관리를 위해 데이터 표준화를 거쳐 선제적 재해 대응의 원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벤토리 관리/연계 모듈의 설계 방안을 마련하고자 국내외 인벤토리 관련 시스템 현황조사를 진행하고 관리 및 연계 대상 데이터의 항목을 선정하고 내용을 분류하였다. 또한, 시스템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정의하고 관리/연계 모듈의 세부기능 정의를 하였다. 뿐만아니라,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해 서비스 제공 형태와 데이터 제공 방식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있는 프로토타입은 Web Service 기반의 RES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며, 3차원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해 기본 주재도를 제작하고 연구 지역의 시설물 정보를 구축하였다. 분산정보 공유형 재해대응 인벤토리 시스템은 분산 관리되고 있는 재난/재해 정보들을 자료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수집하고 데이터 필터링 모듈에서 수집된 자료의 표준화와 품질측정을 진행하여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 시킬 것이다. 또한, 데이터 관리 모듈을 이용하여 공간정보 데이터를 검증하고 최적화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시스템 관리 모듈에서 유관기관에서 유입되는 자료들을 관리하고자 한다. 이렇게 구축된 인벤토리 시스템은 선제적 재해대응 의사결정의 원천 데이터를 제공하고 SOC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Core Elements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ervice (연구 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를 위한 핵심요소의 기능적 요건)

  • Kim, Juseop;Kim, Suntae;Choi, Sang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3 no.3
    • /
    • pp.317-344
    • /
    • 2019
  • Increasing the value of data, paradigm shifts in research methods, and specific manifestations of open science indicate that research is no longer text-centric, but data-drive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ervices for DCC, ICPSR, ANDS and DataONE to derive key elements and functional requirements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ervices that are still insufficient in domestic research. Key factors derived include DMP writing support, data description, data storage, data sharing and access, data citations, and data management training. In addition, by presenting functional requirements to the derived key elements,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construct and operate RDM service in the future.

Data Publishing and Library (데이터 출판과 도서관)

  • Jung, Young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1-101
    • /
    • 2017
  • 연구 성과물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다른 연구에도 도움을 주어 또 다른 과학적 발명과 발견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오픈 사이언스의 철학이 전세계적으로 설득력을 얻으면서 연구 데이터 공개 및 출판을 위한 사회적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지난 몇년 동안 글로벌 표준식별자 개발, 메타데이터 및 인용 방식의 표준화, 데이터 리포지토리 구축 등 연구 데이터 공개 및 출판을 위한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학술지 논문의 부속 자료로 여겨지던 데이터(연구 데이터)는 이제 다양한 분야에서 논문과는 독립적으로 데이터 리포지토리에 기탁되어 공개되거나 데이터 저널에 출판되기도 한다. 그러나 학술 논문의 출판과는 달리 데이터 출판은 종종 다른 용어와 의미로 정의되기도 하며 분야마다 데이터 출판의 방식과 구현의 정도가 크게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데이터 공개 및 출판 이니셔티브를 소개하고 데이터의 공적 이용가능성, 문서화, 인용, 식별자 부여, 검증 및 데이터 출판의 단계별 구현 사례를 분석한다. 또한 국내에서 데이터 출판과 관련하여 수행 중인 과제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학술 정보 출판과 연구데이터 관리를 도서관의 기능으로 인식하고 출판과 관련한 다양한 관심사를 논의하는 도서관 중심 이니셔티브를 살펴봄으로써 데이터 출판과 관련한 도서관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