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관성분석

Search Result 4,77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ffinity Analysis Between Factors of Fatal Occupational Accidents in Construction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건설 중대 재해요인 간 연관성 분석)

  • Lim, Jiseon;Han, Sanguk;Kang, Youngcheol;Kang, Sanghye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2 no.5
    • /
    • pp.29-38
    • /
    • 2021
  • Governments and companies are trying to reduce occupation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the number of disasters are not decreasing significant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affecting construction disasters quantitatively. To this end, 1,197 cases of serious disasters provided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KOSHA) were analyzed using affinity analysis, one of the data mining techniques. The data from KOSHA were preprocessed and analyzed with variables of accident type, project type, activity type, original cause materials, sensory temperature, time of the accident, and fall height, and the association rules were derived for fall accidents and the others. For fall accidents, 64 association rules with lift ratios of 1.38 or greater were derived, and for the other accidents, 59 association rules with lift ratios of 1.54 or greater were derived. After analyzing the derived association rul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among accident factors, this study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applying the affinity analysis to address the study's limit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the correlation among factors affecting construction accidents is presented quantitativel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alysis System for Answer Dataset with Data Mining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시험 응답데이터 분석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wak, Eun-Young;Kim, Hyeoncheol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1 no.1
    • /
    • pp.65-74
    • /
    • 2008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analysis system for answer dataset by using a data mining method. We analyze students' answer data collected from a test including multiple choice question items, and find associations between the items. Analysis of evaluation results based on our system will not only provide correct information on students' achievement levels but also provides a basis for modifying weaknesses of the evaluation procedures, question items, or teaching/learning procedures. Furthermore, it will enable us to improve the quality of question items for future use so that we can secure itemsets of high quality.

  • PDF

Design of a Rule-Based Correlation Analyzer through Reducing Intrusion Alerts (침입경보 축약을 통한 규칙기반 연관관계 분석기 설계)

  • Lee, Seong-Ho;Kim, Min-Soo;Noh, Bong-Nam;Seo, Jung-Taek;Choi, Dae-Sik;Park, Eu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091-1094
    • /
    • 2004
  • 전통적인 호스트 기반 침입탐지시스템과 네트워크 기반 침입탐지시스템은 각각 로그 데이터나 패킷 정보에서 단일 공격을 탐지하고 침입경보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침입탐지시스템들은 침입경보간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게 되고, 다수의 거짓 침입경보를 발생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추론 규칙을 이용하는 침입경보 연관관계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침입경보 수집기, 침입경보 전처리기, 침입경보 연관관계 분석기로 구성되어 있다. 침입경보 수집기는 각 침입탐지시스템으로부터 필터링 과정을 거쳐 전송된 침입경보를 받아 침입경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침입경보 전처리기는 불필요한 침입경보를 줄임으로써 침입경보 연관관계 분석의 효율성을 높인다. 마지막으로, 침입경보 연관관계 분석기는 추론 규칙을 이용하여 침입경보간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한다.

  • PDF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서울대도시권 도시 간 공간적 연관성 분석)

  • Bai, Joon-Seok;Chang, Hoon;Kim, Jy-S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68-7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서울대도시권의 1990년 이후 공간구조 변화에 대하여 도시 간 공간적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서울대도시권을 포함하고 있는 서울시와 인천 및 경기도 도시들 간의 1990년에서 2005년에 이르는 15년의 통근 통학자 자료를 바탕으로 통근 통학비율과 Moran's I를 통하여 서울대도시권 내 도시들의 공간적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도시권 내에서 서울시의 인구는 경기지역으로 분산되고 있으며 외곽지역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서울대도시권의 교외화 확산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인접지역 간 매우 강한 공간적 연관성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는 서울대도시권 관리와 정책수립을 뒷받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tudy on Probability Analysis of Drinking Habits Affecting Marine Accidents Using Fault-Tree Analysis Method (Fault-Tree 기법을 이용한 해기사의 음주습관과 해양사고 사이의 연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 Jo, Yu-Gyeong;Yim, Jeong-Bin;Yang, Won-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145-147
    • /
    • 2012
  • 해양사고의 70-80%가 인적 오류(Human Factor)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인적 오류 중 선원의 피로도는 실제 해양사고로 이어질 개연성이 대단히 큰데, 이러한 피로도는 선원의 음주로부터 비롯된 경우가 존재하며 해양사고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의 음주습관과 해양사고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주습관이 신체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과거 해양사고 통계를 분석하여 해기사의 음주습관과 해양사고의 연관성에 대해 Fault-Tree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해기사의 음주습관은 피로도와 직접 연관성을 밝혀 낼 수 있지만 해양사고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미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선원의 피로도와 직접 연관된 음주습관은 해양사고 유발 원인이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에 대한 타당성은 추후 다양한 실험을 통한 연구한 것으로 조사된다.

  • PDF

Aanalysis between groundwater and evapotranspiration using in-situ dataset (현장관측 자료를 활용한 지하수와 증발산의 연관성 분석)

  • Kim, Daeun;Yang, Jeong-Seok;Kim, Il-Hwan;Lee, Jae-Beom;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24-324
    • /
    • 2018
  •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점차 가속됨에 따라 이로 인한 수자원 관리의 취약성이 증가되고 있는 전망이다. 물수지 순환에서 지하수와 증발산은 수자원 총량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인자로써, 두 인자의 정량적인 분석은 지표와 대기 시스템의 분석에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지구의 담수 중 약 30%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지하수로써 이는 토양의 수원으로도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지하수면이 토양과 가까울수록 토양수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증발산의 변동성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하수위 및 수문인자의 변화는 지하수를 활용하는 농업 및 수자원 관리와도 연계되어 있으므로 지하수와 증발산의 연관성에 대한 정량적인 변화의 비교/분석이 필수적이다. 또한 식생의 종류에 따른 지하수 및 증발산의 거동이 달라지게 됨으로 이에 대한 영향 또한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지하수와 증발산의 직접적인 관계를 규명하는 선행연구가 아직 미흡하며, 국내 수자원분야에서의 두 인자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에 대하여 밝힌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플럭스 타워 관측 지점 중 다른 지표 특성 및 식생 조건을 가진 지역을 선정하여 각 다른 특성의 관측 지점에서의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관측된 수문기상인자인 증발산, 강수량과 관측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수 측정망으로부터 획득된 지하수 자료를 활용하여 각 인자들 사이의 연관성을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수문순환에서의 이들 간의 영향 정도를 파악할 예정이다.

  • PDF

The Propagation Effects on the National Economy induced by u-City Construction: I-O Analysis (u-City 구축에 따른 생산 파급효과 추정)

  • Kim, Pang-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139-142
    • /
    • 2007
  • 본 연구는 RAS 계수법과 동태적 산업연관 모형을 동시에 적용하여 u-City 구축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통상적인 산업연관분석과 차별성을 지닌다. 한국은행이 가장 최근 발표한 산업연관표는 2000년도 자료이다. 본 연구는 RAS 계수법으로 알려져 있는 예측기법을 이용하여 2000년 산업연관표를 2010년 표로 연장시켜 u-City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한편 산업연관분석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형은 정태적 분석모형인 기본 산업연관 모형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동태적 산업연관 모형을 적용하여 u-City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동태적으로 분석하였다. u-City 구축에 따른 총 생산파급효과는 약 3.3배로 추정되었으며, u-City 산업은 전방연쇄효과는 매우 높지만 후방연쇄효과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ssential Technical Patent Extraction Method Associated with Fintech Based on Text Mining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핀테크 연관 핵심 기술 특허 추출 방법)

  • Lee, Hwangro;Choi, E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219-1222
    • /
    • 2015
  • 금융과 IT가 융합되는 핀테크(Fintech)가 IT산업과 금융산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핀테크 기술에 대한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유사한 연관 기술을 도출하는 것은 관련 사업자가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해 준다. 하지만 핀테크와 같이 단 기간 내에 기술에 대한 파급 속도가 빠르게 일어나며 산업전반에서 기술선점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는 경우 특허 데이터베이스만으로 유사기술을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선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이슈화되는 기술 중 그 성장세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등록된 특허만으로는 연관 기술 영역을 파악하는 일이 번거로운 상황에서 기사 분석을 통해 연관 기술 키워드를 추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핀테크에서 중요하게 인식되는 결제, 보안, 사용자환경에 대한 연관 기술 키워드를 기사 내용에 포함되는 단어의 빈도 분석을 통해 추출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추출된 기술 키워드를 이용하여 실제 특허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 특허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핀테크와 관련성이 매우 높은 연관 핵심 기술 특허를 도출하였다.

Utilizing Purely Symmetric J Measure for Association Rules (연관성 규칙의 탐색을 위한 순수 대칭적 J 측도의 활용)

  • Park, Hee-Cha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v.20 no.6
    • /
    • pp.2865-2872
    • /
    • 2018
  • In the field of data mining technique, there are various methods such as association rules, cluster analysis, decision tree, neural network. Among them, association rules are defined by using various association evaluation criteria such as support, confidence, and lift. Agrawal et al. (1993) first proposed this association rule, and since the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y many scholars. Recently, studies related to crossover entropy have been published (Park, 2016b). In this paper, we proposed a purely symmetric J measure considering directionality and purity in the previously published J measure, and examined its usefulness by using example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pure symmetric J measure changes more clearly than the conventional J measure, the symmetric J measure, and the pure crossover entropy measure as the frequency of coincidence increases. The variation of the pure symmetric J measure was also larger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inconsistency,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ssociation was more clearly understood.

Item Hierarchy based Frequent Itemset Ordering Method (항목 계층 구조에 기반한 빈발 항목 집합 나열 방법)

  • Kim, jun woo;Kang, hyun 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01-302
    • /
    • 2013
  • 연관 규칙 탐사는 이산적인 항목들을 포함하는 트랜잭션 데이터에 존재하는 항목 간 동시 발생 관계를 찾아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관 규칙은 {전항}${\rightarrow}${후항}의 형태를 갖고, 전, 후항은 모두 사전에 정의된 지지도 하한을 만족하는 빈발 항목 집합으로 구성된다. 연관 규칙 탐사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탐사되는 빈발 항목 집합의 개수가 많아지면서 규칙의 개수도 많아지고, 이들 사이에 중복성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단순히 지지도나 신뢰도 순으로 빈발 항목 집합이나 규칙을 나열하기보다는 항목들의 연관성을 고려하는 것이 분석자에게 보다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하여 연관 규칙 탐사와 함께 계층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항목들 간 연관성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빈발 항목 집합들을 나열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