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계모델링

Search Result 65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PSCAD/EMTDC Inverter Module for Simulating Grid-connect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풍력발전 계통연계 모의를 위한 PSCAD/EMTDC 인버터 모듈 개발)

  • Kim, Seul-Ki;Kim, Eung-Sang;Park, Min-Won;Kim, Ji-Won;Jeon, Jin-Hong;Kim, Tae-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4a
    • /
    • pp.204-206
    • /
    • 2002
  • 계통연계 풍력발전시스템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 wind turbine, 정류기, 인버터 등의 풍력발전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모델링과 적절한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모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기발전기를 풍력발전기로 사용하고 있는 계통연계형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 및 동특성을 모의하기 위한 전류제어형 전압원인버터의 PSCAD/EMTDC 모듈을 제시한다. 풍속의 가변특성에 의해 동기발전기에 들어오는 입력은 변하게 되고, 동기발전기가 동기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버터에서는 이러한 입력과 동일한 출력을 낼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계통에서 허용하는 일정 전압과 계통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출력을 공급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동기발전기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전류제어형 전압원인버터 모듈을 소개한다. 모의를 통해 결과를 검증한다.

  • PDF

A Study on the Mal-Function Mechanism for Re-closer in Distribution Feeders with PV Systems (태양광발전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리클로져의 오동작에 대한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 Kim, Chang-Hyeok;Ji, Seong-Ho;Kim, Byeong-Mok;Rho, Dae-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636-640
    • /
    • 2009
  • 태양광발전과 같은 분산형전원이 기존의 어떤 보호협조체제하의 배전선로에 도입될 경우는 계통에 대한 역 조류에 의해 사고 시 고장 구간의 분리 및 선로재구성에 따른 차단기 및 개폐기 제어알고리즘, 그리고 순시정전 시 분산형전원의 기동정지, 개폐기의 기능, 차단용량 등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다분히 있다. 또한, 사고 시 일시적으로 분리된 건전구간 내에 분산형전원이 존재하여 그 구간내의 부하와 평형을 이루며 운전되고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 데, 이 경우는 인체 및 전기설비에 위험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고의 신속한 복구에도 저해의 요인이 된다. 특히, 태양광발전이 배전선로에 연계되어 운전되는 경우, 동일 뱅크의 타 배전선로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태양광발전이 연계된 건전한 배전선로의 보호협조기기(리클로져)가 오동작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실 계통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건전한 선로의 부하가 정전을 경험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인 계산식인 대칭좌표법을 이용하여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상기의 보호기기의 오동작 메카니즘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철의장 설계 전산 개발/적용

  • 임대청;이종범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0 no.2
    • /
    • pp.44-52
    • /
    • 1993
  • 선박에 있어서 철의장품은 종류와 수량이 다양하고 형상이 불규칙하여 대부분의 사업장에서 설계 전산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의장설계실에서는 이를 전산화하기 위하여 먼저 철의장품의 표준을 제정 및 극대화하고 설계작업절차와 물량의 흐름을 전산과 연계하여 체계화 및 표준화하였다. 또한 선박의 전구역에 설치되는 철의장품들을 관련 양식과 함께 국제표준을 근거로 BASICA CADDS, SURFACE DESING, SDDP(structural Design & Detailing Package) SOFTWARE를 이용하여 2차원(2-dimension) 및 3차원(3-dimension)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 하였으며 이를 POP-UP MENU를 이용, 쉽게 선택함으로써 모델링(modeling) 작업시수를 대폭 감소 시켰으며, 그래픽(graphic)에서 추출한 의장품의 데이터(data)를 의장품의 표준정보 FILE과 연계하여 라벨(LABEL) 및 치수(DIMENSION)를 기입하여 배치도를 추출하고 의장품의 제작, 설치, 계산 및 관리에 소요되는 설치도, 제작도 및 관련 보고서인 BOM(bill of material), PML(pallet material list), 의장제작품 LIST, COG(center of gravity), 관리점 등을 자동추출 및 관리전산망(PC-lan)과 연계할 수 있는 DECOM(철의장 전산설계 전용 package)을 89년에 개 발하여 의장설계에 적용하여 왔으며 ORACLE사의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도입하여 이를 보완하므로써 정보의 일관화 및 공유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 결과 설계 M/H절감, 생산성 향상, 자재 및 관련 정보 전달에 혁신적인 변화 향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Construction and Use of Cadastral Information Database (지적정보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 구축과 활용에 관한 연구)

  • Kang, Joon-Mook;Lee, Hyung-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8 no.2 s.16
    • /
    • pp.71-78
    • /
    • 2000
  • In these days, the attributes data recorded in computerization of cadastral maps is just written in its own format, not considered the relation with graphic data. Therefore, digital information linked attribute data to graphic data is necessary to be performed as fundamental data of graphic information and analysis of various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GIS application by constructing cadastral information related to graphic and attribute Information based on the cadastral map. Attribute information was constructed as a relational database form using data modeling and entity-relationship diagram.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 for various public planning and design including the effective management of cadastral information and building 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by presenting various spatial analysis and application methods.

  • PDF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trol of the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interconnected with Power Distribution System (배전계통에 연계된 전지전력저장시스템의 유.무효전력 제어)

  • 김재철;문선호;최준호;김응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3 no.4
    • /
    • pp.127-133
    • /
    • 1999
  • Ths paper deals with the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trol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ESS) during its interconnection operation to power distribution system When an interconnection operation of BESS to power distribution system, it is well suited for peak load shaving and distribution voltage compensation by controlling the real and reactive power. Equivalent mxiel of the distribution system and the BESS is derived and power flow equations are presented to control the real and reactive power of BESS. In this paper, to control the active and reactive power of BESS, $P-\delta$ and Q-V control method and ntJIrerical description is presented. To verify the proposed control method, using PSCAD/EMTDC program simulates the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trol of BESS.f BESS.

  • PDF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ChungJo dam using EFDC-WASP (EFDC-WASP 연계 모형을 이용한 충주댐유역 수질분석)

  • Kim, Seok Hyeon;Hwang, Sun Ho;Kim, Kyeung;Shin, Sat Byeol;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39-439
    • /
    • 2018
  • 충주호는 충청권의 생 공 농업용수로 이용되는 광역상수원이며, 2016년 기준 연간 약 3만6천톤이 방류되어 남한강 전체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 충주호는 상류 유역의 오염원이 적게 분포하여 1급수의 수질기준을 만족하고 있으나, 상류 유역의 개발로 오염원 유입이 증가할 경우 호소 내 수질 및 남한강 전체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충주댐 상류 유역의 오염부 하량 변화에 따른 수질변화를 예측하고, 현재수질 유지를 위한 허용 오염부하량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EFDC-WASP 연계모델은 수리학적 계산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수질모델에 사용할 수 있어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호소의 수질 모델링이 이루어졌으며 적용성이 많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EFDC-WASP 연계 모형을 이용하여 충주댐 상류유역의 배출부하 변화에 따른 호내 수질특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모의구간은 충주댐의 유입지점부터 방류지점까지로, 수치해석을 위한 격자망은 총 800여개의 격자로 구성하였다. 수위자료는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제공하는 충주댐 수위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수질자료는 환경부 호소 측정지점인 충주호1,2,3 의 자료와 하천 측정지점인 제천A과 한강B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모의기간은 2013-2015년으로 2013년은 모델의 안정기로, 2014년은 보정, 2015년은 검정에 각각 활용하였다. 보검정된 모델을 활용하여 유입부하량 변화에 따른 수질변화를 모의하였고, 1급수 수질을 만족하는 허용부하량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향후 호소 상류유역의 개발에 따른 수질변화 예측과 허용부하량 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active Transport Modeling for Investigating Elemental Cycling at the Groundwater-Surface Water Interface (지하수-지표수 물질순환 평가를 위한 반응성 운송 모형 연구)

  • Heewon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6-16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홍수, 녹조 등 이상기후 현상들이 본격화함에 따라 안정적인 수자원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급변하는 환경조건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지하수 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은 기후변화대응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다. 지하수는 하천, 호수 연안지역 등 다양한 지표의 수문환경과 연결되어 천층지권의 수문생태적 특성을 결정하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수자원 활용을 위해서는 지하수와 지표수의 상호작용에 대한 통합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긴밀하게 연계된 특성에도 불구하고 지하수와 지표수에 대한 연구는 오랜기간 개별수문환경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왔다. 이러한 연구경향은 저류시간이 크게 다른 지하수와 지표수의 수문적 특성뿐 아니라 개별수문환경에서 나타나는 작용들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모델의 부제에도 기인한다. 최근 비약적인 연산능력의 향상과 함께 지하수-지표수 환경을 연계한 통합수문모델(Integrated Hydrology Model)의 개발 및 활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후변화 및 수자원 활용에 따른 수문환경변화 대한 통합적인 연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최근의 통합수문모델과 다중요소 반응성 운송 모형(Multicomponent Reactive Transport Model)의 연계를 통한 물질순환 연구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고(농도-유량 상관관계, 지표수계의 화학적 풍화와 이산화탄소 저감, 녹조 등), 데이터 기반 모형을 통한 통합수문모델의 연산 효율 및 정확성 향상을 위한 방법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sign and analysis of collaboration oriented system (협업 지향적 시스템 설계와 분석에 관한 연구)

  • Shin, Mun-Bong;Chun, Seung-Su;Son, H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178-180
    • /
    • 2012
  • 협업은 둘 이상의 사람들이 하나의 업무 또는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공동으로 협력하여 일하는 것이다. 최근 개인 및 조직 간 협업 범위가 공동분석, 데이터 연계, 서비스 조합 등으로 확장되고 대용량 데이터 공유 및 실시간 연계분석 활동이 증대되면서 협업 지향적인 시스템 설계와 개발이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워크와 지능화된 협업 기반은 데이터, 프로세스, 서비스, 사람 간의 다차원 연계와 실시간 활용, 의미 기반의 기계적 협력을 전재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ata, Process, Service, People 측면의 4가지 계층으로 전사적 자원을 설계하고 메타 메타데이터 기반의 온톨로지 분석을 통해 자원 간의 연계와 조합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설계했다. Data 계층은 프로세스별 Input, Output 정보를 식별하여 Data의 메타 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검색 에이전트가 색인하여 모델링에 참조할수록 한다. Process 계층은 BPMN모델을 확장한 exCPM의 개선 모델을 바탕으로 프로세스를 수행주체 간, 정보공유측면에서 프로세스를 분석했다. Service 계층은 협업지향적인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를 서비스로 인식하고 프로파일을 통해 협업을 위한 검색과 프로세스를 연계지원하도록 설계 했다. 마지막으로 People계층은 자원, 프로세스, 서비스 등 시스템에 관여하는 참여자들의 메타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온톨로지 기반의 모델에 통합하여 자동 검색되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프로세스와 서비스 측면에서 협업을 요구하는 에이전트와 일반 검색 사용자들이 프로세스 간 협업 자원을 파악하고 상호 관계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컴포넌트와 서비스 간의 자동적인 조합을 통해 통합적 자원 협력과 실시간 협업 지원 기반을 제시했다.

A study on Optimal Operation of Protection Coordination Devices Evaluation System in Distribution System with Distributed Sources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에 보호협조기기 평가시스템의 최적운용에 관한 연구)

  • Ji, Sungho;Song, Bangwoon;Kim, Byungki;Rho, Dae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6
    • /
    • pp.2971-2978
    • /
    • 2013
  • Recently, with the world-wide issues about global warming and CO2 reduction, a number of distributed generations(DGs) such as photovoltaic(PV) and wind power(WP), are interconnected with the distribution systems. However, DGs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ower flow from one-direction to bi-direction, and also change the direction and amount of fault current of existing distribution systems. Therefore, it may cause the critical problems on the power quality and protection coordination. This paper proposes an operation algorithm for bi-directional protection coordination using and apply it for the evaluation system for protection coordination. From the simulation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effective and convenient than existing method.

A Study of modeling using linkage of Watershed Model and river water quality model (유역 모형과 하천 수질 모형의 연계 적용에 관한 연구)

  • Han, Kun-Yeun;HwangBo, Hyun;Kim, Dong-Il;Kim, Ji-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74-1078
    • /
    • 2010
  • 도시화, 산업화의 진전으로 토지개발이 가속화되고 대지, 도로, 주차장 등 불투수층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비점오염원에 의한 하천, 호소의 수질영향도가 커지고 있다. 특히 낙동강유역에서의 오염원관리, 특히 비점오염원의 정량화는 삭감시설의 삭감량 평가 및 배출오염원 평가에 더욱 절실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삭감시설의 삭감량 평가 시에는 실험실 규모로 이상적인 유량 상태를 가정하여 삭감효율을 산정하고 있으나 자연강우에 의하여 나타나는 삭감효율 평가는 이상적인 유량 평가 해석시 와는 사뭇 다른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유역 말단 지점에서의 3년 평균 수질이 목표수질을 상회하였을 경우 오염총량 기본계획 지역에서 오염총량 이행평가 지역으로 포함시켜 오염부하량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배출부하량과 수질의 연계가 쉽지 않고, 그 원인이 되는 지역 및 시기를 찾아 특별 관리하는 것이 난해하여 하천 수질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최근 비점오염원 영향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으며, 점오염원의 관리뿐만 아니라 비점오염원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두 오염원 형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각각의 오염원에 의한 수질 영향에 관심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최근까지 유역 모델과 수질 모형을 이용해 각각의 유역이나 하천에 적용하고, 수행한 예는 국내와 국외에 많이 있다. 하지만 수량과 수질을 함께 통합적으로 연계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한 연구는 그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 하지만, 최근 들어 수질의 통합하천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각의 모형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모형들을 연계하는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통합적 수질관리의 필요성 증대에 따라, 유역 내 수문 순환 및 비점오염원의 발생 거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통해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유역 내 수질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QUALKO 모형과 연계하여 하천 수질 모델링을 수행할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점오염원에 의한 유역 내 하천 수질 영향도를 파악함으로써, 추후 비점오염원에 대한 인식 제고에 활용될 것이며, 모니터링 기법 및 GIS기반 유역관리모델 개발, 4대강 비점오염원 최적관리기법 연구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