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결수락제어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4초

트래픽 파라메타 압축을 이용한 ATM 연결수락제어 (ATM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Using Traffic Parameters Compression)

  • 이진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3호
    • /
    • pp.311-31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연결수락 제어시 사용자가 전송하는 트래픽 파라메타(샐 개수의 분산값과 평균값)를 압축하여 망에 신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압축방법에 의한 연결수락제어의 성능을 분석 비교한다. 트래픽 파라메타 압축방법은 K-means, CL(Competitive Learning), Fuzzy ISODATA,FNC(Fuzzy Neural Clustering)를 사용한다. 제안한 트래픽 파라메타의 압축에 의한 연결수락제어는 퍼지 매핑함수(Fuzzy Mapping Funciton)fp 의해 신고한 트래픽 패턴을 추정하고, 전방향 구조의 신경망을 사용하여 연결의 수락/거절을 결정한다. ON-OFF 트래픽 모델 환경에서 컴퓨터 실험을 통하여 여러 가지 압축방법들을 사용한 연결수락제어의 성능을 Fuzziness 값에 따라 비교하였고, 그 결과 FNC 방법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EH한 연결수락제어의 성능을 높히기 위해서 관측 프레임의 셀 분산값이 크면 Fuzziness 값을 작게 선정하고, 작으면 상대적으로 크게 선정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이질적인 트래픽을 이용한 ATM 연결수락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M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using heterogeneous traffics)

  • 전원구;이명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72-77
    • /
    • 2001
  • ATM 트래픽 제어의 다중화 구조에서 셀 도착 프로세스에 대한 가정 없이 실시간 연결수락제어에 대한 트래픽 클래스 관계식을 이용하여 연결수락제어 방법을 제안했다. 트래픽 클래스 관계식은 각 클래스의 요구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 기대된 순간 버퍼 요구를 고려한 연결 수락 가능 범위로부터 3개 또는 4개의 일차 부등식에 의해서 구현하였다.

  • PDF

인터넷 차별 서비스 망에서 적응적 연결 수락 제어 메커니즘 (Adaptive Admission Control Mechanism in Differentiated Services Network)

  • 이준화;양미정;이우섭;김상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0권12호
    • /
    • pp.83-93
    • /
    • 2003
  • IP 망에서의 차별 서비스 구조는 품질 보장 서비스를 위해 대역폭 브로커를 기반으로 QoS프로비저닝의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역폭 브로커는 모든 입구 에지 노드로 유입되는 호의 연결 수락 제어를 위해 중앙 집중형 자원 관리를 수행함에 따라 확장성 면에서 큰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폭 브로커를 갖는 차별 서비스 구조에서 확장성을 높이고 유입되는 호의 상태를 반영한 적응적 연결 수락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역폭 브로커의 기능을 입구 에지 노드와 분리해서 자원 관리 및 프로비저닝을 대역폭 브로커에서 수행하고, 입구 에지 노드에서는 연결 수락 제어를 담당한다. 입구 에지 노드에서는 연결 수락제어를 위해 각 에지 노드간 패스 개념을 도입하고, 패스 단위로 할당된 대역 기반으로 연결 수락 제어를 수행한다. 패스 별 할당 대역량은 유입되는 트래픽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이는 대역록 브로커와의 통신을 최소화하면서 대역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케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적응적 연결 수락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성능 분석을 통한 효율성 및 확장성의 개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동 패킷 망에서 QoS를 고려한 연결 수락 제어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with QoS in Mobile Packet Networks)

  • 이상호;김영진;박성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2A호
    • /
    • pp.975-98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이동 패킷망에서 단말의 핸드오프에도 불구하고 QoS를 지속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연결 수락 제어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연결 수락 제어 기법은 기본적으로 시간 선택적 대역 예약 방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예약 메카니즘을 단순화하여 시그널링 및 컴퓨팅 오버헤드를 줄이고 있다. 또한, 예약 파라미터들에 대한 적응적 제어를 통해 연결 수락 제어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있다.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연결 수락 제어 기법에 대한 성능 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 대역폭을 예약하지 않는 방식에 비해 신규 호 차단확률 및 대역폭 이용 효율의 저하는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을 유지하면서 핸드오프 차단 확률은 현격히 좋아짐을 확인하였다.

셀 지연 변이를 고려한 연결 수락 제어에 관한 연구 (A CAC Mechanism Considering Cell Delay Variation)

  • 곽동용;권율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65-369
    • /
    • 1998
  • 본 논문은 CDV (Cell Delay Variation) 허용 한계 $\tau$를 지나치게 크게 설정함으로써 발생하는 대역의 비효율성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연결 수락 제어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한 연결 수락 제어 알고리즘은 셀 지연 변이 허용 한계 T의 지나친 설정을 줄이기 위하여 CDV 측정 메커니즘을 사용하고 그리고 ATM 스위치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worst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쉐이퍼를 사용한다. 또한, 제안된 연결 수락 제어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을 위해 기존의 방법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역 이용률에 대한 성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제안 알고리즘이 대역 이용률에서 기존 방식보다 더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TM망에서 적응적 연결수락제어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ive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Method in ATM Networks)

  • 한운영;차균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719-1729
    • /
    • 1994
  • 연결수락제어(CAC : Connection Admission Control)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망내에 새로운 호의 연결이 요구되었을 때 이 새로운 연결호의 서비스품질을 만족하고, 충분한 자원이 망내에 확보되어 있는 가를 확인한 후 기존에 연결된 호의 서비스 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연결 수락 또는 거절을 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적응적 연결수락제어방법은 신고치와 측정치를 이용하여 트래픽을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신고치를 이용한 트래픽 예측은 호 연결 또는 호 해제 시에 회귀적(recursive) 방법으로 계산되며, 측정치를 이용한 트래픽 예측은 측정반영율 및 측정 반영주기는 트래픽 흐름의 변화를 정확히 추정하고 측정에 의한 예측 오차를 줄이는데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 반영율의 적응적 조정을 위해 트래픽 흐름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는 시점인 연결 수락 또는 연결 해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이후의 경과 시간에 따라 측정 반영율을 변화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 대해 동질 트래픽과 이질 트래픽의 경우에서 성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적응적 연결수락제어방법이 이용율과 서비스품질(QOS : Quality Of Service)관점에서 기존의 연결수락제어방법보다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멀티캐스트 서비스 환경에서 역치 기반의 연결 수락 제어 방안 연구 (A Study on Threshold-based Admission Control Algorithm for Multicast Service)

  • 조성균;최성곤;이종민;최준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12호
    • /
    • pp.1-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방송, 통신, 인터넷이 하나가 되는 BcN 환경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연결 수락 제어(Call Admission Control) 방안에 대하여 알아본다. 제한된 시스템의 처리 용량으로 인해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적절하게 연결 수락을 제어함으로써 QoS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방법으로 하나의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하여 세 가지 등급으로 나누어, 각 등급마다 처리할 수 있는 역치(Threshold)를 정하여 제한된 역치 범위 안에서 서비스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입장에서 등급별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수락 및 거절함에 따른 이익(Reward)과 손실(Penalty)을 근거로 정의되는 시스템 cost 모델인 GAIN을 정의하여 최대한의 이득을 가져올 수 있는 역치의 범위를 정하고, 이를 근거로 서비스 요청을 제어한다. 성능 분석을 위하여 시스템을 M/M/m/m으로 모델링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GAIN을 알아보고, 제안된 알고리즘의 효과를 보인다.

다양한 정합 장치를 갖는 다단 스위치에서 서비스 호/연결 수락제어 (CAC For Multi Stage ATM Switch with Variant Type Interface)

  • 송호영;차영준김형환임동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7-240
    • /
    • 1998
  • BISDN 망 구축을 위한 ATM 교환기는 고속의 스위치 망을 통해 사용자들의 고속 정보를 교환 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존 통신망들과의 연동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가입자 정합장치의 수용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개발되어 시험중인 HANbit ACE ATM 교환기는 DS-1, DS-1E, DS-3 및 STM-1급의 가입자 정합 장치를 제공하며, 중계선 정합 장치로는 DS-3 및 STM-1 급을 지원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용자 QOS 를 만족시키며 네트워크 비용을 최소화 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즉 다양한 정합장치와 다단 스위치 구조하에서 다양한 트래픽 특성을 갖는 호/연결에 대한 효과적인 호 수락 제어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고에서는 다양한 정합 장치와 3단 스위치 구조를 갖는 HANbit ACE ATM 교환기를 살펴보고, 다양한 트래픽 수용을 위한 트래픽제어 요구사항을 알아보며, 이와 같은 특성을 해결하고자 실현된 호/연결 수락 제어 기능에 대해 고찰한다.

  • PDF

클러스터 웹서버 성능개선을 위한 과부하 방지 QoS 보장 수락 제어 기법 연구 (Study on An Admission Control Scheme to Improve QoS of Overload Cluster Web Server)

  • 남의석;강이구;정헌석;이준환;현득창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91-400
    • /
    • 2005
  • 최근 몇 년 사이 컴퓨터와 초고속 통신망의 대중적인 보급으로 인하여 인터넷 사용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인터넷 사용량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막대한 양으로 늘어난 트래픽은 서버에 과도한 양의 부하를 발생시켜 서비스 전반에 걸친 성능 저하를 가져왔다. 따라서 서버에 많은 양의 트래픽이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서버의 트래픽 폭주로 인한 서버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락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수락 제어 기법은 컨텐츠 변환이나 로드 밸런싱과 같이 수동적으로 부하를 덜어주거나 분산시키는 방식이 아닌 트래픽에 제한을 가하여 능동적으로 서버의 부하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클라이언트에 의한 연결 요청이 이루어질 때 서버의 부하 상태를 평가한 후 서버가 수용 가능한 수준이면 클라이언트 새로운 연결 요청을 수락하여 이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다. <중략> 또한 서비스 요청에 제한적인 정책을 따를 경우 서버의 부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지만 QoS(Quality of Service)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 반면 더 많은 서비스 요청을 수용하는 정책을 취할 경우 서버의 부하 변화에 대한 반응이 느리지만 throughput이 증가하는 이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QoS와 throughput가 서로 tradeoff 관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요구되는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즉 더 높은 수준의 QoS 보장이 중요한 서비스인가 아니면 더 높은 수준의 throughput 보장이 요구되는 서비스인가에 따라 다른 수락 제어 정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PDF

멀티 클래스 인지 사용자 네트워크에서 신경망을 이용한 예측 연결수락제어 (A Predictive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Using Neural Networks for Multiclass Cognitive Users Radio Networks)

  • 이진이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35-44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인지망에서 멀티 클래스 인지 사용자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신경망 예측기법에 의한 예측 연결수락제어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주 사용자가 도착하여 스펙트럼 핸드오프를 해야 하는 인지 사용자를 실시간과 비 실시간 사용자로 구분하고, 실시간 인지사용자에게 가드채널(guard channel)을 우선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신경망 예측기법을 이용하여 주 사용자의 도착을 예측하고, 실시간 인지사용자가 스펙트럼 핸드오프 하는데 필요로 하는 채널의 크기를 예약하여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QoS)를 보장한다. 실시간과 비 실시간 인지사용자 연결을 위한 자원스케줄링 방법은 본 논문의 $C_IA$(cognitive user I complete access)방법을 사용하며, 연결 수락제어는 인지사용자에 대해서만 실시하여 주 사용자에게는 간섭이 없도록 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연결 수락제어기법이 실시간 인지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