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골 파괴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Protects Against Osteoarthritic Development by Cartilage Degradation (엉겅퀴의 연골 분해에 의한 골관절염 진행의 억제 효과)

  • Park, Chan Hum;Yang, Chang Yeol;Yang, Siyoung;Yokozawa, Takako;Shin, Yu Su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93-93
    • /
    • 2019
  • 골관절염은 연골 파괴 및 연골 형성의 손상을 초래하는 산화 스트레스 세포사와 관련된 염증성 질환이다. 최근에,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maackii)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대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연골 퇴행 및 골관절염 진행에 대한 엉겅퀴의 역할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골관절염 및 연골 분해 생쥐 모델에서 엉겅퀴의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먼저, 엉겅퀴의 활성 성분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건조된 엉겅퀴 지상부의 물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149.2{\pm}24.1mg\;GAE/g$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7.9{\pm}2.0mg\;NE/g$을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HPLC 분석으로부터 엉겅퀴 지상부 물 추출물의 주요 화합물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인 cirsimarin과 cirsimaritin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엉겅퀴 추출물은 조직 병리학적 분석에 의해 입증된 내측 반월판의 불안정화에 의해 유도된 골관절염 마우스 모델에서 연골파괴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엉겅퀴 추출물이 골관절염과 연골 파괴를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식 의약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Chondrosarcoma Cells Stimulated with Bee Venom (봉독이 연골육종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Microarray 연구)

  • Yin, Chang-Shik;Koh, Hyung-Gyun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 /
    • v.7 no.2
    • /
    • pp.19-28
    • /
    • 2004
  • 봉독은 관절염 치료를 비롯한 여러 질환에 그 응용범위가 넓어지고 있으며 기전규명과 새로운 치료효과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골의 파괴는 진행된 각종 관절병증의 공통 병리기전이며 연골세포의 기능이상은 이 기전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사람 연골세포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 HTB-94 연골육종세포를 배양하고 봉독을 처치했을 때의 유전자 발현양상을 microarray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4배 이상 발현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보았을 때 microarray의 344개 유전자중 봉독처치시 발현이 증강되는 유전자는 없었으며 발현이 억제되는 유전자는 interleukin 6 receptor, interleukin 1 alpha,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matrix metalloproteinase 1, tumor necrosis factor (ligand) superfamily, members 4, 8 and 12, and caspases 2, 6, and 10등 35개가 관찰되었다. Microarray를 통한 유전자발현 분석을 통해 관절염에 대한 봉독치료의 기전을 시사하는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으며 앞으로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rthroscopic Treatment of Infectious Chondrolysis of Femoral Head - A Case Report - (대퇴골두 감염성 연골 용해증의 관절경적 처치 - 1례 보고 -)

  • Moon, Young Lae;Yoon, Tae Hyun;Kim, Chan Sang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3 no.2
    • /
    • pp.142-145
    • /
    • 1999
  • Chondrolysis of the femoral head s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destruction of the articular cartilage, resulting secondary joint space narrowing and stiffness. It is usually regarded as an idiopathic disease, but it can be produced by sequelae of an infection, trauma, or prolonged immobilization. We report a case of chondrolysis of femoral head in 45-year-old male, caused by infection and treated by arthroscopic management.

  • PDF

The Effect of Aralia Cordata Thunb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on Cartilage Protection by the Regulation of Metabolism in Human Osteoarthric Chondrocytes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독활.승마 복합처방의 대사조절을 통한 연골보호 효과)

  • Shin, Ye-Ji;Beak, Yong-Hyeon;Park, Dong-Suk;Kim, Jae-Kyu;Koh, Hyung-Kyun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7 no.4
    • /
    • pp.39-53
    • /
    • 2010
  • 목적 : 퇴행성 관절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beta$에 의해 연골관절이 파괴되고 이로 인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더욱 증가하는 질환이다. 퇴행성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연골 파괴를 가속화시키는 catabolic cytokines의 활성을 줄이고, 성장인자인 anabolic factor의 활성을 증가시는 연골 보호 작용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독활 승마 처방(OAH19T)이 catabolic/anabolic 대사 조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신호 전달 기전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OAH19T를 구성하는 단미재 및 임상에서 사용되는 COX-2 inhibitor인 Celebrex(CEL)와 효능을 비교 실험하였다. 방법 : 배양된 세포에 IL-$1\beta$로 자극한 후 (1) glycosaminoglycan(GAG)의 분해 억제 정도, (2) OAH19T와 CEL에 대하여 MMP-1과 MMP-3의 유전자 발현 및 활성 억제, (3) Aggrecan 및 Aggrecanases의 유전자 발현 및 활성 억제, (4) OAH19T의 growth factor의 조절 능력, (5) MAPK pathway 등을 RT-PCR(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estern blot, viability 측정을 통해 검증했다. 결과 : 사람 관절 세포에서 (1) 독활 승마 각각의 단미재, 임상에서 사용중인 셀레콕시브(CEL), 조인스보다 실험 약물(OAH19T)이 저농도에서 GAG 분해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고, 부탄올로 분획한 OAH19B와는 동등한 효과를 보였다. (2) OAH19T는 IL-$1\beta$에 의하여 활성화된 MMP-1과 MMP-3의 발현을 모두 억제하였으나, CEL은 MMP-1의 발현은 억제하였으나 MMP-3의 발현은 억제하지 못하였다. (3) OAH19T는 IL-$1\beta$에 의하여 손상된 Aggrecan을 회복시켰으며 이는 활성화된 Aggrecanase-1과 Aggrecanase-2를 억제시킴으로써 나타난 결과이다. 그러나 CEL의 경우, 손상된 Aggrecan을 회복시키지 못하였다. (4) 배양된 세포는 IL-$1\beta$에 의하여 TGF-$\beta$II및 TGF-$\beta$ receptor II의 발현이 억제되었으나, OAH19T는 TGF-$\beta$II및 TGF-$\beta$ receptor II의 발현을 회복시켜 OAH19T가 anabolic한 조절능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CEL의 경우 growth factor에 대한 조절 능력이 없었다. (5) 대사 조절 작용에 대한 기전으로서 MAPK pathway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 IL-$1\beta$에 의하여 유도된 pERK, pp38 kinase의 활성은 억제하였고, pJNK의 활성은 변하지 않았다. 또한 OAH19T는 연골 세포에 독성이 없었으며 IL-$1\beta$에 의해 유도된 세포 증식만을 억제시켰다. 이 결과로, OAH19T가 OA chondrocyte의 탈분화 및 세포 고사를 억제하여 연골보호 및 회복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OAH19T는 이를 구성하는 단미재 및 CEL보다 연골보호 효과가 월등하였고, 이러한 연골보호 효과는 catabolic cytokines/growth factors의 균형으로 대사조절을 통해 연골세포의 탈분화 및 세포 고사를 억제하여 연골보호 및 회복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econdary Chondroblastic Osteosarcoma from 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Initially Misdiagnosed as Low Grade Chondrosarcoma Provoking Fallacy in Treatment Strategy (저 악성도 연골육종으로 악성 변화한 섬유성 이형성증으로 오진하여 치료방침의 오류가 발생한 연골 모세포형 골육종 - 증례 보고 -)

  • Lee, Seung-Jun;Koh, Jae-Soo;Won, Ho-Hyun;Jeon, Dae-Geun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4 no.1
    • /
    • pp.62-67
    • /
    • 2008
  • Malignant degeneration of fibrous dysplasia is rare and involves transformation into osteosarcoma, fibrosarcoma and chondrosarcoma. The most frequent sites involved in malignant transformation were craniofacial bones, proximal femur, humerus, pelvis, tibia and scapula in a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An 41-year-old man with a history of 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presented with increasing left arm pain. Plain radiograph showed expansile destructive lesion along the humeral shaft. As initial biopsy report was low grade chondrosarcoma, he underwent marginal resection. However, he developed local recurrence 7 month later and subsequent pathologic finding was chondroblastic osteosarcoma. We report one case of secondary chondroblastic osteosarcoma from 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initially misdiagnosed as low grade chondrosarcoma that caused fallacy in treatment strategy.

  • PDF

Chondrosarcoma of the Calcaneus in 13 year old Aged Patient - A Case Report - (13세 환자의 종골에 발생한 연골육종 - 증례 보고 -)

  • Hong, Ki-Do;Ha, Sung-Sik;Park, Young-Keun;Lee, Hyo-Jin;Cha, Hyun-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7 no.2
    • /
    • pp.59-63
    • /
    • 2001
  • Chondosarcoma of the calcaneus in young child is extremely rare. A thirteen-year old male patient has suffered from right heel pain for several months before. Dominant gross feature was hard mass and swelling on one entire right heel, and increased density and calcification on entire calcaneus with cortical destruction, and calcific densities on soft tissues around calcaneus were seen on roentgenogram of right ankle. It was diagnosed to be chondrosarcoma by bone biopsy. It was treated by below knee amputation and chemotherapy, and no recur and distant metastsis during 12 months after operation.

  • PDF

Artemisia argyi H.Lev. & Vaniot Inhibits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the Interleukin-1β-stimulated Primary Chondrocytes and Attenuates Osteoarthritis Progression in Mice (황해쑥의 Interleukin-1β 유도 연골세포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들의 억제효과 및 마우스에서 관절염 진행 감소 효과)

  • Park, Chan Hum;Yang, Chang Yeol;Yang, Siyoung;Yokozawa, Takako;Shin, Yu Su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94-94
    • /
    • 2019
  • 황해쑥(Artemisia argyi H.Lev. & Vaniot)은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지닌 것으로 다양하게 보고 되었다. 그러나, 대표적인 염증 질환 중 하나인 골관절염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증 유발 연골 세포 및 골관절염 유발 동물 모델에 미치는 황해쑥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첫째, interleukin 1 beta를 투여한 관절 연골 세포에 황해쑥 물 추출물을 투여한 후 metalloporeinase (MMP) -3 및 MMP-13의 발현을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분석 하였다. 또한, 내측 반월상 연골의 불안정화에 의해 유도 된 골관절염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황해쑥 물 추출물의 골관절염 억제 효과를 분석 하였다. 세포 실험에서, 본 황해쑥은 MMP-3와 MMP-13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황해쑥 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 동물의 관절 조직을 Safranin O 염색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연골 하 골판 두께의 감소 및 활막 염증 개선 효과가 관찰 되었다. HPLC를 이용한 성분 분석 결과, 황해쑥 물 추출물은 항염증 및 항관절염 활성을 가진 jaceosidin과 eupatilin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황해쑥은 골관절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망한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Effect of Mulberry Extract Complex on Degenerative Arthritis In Vivo Models (In Vivo 실험모델에서 오디추출복합물의 퇴행성관절염 개선 효능 연구)

  • Li, Hua;Yun, Sat-Byul;Shin, So Hee;Jeong, Jong-M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5 no.5
    • /
    • pp.634-641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n vivo effects of treatment with mulberry extract complex (MEC) on cartilage degeneration and pain severity in an experimental model of rat degenerative arthritis. Monosodium iodoacetate ($2mg/50{\mu}L$) was injected into right knee joints of rats, followed by administration of MEC for 8 weeks at 400 mg/kg or 800 mg/kg of body weight. The experimental data show that treatment with MEC inhibited degradation of glycosaminoglycan and collagen in cartilage. On the other hand, concentrations of cartilage oligomeric matrix protein, C-terminal telopeptide-2,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MMP-9, and MMP-13 in serum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The MEC at all dose levels could inhibit formation of xylene-induced ear edema. In this study, MEC demonstrated significant anti-arthritis activity, which is required for improvement of degenerative arthritis. Based on these results, MEC may be employ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health foods to ease symptoms of degenerative arthritis.

Osteoarthr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

  • Lee, Jeong-Y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8 no.1
    • /
    • pp.87-95
    • /
    • 2013
  • Osteoarthritis (OA)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s a severe form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s), presenting gradual breakdown of articular cartilage and subchondral bone by the functional load sustained to exceed the physiologic tolerance of the joint. In such a joint loaded, offensive bioactive materials such as matrix degrading proteins, cytokines, and free radicals increase in concentration to shift the tissue response in the joint to degeneration from regeneration or remodeling. Recently, it has been issued that obesity can play an offensive role in pathogenesis of OA in a metabolic way. Adipokines released by adipose cells are present at higher concentration in the arthritic joint and joints of obese individuals. However, because of conflicting data reported, further scientific study should be performed to elucidate the practical role of adipokines in pathogenesis of TMJ OA. As far as the clinical signs and symptoms of TMJ OA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forms of TMD and any definitive treatment modality to control directly the bone resorptive activity is not available yet, the treatment of TMJ OA should be directed to reduce the physical load and enhance the physiologic tolerance of the joint by means of conservative treatment such as physical therapy, medication, and occlusal splint therapy for sufficient period and, if needed after that, supplementary surgical procedure such as intra-articular injection, arthrocenthesis, and arthroscopic surgery that have turned out to be effective to control OA signs and symtpoms. Enthusiastic reassurance and motivation for patients to control behaviors for themselves to reduce unnecessary functional load in daily life is very important for the joint to reach to more favorable orthopedic stability of the TMJ more quickly, guaranteeing more successful management TMJ OA.

Effects of HPL-04 on Degenerative Osteoarthritis (퇴행성 골관절염에 대한 HPL-04의 효과)

  • Na, Ji-Young;Song, Ki-Bbeum;Kim, Sukho;Kwon, Young-Bae;Kim, Dae-Gi;Lee, Jun-Kyoung;Jo, Hyoung-Kwon;Kwon, Jungk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3 no.1
    • /
    • pp.30-39
    • /
    • 2014
  • HanPoong Leading (HPL)-04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oriental medicines (balk of Kalopanax pictus balk, Chaenomelis Fructus, Angelica gigas root, Zingiber officinale, Raphanus sativus Linne and Saururus chinensis Baill.)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HPL-04 on cartilage degradation in knee osteoarthritis (OA). Rat articular chondrocytes incubated with rhIL-$1{\alpha}$ markedly increas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and 9 activities, decreased cell viability and reduced chondrogenic gene expression.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MMP-2 and 9 activities and real time RT-PCR indicated that HPL-04 counteracted these harmful effects in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for experimental OA in vivo, monosodium iodoacetate (MIA, 0.5 mg/50 ${\mu}L$) was injected into knee joints of rats and administered HPL-04 to rats for 4 consecutive weeks after MIA treatment. The experimental data showed that treatment with HPL-04 significantly prevented of MMP-2 and 9 activities in articular cartilage. Histopathological and micro-CT evaluations of the knee joints also revealed that HPL-04 effectively ameliorated MIA-induced degenerative OA. In conclusion, HPL-04 has potential applicabilit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generative 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