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결로 접속부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peed Prediction Models for Freeway Merging Area (고속도로 연결로 접속부에서의 속도 추정 모형)

  • 신치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3 no.3
    • /
    • pp.99-120
    • /
    • 1995
  • 가속차선이 교통류의 운영상태와 안전에 기여하는 바는 벌써부터 인식되어 왔으나 이 변속차선이 유입형 연결로 접속부 전체의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거나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현장 자료를 바탕으로 한 실험적 연구는 진행되어 오지 못하엿다. 현재 널리 참고되고 있는 1985년 USHCM의 접속부 운영상태 분석 방법론은 단지 차선 1의 교통량을 예측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데 가속 차선의 길고 짧음에 따라 접속부 바로 전 차선 1의 교통량 분포가 크게 변화한다는 사실(많은 현장 관측을 통해 확인)은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접속부 운영 상태가 같은 교통량 조건하에서도 크게 차이가 나나다는 것을 뜻하며 가속차선의 존재를 무시한채 운영과 관련한 MOE를 도출하는 것이 서비스수준 산정 방법으로 충분한 것인가 하는 의문을 자연히 낳게 한다. 본 논문은 가속차선이 고속도로 연결로 접속부의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다루고 있다. 가속차선의 독립적인 역할과 영향을 체계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미국내 여러 지역에서 8개의 고속도로 연결로접속부를 선택하고 각 지점에 접속부의 상하류 지역을 포함하는 2,000ft 구간내에 다섯대의 카메라를 설치, 지점별로 약 3시간 동안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93개 자료수의 분석을 통해서 다중 회귀 모형을 구성하는 독립변수로 가속차선의 길이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지었으며, 접속부 운영의 질, 특히 속도를 추정하기 위한 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관점과 방법론은 1994USHCM 고속도로 연결로 분석 방법론 설정에 일부분 반영되고 잇으며 특히 교통운영과 흐름의 방식에서 유사한 엇갈림 구간의 분석 방법과 일관성 있는 분석 체계 마련을 위해서 서비스수준 산정 절차 정립에 엇갈림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Bank Scour around Low Dam for Difference of Elevation using 3D Numerical Simulation (상하류 수위차에 따른 3차원 수치모의를 이용한 보 접속부 세굴특성 분석)

  • Jeong, Seok-Il;Yeo, Chang-Geon;Yoon, Kwang-Suk;Lee,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7-37
    • /
    • 2011
  • 태풍 루사나 매미에 의한 피해사례를 보면 하천 횡단 구조물 본체가 파괴되는 피해 뿐 만 아니라, 구조물과 제방과의 연결부가 세굴되어 붕괴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였다. 하천설계기준(2009)에는 이러한 보와 제방의 연결부 부분을 연결호안이라 하여 관련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설치구간의 길이를 정할 때 하천의 규모나 하도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일률적으로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상류 Froude 수와 보 높이를 변수로 하는 연결호안 설치 길이에 대한 실험식(2006)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보 접속부 세굴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상류의 Froude 수와 보의 높이 뿐만 아니라, 상 하류 수위차, 보의 형상, 제방의 재료적 특성 등 많은 요인들이 존재한다. 이 중 본 연구에서는 상 하류 수위차와 보 접속부 세굴 범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보 접속부 세굴에 대한 수치모의에 앞서 Gill(1972)와 Dongol(1990)이 수행하였던 교대세굴 자료를 바탕으로 Flow-3D의 세굴에의 적합성 및 적용성을 검토하였다(그림 2참고). 검토 결과 수치모의의 입력 변수를 조정함으로써 실험값과 가깝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조정된 변수를 이용하여, 보 접속부 세굴에 대한 수치모의는 상 하류의 수위차에 대해 다양한 검토를 하기 위해 상류의 수위를 1.0m로 고정한 채하류부의 수위를 0.2~0.8m까지 0.1m간격으로 변화시켰으며, 유사의 대표 입경은 0.63mm로 주문진 표준사를 가정하였다. 모의 시간은 평형세굴심이 발생할 때까지 수행하였고, 난류모델로는 LES(Large Eddy Simulation)를 채택하였다. 모의 결과 상 하류 수위차가 증가할수록 보 하류부 세굴 길이($L_d$)가 증가 하였으며, 세굴의 폭($B_d$) 역시 증가하였다. 그림 3은 수치모의 결과로 세굴이 발생된 제방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 PDF

Longitudinal Control of Acceleration Lanes and its Impact on Congestion Alleviation (가속차로의 길이 제어와 고속도로 접속부 혼잡저감 효과)

  • Shin, Chi-Hyun;Kim, Kyu-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5 s.83
    • /
    • pp.169-176
    • /
    • 2005
  • This paper introduces the dynamic control of acceleration lanes at freeway-ramp junctions. The feasibility of operation with flexible length of acceleration lane was tested with most possible traffic conditions. The operational qualify was also evaluated using average speed and total thru-put at both ramp section and freeway section. A CORSIM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operation quality with a variety or volume conditions and three acceleration lanes, each representing different length categories. In addition, tollgate O-D data including travel times were obtained for two sections on the Gyeong-bu Freeway where an effective merging distance has been largely reduced. Its effect was analyzed and compared to the simulation results. Finally, the effects of acceleration lane are discussed and operational improvement at junctions is presented as research findings.

Density Predictive Model within the On-Ramp Merge Influence Areas of Urban Freeway - Based on the Beonyoungro in the Metropolitan City of Busan - (도시고속도로의 유입연결로 합류영향권내 밀도추정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번영로를 대상으로 -)

  • Kim, Tae Gon;Pyo, Jong Jin;Kwon, Mi Hyun;Jo, In Ko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D
    • /
    • pp.287-293
    • /
    • 2008
  • Density is used as the measure of effectiveness within the ramp junction influence area suggested in the KHCM 2005 in the LOS analysis of the ramp junction, and also density predictive models suggested in the KHCM 2005 is constructed based on the expressway with the speed limit of 100km/h or 110km/h in Korea. So, the density predictive models suggested in the KHCM 2005 are needed to verify if the models could be applied to the urban freeway with the speed limit of 80km/h or less, because the speed limits on most of the urban freeways in Korea are 80km/h or less.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d verify the appropriate density predictive model within the on-ramp merge influence area of the urban freeway by comparing with the USHCM 2000 and KHCM 2005 models.

Thermal Fatigue Failure of Solder Joints in Electronic Systems (미세솔더접속부의 열피로파단)

  • 박화순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3 no.4
    • /
    • pp.7-13
    • /
    • 1995
  • 마이크로솔더링에 의한 전자기기는, 사회기능의 중추가 되는 컴퓨터, 통신 기기, 항공기 인공위성 등의 제어계를 구성하므로, 그 접속부에 대한 높은 신뢰성의 요구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솔더 접속부는 집과 기판의 전기 적.기계적 접속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개개의 접속부의 파단은 전체의 불량 으로 연결된다. 실제 전자콤포넌트와 그 시스템의 단선 등의 사고에 있어서 자주 발생 하는 사고중의 하나가 솔더접속부의 단선에 의한 것이며, 그 단선중에서도 가장 보편 적이며 또한 대단히 심각한 문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솔더접속부의 열피로파단 이다.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 스위치의 on-off에 의한 power cycle과 환경의 온도변화 에 기인하는 반복열 사이클은 솔더접속부의 피로를 일으키게 되고, 결국에는 사용중에 파단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변화의 범위는 약 -55.deg. - 150.deg.C로 예상할 수 있으며, 여기서 최고온도인 150.deg.C는 Pb-Sn 공정합금의 경우 0.9Tm.p.이상의 고온에 해당한다. 이 피로는 등온적으로 또는 열사이클중에 발생하기도 한다. 솔더접 속부의 열피로수명은 대부분의 공업재료에서 나타나는 저사이클피로거동과 유사하게 발생하며, 솔더 접속부에 인가되는 열변형/응력(thermal strain/stress)의 크기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솔더는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는 칩과 회로 기관의 두종류의 재료를 접속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반복열사이클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변형/응력이 접속부의 피로.파단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솔더접속부에 대한 주기적인 응력/변형의 인가는 접속부에 내.외적으로 현저한 변화를 야기시키게 되고, 열피로로 연결되며 결국에는 시스템의 전기적 단선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열피로파단 현상는 변형/응력의 크기 뿐 만아니라 솔더합금자체의 야금학적인 물성에도 크게 의존 하며, 내적.외적인 열변화에 의한 야금학적인 특성변화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솔더 접속부의 신뢰성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가 행하여져 왔다. 그러나 신뢰성과 관련된 열피로파단현상에 대한 야금학적인 면에서의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따라서 본 해설에서는 전자기기의 마이크로 솔더접속부 에서 발생하는 열피로파단현상에 대한 야금학적인 면에 중점을 두어 서술하고자 한다.

  • PDF

The Linear Density Predictive Models on the On-Ramp Junction in the Urban Freeway (도시고속도로의 진입연결로 접속부내 선형의 밀도예측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Kim, Tae Gon;Shin, Kwang Sik;Kim, Seung Gil;Kim, Jeong Se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1D
    • /
    • pp.59-66
    • /
    • 2006
  • This study was to construct the linear density predictive models on the on-ramp junctions in urban freeway. From the analyses of the real-time traffic characteristic data, and the construction and verification of the linear density predictive models, the models showed a considerable explanatory power with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s ($R^2$) of over 0.7 between the density and speed data. Also, they showed a considerably high correlativeness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 of over 0.8 between the calculated density data and the expected ones estimated by the models.

A Study on the LOS Analysis of the Ramp-Freeway Junction from a Viewpoint of USHCM 2000 (개선된 도로용량 분석방법론 비교연구 -고속도로 연결로 접속부를 중심으로-)

  • Yoon, Hang-Mook;Kang, Weon-Eui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6 no.1
    • /
    • pp.95-100
    • /
    • 2002
  • The first version of KHCM was Published in 1992 and is currently used in engineering Practice extensively. The study of new manual was initiated by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1998 and is intended to be ready for publication by the year 2002. According to the field survey, the action of the individual merging vehicle creates turbulence in the vicinity of the ramp-freeway junction a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model for Predicting the for entering the lanes 1 and 2($V_{12}$) and the density function at the influence zone by comがring the research works on the ramp junction in the USHCM 2000. The methodology has two major steps : the determination of the flow entering Lanes 1 and 2 immediately upstream of the merge influence area: and the density of the flow within the ramp influence area As a result of this paper the specific functions for such models are suggest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of data collected at four freeway fields in Korea.

Analysis of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for Connection Factor used m Grounding System (접지시스템에 사용되는 접속요소의 열화특성 분석)

  • Jang, Ung Bur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67-16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접지계통에 사용되는 접속계수에 대한 열화특성 분석을 기술한다. 그 접지 시스템의 연결 방법은 IEC 표준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연결부의 열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인자, 연결 인자를 소금물과 지하에 묻었을 때 열화 시험을 수행하였다. 테스트 연결 계수 C형 슬리브, 클램프 및 발열 용접이 있었습니다. 그 결과, 접속 인자의 대부분이 부식되었고, 전기적 요인이 발생하였다. 저항은 악화된 후에 감소했다. 분석 결과는 접지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PDF

An Investigation for Driving Behavior on the Exit-ramp Terminal in Urban Underground Roads Using a Driving Simulator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도심 지하도로 유출연결로 접속부 주행행태 분석)

  • Jeong, Seungwon;Song, Minsoo;Hwang, Sooncheon;Lee, Dongmin;Kwon, Wantae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1 no.1
    • /
    • pp.123-140
    • /
    • 2022
  • Even though driving behaviors in underground roads can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ground roads, existing underground roads follow the design guidelines of ground road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riving behaviors of the exit-ramp terminal of urban underground roads using a driving simulator. Virtual driv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analyzing scenarios between the underground and ground road environments. The experiments' driving behavior data for each geometry section are compared and validated through a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This test showed that the speed in the underground road environment is relatively low, and the LPM tends to move away from the adjacent tunnel wall.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and feasible solutions for improving driver's safety in the exit-ramp terminal of the underground roads.

Capacity Analysis in the Ramp Junction of the Urban Freeway Connected with the Busan Port (부산항과 연계된 도시고속도로의 연결로 접속부내 용량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Kim, Tae Gon;Jeong, Young Hwan;Park, Jong Man;Ji, Seung K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2D
    • /
    • pp.205-216
    • /
    • 2008
  • Urban freeway is defined as the roadway with 4 lanes or more which requires a high design criteria for handling a large capacity of vehicles rapidly as a high-speed exclusive roadway in the city. However, most of the urban freeways suffer from severe traffic congestion due to the increased traffic exceeding their capacities regardless of the morning and afternoon rushhours or the inbound and outbound directions.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o collect and investigate the real-time traff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amp junction influence areas of the urban freeway connected with the Busan port, compare and analyze the traffic characteristic relationship for each lane within the ramp junction influence areas, and finally assess and suggest the optimal capacity for each lane within the ramp junction influence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