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개발 투자

Search Result 2,27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T 및 BT 분야의 외국인 투자기업의 특허 동향

  • Ryu, Chang-Hwan
    • Patent21
    • /
    • s.55
    • /
    • pp.9-12
    • /
    • 2004
  • 본 조사는 국내 진출한 외국인투자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실태조사로서, 외환위기 이후 외국인투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실시된 본격적인 실태조사로서 의의를 지닌다. 외국인투자는 외국인이 대한민국 법인(설리중인 법인을 포함) 또는 대한민국 국민이 영위하는 기업이 발행한 의결권 있는 주식총수 또는 출자총액의 100분의 10이상을 소유라고, 최소투자금액이 5천만원 이상인 기업을 의미한다. 본서에서는 외국인투자기업의 연구개발 현황을 살피기 위해, 한국에서 출원된 특허를 통한 IT 및 BT 분야 기술 동향을 보다 객관적인 지표로 진단해보고자 한다.

  • PDF

해양수산 투자연계사업 및 민간 VC 등의 투자활성화를 위한 투자용 기술력평가 모형 개발

  • Kim, Kwanghoon;Ahn, Minho;Seo, Juhwan;Kim, Sangg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73-18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해양 및 수산 분야의 투자용 기술력평가모형 개발을 위하여 민간 VC투자 활성화를 위한 평가기법 선행조사를 수행하며, 국내 관련 전문기관 등의 기술투자 관련 기술력평가 모형개발과 활용수준 등을 조사하고, 해외 관련 전문기관의 기술평가모형 현황에 대한 조사·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투자용 기술력평가 모형의 용도와 방향 설정을 위하여 국내 기술투자 관련 전문가 그룹을 활용하여 기술공급자와 수요자 관점에서의 견해를 반영한 투자모형의 용도와 방향설정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술투자 목적의 평가요인을 도출하고, 기술투자자 입장의 평가결과 유효성 검증을 통해 평가결과의 실무적 활용성을 제고시키고자 한다. 기술보증기금에서 개발한 기존의 투자용 기술력평가 모형이 많은 타 기관에 파급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활용수준이 미미한 점을 검토하여 VC의 투자의사결정 요소에 관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해양수산분야 투자용 기술력평가 신규모형을 설계하였다.

  • PDF

Economic Uncertainty and Business Innovation: Focused on Research and Development (경제적 불확실성과 경영혁신: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 Sun-Pil Hwang;Sung-Yong Ryu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8 no.2
    • /
    • pp.11-1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conomic uncertainty on business innovation. To this end, Ahir et al. (2018) World Uncertainty Index (WUI) is selected as a proxy for economic uncertainty, while total R&D investment (RD), capitalized R&D investment (RD_A), expensed R&D investment (RD_E), and the proportion of capitalized R&D investment to total R&D investment (RD_R) are selected as variables representing business innovation.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economic uncertainty (WUI)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ot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RD), asset-based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RD_A), and the proportion of asset-based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RD_R). This relationship remained the same even after controlling for managerial opportunistic accounting behavior (DACC; discretionary accrua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panies focus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as an opportunity for management innovation even in the face of economic uncertain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demonstrating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pport for industrial promotion under economic uncertainty.

Usability Return On Investment Framework Based on Balanced ScoreCard (균형성과지표를 활용한 Usability 투자 성과관리 Framework 개발)

  • 이주환;윤명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241-1242
    • /
    • 2003
  • 본 연구는 Usability의 투자 성과관리(ROI: Return On Investment)를 위한 균형성과지표(BSC: Balanced ScoreCard) 관점에서의 Framework 개발을 목표로 한다. 2000년 이후 Usability에 대한 투자 규모는 높은 증가세를 유지해 왔으나 대규모 투자가 진전되는 가운데 Usability투자의 수익성을 어떻게 확보하고, 그 효과(Effectiveness)는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Usability 투자에 대한 시스템적 성과관리를 위해 개발된 Usability BSC Framework은 BSC의 4가지 관점에서 Usability 투자성과관리에 대한 변형된 관점의 모델을 제안한다.

  • PDF

The Job Creation Effect of Government R&D Expenditures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정부연구개발투자의 제조업 고용창출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 Ha, Tae Jeong;Moon, Sunung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1 no.1
    • /
    • pp.1-26
    • /
    • 2013
  •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analyze the effect of government R&D expenditure on employment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in which employment is rapidly decli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analysis, government R&D expenditure decreases the level of employment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in short term period, but it has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by compensation effect in the middle and long term period. Second, the effect of private R&D expenditure on job creation is three times larger than that of government R&D expenditure. Third, costs of labor and capital has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This study is believed to help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R&D expenditure and employment, and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of how to plan and manage government R&D expenditure as a tool of job creation.

  • PDF

The Influence R&D Investment in Small & Medium Enterprises Technological Innovation Areashas on economic effect;centering around the number of supporting subject and supporting amount (중소기업 기술혁신분야 연구개발(R&D)투자가 경제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지원과제수와 지원금액틀 중심으로)

  • Park, Gyung-J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4a
    • /
    • pp.101-122
    • /
    • 2007
  • In this study,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economic outcome and R&D supporting investment, the number of supporting subjects among the technological innovational areas of SMEs, it is as below. First, as the economic result of analyzing companies from the investment in R&D of technological innovational areas of minor companies, the number of supporting subjects and amount of R&D have relationship with increase of sales and export amount, employee reduction & the effect of new job creation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ffect of import replacement. Second, as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investment in R&D has economic effect from of technological innovational minor companies. This is thought that the financial and R&D support increase a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al, technical against SMEs.

  • PDF

The Influence of OLI Advantages in the Eclectic Paradigm on R&D Intensity of Foreign Firms in Korea (국내 외국인투자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OLI우위 영향성 연구)

  • Park, Sunghwan;Cho, Hyunjung;Ji, Ilyong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4 no.4
    • /
    • pp.127-158
    • /
    • 2016
  • Multinational corporations' overseas R&D activities bring host countries positive effects such as knowledge spillover, technology transfer, job creation and etc. For this reason, many countries have made efforts to attract foreign firms' R&D investment in their national territories. Korean government have also implemented some policy measures to expedite foreign firms operating in Korea to increase R&D activities. However, the firms' R&D investment in Korea has still been unsatisfactory, and only few studies have examined this issu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R&D investment of foreign firms operating in Kore, from the perspective Dunning's eclectic paradigm. Utilizing linear regression and Tobit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OLI advantages on R&D intensity of foreign firms in Korea. The result shows that locational advantages of Korea (such as revealed technological advantage) had positive influences on foreign firms' R&D intensity. However, the influence of other OLI advantages were different by foreign firms' nationalities. For instance, internalization advantages had influences on R&D intensity, but the directions were different between Japanese and other nationalities.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d some discussion and attempted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n government's FDI and R&D policy.

서비스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에 관한 연구

  • Lee, Yeon-Hui;Lee, Hye-Jin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489-518
    • /
    • 2009
  • 선진국의 경제구조가 서비스경제로 전환됨에 따라 고부가가치를 낼 수 있는 지식기반 (Knowledge-based) 또는 기술기반 (Technology-based)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서비스 기업들간의 경쟁도 매우 치열해지고 있다. 서비스 기업들은 보다 차별화 된 고객가치를 창출하고 미래의 핵심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나 제조기업과는 달리 대부분의 서비스 기업들에게 연구개발 (Research and Development, R&D)이라는 개념은 매우 생소한 상태이다.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서비스기업의 연구개발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서비스기업의 특성을 포괄하는 연구개발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서비스 연구개발에 관한 정책입안을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바, 서비스기업에서의 연구개발에 대한 정의, 조직, 예산, 활동영역, 산출물 및 이에 따른 정책적 지원 등에 관한 학계에서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기업의 연구개발활동을 도출하고 연구개발투자와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연구개발 투자규모를 도출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 때 서비스기업의 연구개발활동이라 함은 연구개발 대상, 수행조직, 연구개발의 중요성이 포함된다. 또한 연구개발투자와 1-2년 후의 매출 및 순이익의 변화를 분석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기술기반 서비스를 대표하는 국내 IT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통계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서비스 기업 응답자가 연구개발의 중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마다 부서별 또는 중앙 연구개발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개발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개발투자가 기업성과로 연계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관심이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지적되었다. 가장 효과적인 연구개발 투자규모는 매출액 대비 15-19%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벤처기업의 특성을 갖는 중소 IT서비스 기업들의 참여가 많았기 때문일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서비스기업들이 미래준비를 위한 활동을 전개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들을 제시해 줄 것이다.

  • PDF

Input-Output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of R&D Expenditure in the Atomic Anergy Industry (원자력부문 연구개발투자지출의 경제파급효과 산업연관분석)

  • Jeong, Kiho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4 no.4
    • /
    • pp.839-866
    • /
    • 2005
  • This study addresses the effects on the economy of atomic sector's R&D by considering how much KAERI's R&D expenditures in 2000 affect on the production and value-added of each industry and the whole economy. This study answers to the question using competitive import input-output tables and both supply driven and demand driven IO models, which are frequently employed in evaluating economic impacts of R&D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areas.

  • PDF

The Analysis of S&T Policy Changes and Investment Direction of National R&D (과학기술 정책기조 변화 분석과 국가 연구개발 투자방향 연구)

  • Choe, Jong-Il;Kim, Jeong-E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2
    • /
    • pp.11-23
    • /
    • 2012
  •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National R&D policy by the comparative analysis in terms of R&D policy regime. We characterize the related issues on the National R&D policy, and analyze the dir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S&T) policy using the method of scientometrics. The result shows that the policy regim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with respect to the R&D efficiency and the keywords; Regime 1: National S&T Innovation 5-year Plan(1999-2002) and National S&T Master plan of the previous adminstration(2003-2007), Regime 2: National S&T Master Plan(2002-2006) and National S&T Master Plan of the previous administration(2003-2007), Regime 3: National S&T Master Plan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2008-pres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