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개

Search Result 52,140,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연구개 근육조직에 대한 해부학적 문헌적 고찰

  • 이종호;전세일;명훈;황순정;서병무;최진영;정필훈;김명진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5 no.1
    • /
    • pp.11-20
    • /
    • 2002
  • 정상 연구개의 근육조직에 대한 여러가지 해부학적 연구가 있어 왔지만, 구개열의 근육조직에 대한 연구는 이보다 훨씬 적었다. 또한 정상 연구개 근육조직의 형태를 잘 이해하는 것이 연구개 기능회복에 절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우리는 2개의 사체에서 채취한 정상상악골 및 연구개를 포함한 조직에서 연구개부위의 박리를 시행하여 근부착에 대한 해부학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구개열환자에 있어서 연구개 근육들은 전후방적인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경구개 뼈의 후방 가장자리에 직접 근부착을 한다는 점에서 정상과 달랐다. 구개열 수술에 있어서 이러한 비정상적인 근부착을 박리하여 횡적방향으로 재구성하여 정중부에서 봉합하는 것이 정상적 연구개 sphincter를 만들고 연구개를 후방으로 후퇴시켜 정상적 연구개 해부구조를 재구성할 수 있는 방법이다.

  • PDF

Case Report: Repair of Complete Bilateral Cleft Palate Using Two-Flap Palatoplasty with Intravelar Veloplasty and Vomer Flap (연구개내근성형술 및 서골피판을 동반한 2개 점막성골막판을 이용한 완전 양측성 구개열 환자의 치험례)

  • Lee, Ui-Lyong;Seo, Byong-Moo;Choung, Pil-Hoon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12 no.1
    • /
    • pp.33-40
    • /
    • 2009
  • 구개열이 있으면 언어장애 음식섭취의 어려움, 구개범장근의 기능장애로 인한 이관의 개폐기능부전으로 중이의 액체고임, 부정교합등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구개성형술은 갈라진 경구개와 연구개를 막아주며 동적인 연구개를 만들어 주어 충분한 구개인두폐쇄를 하여 정상적 발음을 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그 외에도 음식물을 정상적으로 섭취할 수 있고 중이염 및 난청을 일으킬 수 있는 기능을 개선시키고 정상적인 교합을 만들어주는데 있다. 위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지금까지 많은 수술 방법이 개발되었고 개선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도 가장 효과적인 수술방법, 수술시기에 대하여 논쟁거리가 되고있다. 언어를 분명하게 하려면 연구개는 인두벽에 닿기 위해 후상방으로 올라가고 인두의 후벽과 측벽은 올라온 연구개에 닿으려고 수축함으로써 비인두와 구인두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게 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발음이 정확하려면 비인두괄약(nasopharyngeal sphincter)을 합리적으로 만들어주어 비인두와 구인두를 분리해 주어야 한다. 비인두괄약을 조성해 주는 방법에는 구개범거근이 괄약기능을 할수 있도록 연구개내근성형술(intravelar veloplasty)을 시행하여 양편구개범거근을 횡위로 옮겨 연결하여 올림근 걸이(levator muscle sling)을 만드는 방법, 구개 연조직을 후방으로 밀어 구개 길이를 연장하는 방법, 인두 피판술을 하는 방법등이 있다. 구개범거근의 주행방향과 부착이 잘못되어 있는 것으로, 정상에서는 구개범거근이 횡으로 주행하여 연구개의 정중봉선(median raphe)에 부착하는 데 반해 구개열에서는 구개범거근이 전방으로 주행하여 개열 가까이에 있는 구개열 후연과 골선 개열연에 부착되어 있고 구개인두근과 구개수근이 연구개를 그냥 지나쳐직접 구개열 후연에 붙는다. 저자등은 완전 양측성 구개열을 연구개내근성형술 및 서골피판을 동반한 2개 점막성골막판을 이용한 구개성형술로 수술을 시행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Life History Research Based Private Documentation (생애사 연구에 기반을 둔 개인 기록화 연구)

  • Choi, In Hyeok;Lee, Young Ha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5 no.4
    • /
    • pp.49-76
    • /
    • 2015
  • The personal history of individuals directly and vividly reflects the courses of their life and the society of which they are a part. It has become a meaningful part of the social landscape today to pursue efforts to understand humans and humanity correctly and properly through the windows of private records. Notably, the significance of keeping private recor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the society of which they are a part lies in the fact that they cooperate to build a foundation on which they can prosper together. One of necessary things to be done to fully appreciate the values of such private records is to perform serious analyses on particular individuals who are behind those records. Developing and refining methods of life history research such as time-line interviews exert positive influence in setting up a direction for private documentation systems where private records are collected and maintained.

과학과윤리-과학기술계 개혁의 길

  • Lee, Dal-Go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5 s.348
    • /
    • pp.22-24
    • /
    • 1998
  • 과학기술계 연구와 개별활동은 1.연구자 개인2.연구팀이나 연구실 3.연구기관 4.정부부처 5.국가 등 5개의 링 위에서 존재한다고 본다. 이 5개링중 가장 중요한 것은 정신활동의 모태인 첫번쨰인 "개인 링"과 공정하고 투명해야 할 두번째 "연구팀의 링"으로 이 2개의 링이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계는 개혁의 역량을 모아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Intrusion Detection in Network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SVM (SVM을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에서 새로운 침입탐지에 관한 연구)

  • YANG, Eun-mok;Seo, Chang-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399-406
    • /
    • 2018
  • Much research has been done using the KDDCup99 data set to study intrusion det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MO (SVM) algorithm is superior. However, intrusion detection studies of new intrusion types not used in training are insufficient. In this paper, a model was created using the instances of weka's SMO and KDDCup99 training data set, kddcup.data.gz. We tested existing instances(292,300) of the corrected.gz file and new intrusions(18,729). In general, intrusion labels not used in training are not tested, so new intrusion labels were changed to normal. Of the 18,729 new intrusions, 1,827 were classified as intrusions. 1,827 instances classified as new intrusions are buffer_overflow. Three, neptune. 392, portsweep. 164, ipsweep. 9, back. 511, imap. 1, satan. Dogs, 645, nmap. 102.

요전완유리피판을 이용한 연구개 결손부 재건후 기능평가

  • 박해섭;김민식;선동일;유우정;김형태;박영학;조승호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8.11a
    • /
    • pp.188-188
    • /
    • 1998
  • 구강후부암은 흔히 연구개, 설근부 등을 침범하여 연구개의 절제가 동반되고 이에 따른 발성, 연하 등에 장애를 남기게 된다. 이의 재건을 위해 다양한 피판술이 고안되고 있으며 그 중 요전완유리피판은 피판이 얇고 유연하여 입체적 형태의 재건이 용이하며 감각신경을 포함하여 재건할 수 있고 장장근인대를 포함시킬 경우 연구개의 역동적인 기능까지 재건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중략)

  • PDF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ervice Nature Measurement Items in the Sevice Economic Era (서비스 경제로의 전환에 따른 서비스본질 측정항목 개발 연구)

  • An Sehong;Kim Hyunsoo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1 no.1
    • /
    • pp.59-79
    • /
    • 2021
  • Service-related research in accordance with the transition to the service economy era has been conducted in a wide variety of ways, but the development of a service-related scale suitable for the present time is still insignific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nature of services and to develop measurement items for them. First, four categories of service nature were adopted in the previous study. The four categories are 'relationship', 'interactivity', 'horizontality', and 'harmony'. In this study, sub-factors and specific items of each of these four service essences were extracted and developed as measurable items. As a qualitative study, the four categories of sub-factors were extracted, and a mixed study was adopted to 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xtracted factors through quantitative studies. The scale items we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study, free response method, and Delphi technique, and the measurement items were refined through a second questionnaire of 30 Delphi panels composed of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15 out of 52 questions for relationship, 11 out of 45 questions for bilateral direction, 9 out of 33 questions for horizontality, and 17 out of 61 questions for harmonization were derived after secondary refin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uncover new essential items suitable for the service economy era. SNS, network, synergy, platform, system, real name, and breakthrough are concepts that have not been obtained in previous studies, and can be seen as contributions of this study. However, due to various limitations, this study did not cover all aspects of the service, but mainly dealt with people-centered services, which are part of the servic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velopment of service essence measurement items for the overall aspect of services developed according to the evolution of the service economy era.

A Study for Establishment of Namdo Cultural Arts Archives - Focused on the Description Elements and Classification System for Cultural Arts - (남도문화예술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 기술요소를 중심으로 -)

  • Jeong, Dae-Keun;Hong, Soram;Kang, Hyera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0 no.2
    • /
    • pp.311-337
    • /
    • 2019
  • The study is to structure materials of cultural arts in "Namdo(Jeollanamdo and Gwangju)" province. Especially the study focuses on establishing description elements for serving diverse materials. First, the authors makes the draft version(4 entities, 28 elements and 115 subelements) by reviewing literature and conducting case study. Then, experts review the draft version and the authors draws final version that consists of 4 entities(materials, performances, agents, facilities), 28 elements and 117 subelements. From the viewpoints of locality, cultural arts materials, and cultural artists, the description elements in this study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studies.

A study on analysis of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for urban sewer system in Seoul (서울시 하수관로 방재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Hosoung;Sim, Jea Bum;Ahn, Joo Young;Yoo, Mi 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4-424
    • /
    • 2021
  • 서울시 전역의 하수관로는 4개의 처리구역, 16개의 배수구역, 163개의 배수분구, 748개의 소구역으로 분할하여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지선관로와 간선관로가 상이한 설계빈도로 계획되어 가장 작은 관리단위인 소구역에서도 일정한 방재성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구역을 동일한 토출구를 갖는 유역으로 재정의하여 서울시 전역을 799개의 소구역으로 재분할한 후, 소구역 단위로 하수관로 방재성능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하수관로 방재성능 분석을 위해 도시유출모형은 SWMM, 도시침수모형은 2DIS를 활용하였다. 도시유출모형에서는 113,286개의 관로와 106,097개의 맨홀을 적용하였으며, 수리시설물은 서울시 관내에 위치한 31개의 모든 빗물저류조와 121개의 빗물펌프장 중 가용 가능한 117개의 빗물펌프장을 적용하였다. 하수관로의 외수위 경계조건은 하천기본계획에서 제시한 방류하천의 기점홍수위를 반영하였다. 도시침수모형에서는 5m 단위의 고해상도 지형자료와 토지피복도를 적용하여 2차원 침수모의를 수행하였으며, 799개의 소구역에 대한 방재성능 분석을 수행하여 이를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서울시 하수관로 방재성능 분석 시스템에서는 799개의 소구역을 대상으로 소구역 정보, 하수관로 정보, 수방시설물 정보, 방재성능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소구역 정보는 해당 소구역에 대한 기본 정보 및 해당 소구역에 위치한 수리시설물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한다. 하수관로 정보에서는 관로 및 맨홀을 선택하여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수방시설물 정보에서는 빗물펌프장, 빗물저류조, 강우관측소, 하천수위관측소, 관로수위관측소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방재성능 정보에서는 시나리오별 침수결과를 제공하며, 포인트 단위 침수취약지역을 표출한다. 서울시 하수관로 방재성능 분석 시스템은 하수도 정책 입안과 하수도 관련 사업 추진 시 데이터 기반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 업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Metadata Design for Standardization of Food Composition Research Data (식품성분 연구데이터의 표준화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에 관한 연구)

  • Lee, Sang Hoon;Park, Eunji;Kim, Juseop;Kim, Sunta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3 no.3
    • /
    • pp.241-26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ed the structure and elements of metadata that can manage and share research data produced in the food composition database. In order to derive metadata elements, mapping crosswalk was performed on 5 metadata such as DCAT, DataCite metadata schema 4.4, TTAK.KO-10.0976, AgMES, and FoodData Centra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p 15 elements of the 'Resource information' metadata were derived, and 7 mendatory, 3 recommended and 5 optional elements, and the 'Composition analysis' metadata included 8 mendatory, 3 recommended and 1 optional element were derived to describe food composition research data, respectively. The derived metadata elements will be used as an item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food composition data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haring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od composition datab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