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간 건물 부하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7초

연도별 기상데이터를 활용한 건물의 냉.난방부하 특성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Heating and Cooling Loads' of a Building Varied by Annual Weather Data)

  • 이지훈;황광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5-270
    • /
    • 2011
  • 본 연구는 건물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기상데이터 변화에 따른 건물 냉 난방부하량을 예측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것으로,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1)기상청에서 입수데이터를 평가툴인 ESP-r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항목별 기상데이터를 개발하였다. 표준기상 데이터의 외기온도, 습도, 풍속은 대부분의 경우 기상청데이터 보다 크거나 높았다. 수평면전일사량은 기상청데이터가 높았고, 직달일사량은 겨울철에는 표준기상데이터가, 여름철에는 기상청데이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대학교 캠퍼스 내에 신축된 후생복지관을 대상으로 한 시뮬레이션 결과, 최대난방부하의 경우 표준년도, 2006년, 2009년이 비슷한 반면 2007년은 표준년도 대비 81%, 2008년은 96% 수준이었고, 연간난방부하는 2006년, 2008년의 순으로 난방수요가 많았다. 한편, 냉방부하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최대냉방부하가 큰 2007년, 2009년의 연간 냉방부하보다 최대냉방부하가 가장 적은 2008년의 연간냉방부하가 더 큰 결과를 보였다. 3)냉 난방기기의 상당시간가동률을 평가한 결과, 표준년도의 최대부하대비 상당시간가동률은 2006~2009년이 표준년도에 비해 대부분 가동률이 낮았다.

대형상업건물의 열병합발전 부하조사 (A Survey on the Co-Generation Load for Large Commercial Buildings)

  • 한승호;권순우;정상원;정재혁
    • 에너지공학
    • /
    • 제7권2호
    • /
    • pp.223-230
    • /
    • 1998
  • 서울특별시 소재 대형 상업건물중 50개 에너지 다소비업체를 선정하여 에너지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건물은 병원, 호텔, 백화점/사무실 등 3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시설현황, 에너지사용량, 부하분포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여름철 냉방전력 사용량이 열부하 피크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열병합발전-흡수식 냉동기 방식으로 대체할 경우 전기부하 분포가 연간 비교적 일정하게 변환시킬 수 있어 열부하추종운전방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단일건물의 경우 연간열부하분포가 경제적 규모에 미달하여 단독으로 열병합발전 설비를 도입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어 다수건물을 대상으로 하는 공동 열병합발전 방식이 보다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추진하기에는 전기사업법, 액화천연가스 요금체계 등과 같은 법제도의 정비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대형 건물의 연간 전기에너지 사용총량 및 전력원단위 분석에 관한 연구 (Recommended Practice for a Reasonable Power Density end Analysis of Power Consumption Capacity for the year in Large-scale Buildings)

  • 김세동;유상봉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85-88
    • /
    • 2009
  • 업무용 건축물 분야에서의 초에너지절약형 시스템으로의 개선이 절실하다. 사무소용/병원/호텔 건물을 중심으로 시간대별 및 연간 전력사용량 등의 전력소비 특성을 조사하였고, 건물연면적, 계약전력, 최대수요진력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된 자료의 전체 특징과 중심적인 경향을 알아 보기 위해서 평균값,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 부하율 등의 특징파라메터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간 전기에너지 사용 총량과 에너지절약 성능의 관리기준을 나타내는 전력원단위를 분석하였고, 전기에너지 연간 사용총량 산정에 필요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업무용 탄소제로건물의 적용기술 및 효과 (Applied Technologies and Effects for the Carbon Zero Office Building)

  • 이재범;홍성철;백남춘;최진영;홍유덕;이석조;이동원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83-295
    • /
    • 2011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활동이 국 내외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에 있어서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2007년 기준 온실가스 총 배출량 610 백만톤 $CO_2e$ 중 건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3%이며, 감축잠재량은 산업 부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수준이다. 본 연구는 향후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대책으로 추진될 "탄소제로건물" 건립에 필요한 기반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최초로 지어진 업무용 "탄소제로 건물"인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변화연구동에 적용된 주요 기술, 에너지 부하 및 절감 에너지양,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건물에 적용된 기술은 총 66가지로, 건물에너지 부하절감기술(30), 건물에너지 효율기술(18), 신 재생에너지 기술(13), 친환경 요소기술(5)이 적용되었다. 연간 총 에너지 부하($123.8kWh/m^2$)는 단열 강화와 고효율 설비 적용 등의 패시브 기술을 통해 40%($49kWh/m^2$) 절감하였으며, 잔여 에너지 부하인 60%($74.8kWh/m^2$)는 태양광, 태양열, 지열을 이용한 액티브 기술로 절감하였다. 건축비용은 일반건물 대비 약 1.4배 더 소요되었으나 액티브 기술을 제외하고 패시브 기술만 적용하게 되면 일반건물의 건축비용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물에서 감축될 수 있는 온실가스양은 연간 $100ton{\cdot}CO_2e$ 수준이며, 에너지 자립으로 인한 연간 에너지 절감 비용은 약 102백만원,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감축에 따른 부수적 수익은 연간 약 2.2 백만원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Life Cycle Cost (LCC) 분석 결과, 일반건물 대비 초과건축 비용에 대한 손익분기점은 20.6년으로 나타났다.

동적열부하계산용 서울의 표준기상데이터 (Standard Weather Data for Seoul)

  • 김두천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13권4호
    • /
    • pp.254-267
    • /
    • 1984
  • 이 자료는 건물의 연간 에너지소요량의 산정을 위한 동적열부하계산용 전산프로그램의 입력자료인 서울의 평균년 기상데이터로서, 한국과학재단 연구보고서인 "서울지방의 표준기상데이터에 관한 연구"로 부터 발췌한 것이다.

  • PDF

상업용 건물에 있어서 외벽의 축열용량이 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SHRAE Standard 90. 1안에서 사용된 Delta Load 개념의 평가 -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ERMAL MASS EXTERIOR WALLS ON HEATING AND COOLING LOADS IN COMMERCIAL BUILDINGS - Evaluation of Delta Load Concept Used in The Draft Standard ASHRAE 90. 1 -)

  • 박상동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15권4호
    • /
    • pp.372-379
    • /
    • 1986
  • 본고는 상업용 건물에 있어서의 냉난방부하에 대한 외벽의 축열(열용량)효과를 비교$\cdot$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에너지 해석 프로그램인 DOE-2.1C를 이용하여 Berkeley Solar Group (BSG) 이 제안한 축열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고에서의 축열효과는 "delta load"로서 표현되어 있으며 "delta load"는 전형적인 나무구조 건물과 벽돌조 건물의 연간 냉난방부하의 차이로서 표시된다. BSG 보고서에 의하면 delta load는 (1)구조물의 위치와 관련한 단열방법 (2)벽의 열용량 (3)벽의 열관류을 (4)기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고 되어 있다. 본 고에서의 delta load 계산은 중규모 사무소 건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Lake Charles, LA와 Madison, WI 기후 데이터를 사용하였는데 DOE-2.1C 사용에 의한 delta load는 BSG의 결과와 일반적으로 잘 조화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주부의 방향에 따른 dalta load와 난방에 있어서는 다소 큰 차이를 보여 주고 있으며, 외단열과 중간열의 효과는 BSG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비슷하였다.

  • PDF

다항함수를 이용한 건물의 연간부하 예측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nual Building Load Predicting Method using a Polynomial Function)

  • 윤희원;최승혁;류형규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7-13
    • /
    • 2017
  • In order to use and manage the building energy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minimize building energy consumptions, and establish operation plans of various equipment. The maximum heating and cooling load calculation is an essential way in various equipment selections, and the annual building load calculation is used in forecasting & evaluating the LCC required for operation plan. In this study, noting that the annual building load changes depending on outside temperature around year, we propose a predicting method of annual building load. By using the $4^{th}$ polynomial function that have two double radix and a feature the $f(x)=a^4$ in x = 0 condition, we can calculate annual building load very easily only with the two result (maximum heating and cooling load) and a minimum parameters.

하수슬러지 중 노말헥산추출물질 (HEM) 함량 분석 및 토양 시용시 연간 오염부하량 추정 (Quantitation of n-Hexane Extractable Material (HEM) and Estimation of Annual Pollutant Loading Rate by Sewage Sludge Applicated to Land)

  • 남재작;박우균;임동규;이상학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49
    • /
    • 2002
  • 하수슬러지 중에 존재하는 HEM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토양에 사용할 때 발생하는 연간 오염부하량에 대해 추정하였다. 전국의 하수처리장에서부터 수집된 하수슬러지 시료 84점에 대해 분석한 HEM의 평균함량은 27.7$\pm$26.5 g/kg이었고, 최소 1.05에서 최대 194 g/kg을 나타내어 분석시료간에 큰 편차를 보였다. 하수처리장이 위치한 도시의 규모에 따라 5단계로 나누었을 때 HEM의 함량은 광역시, 대도시, 중도시, 소도시, 농촌지역에 각각 22.7$\pm$6.7, 33.3$\pm$25.8, 22.0$\pm$8.7, 31.0$\pm$38.8, 27.7$\pm$25.1 g/kg을 나타내었다. 미국 EPA의 하수슬러지 토양시용량 기준을 적용하여 농경지, 산림, 공공용지, 개량용지로 분류하고 각각 7,000, 26,000, 18,000, 74,000 kg/ha (건물량 기준)를 하수슬러지 최대 사용량으로 가정하여 HEM의 연간 오염부하량을 계산하였다. 건물량 기준으로 시용량이 7,000 kg/ha인 농경지의 경우 최대 1,032 kg/ha의 HEM 부하량을 나타내었고, 개량용지 시용기준인 74,000 kg/ha를 적용한 경우 HEM의 연간 오염부하량은 10,908 kg/ha으로 추정되었다. 그 외 산림기준을 적용할 때는 최대 3,832 kg/ha, 공공용지 기준을 적용할 때는 최대 2,653 kg/ha의 연간 오염부하량이 추정되었다.

표준부하모델을 이용한 설계 변수에 따른 표준부하량 분석 (A Study on Standard Heating and Cooling Load according to Design Factors using Prototypical Load Model)

  • 김권예;배상무;남유진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3
    • /
    • 2021
  • Before newly-built building and building remodeling, it is important to predict and analyz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through energy simulation programs. Nevertheless, simulation results widely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user experience and input values. Therefore, this study uses prototypical building model, a versatile tool in building energy modeling, simulation and research for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and ASHRAE standards. Then, it analyzed the changes in design type (roof type, number of floors) for the base case. As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gap of annual energy demand per between them is maximally 9.1%.

지역난방 사용자 구성비에 따른 열소비 패턴 분석 (Heat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by the Component Ratio of District Heating Users)

  • 이훈;이민경;김래현
    • 에너지공학
    • /
    • 제22권2호
    • /
    • pp.211-22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위도의 도시 유형별로 주택과 건물 구성비를 가진 3지역을 선정하여 대상 지역별로 2008년 1년간(1.1~12.31)의 실제 운전실적을 이용하여 지역난방 사용자의 일일 및 연간 열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지역별 상호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택과 건물의 열소비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제 주택 및 건물 지역난방 사용자가 사용한 열소비 패턴을 매시간대별로 파악하고, 연결 열부하(난방면적 ${\times}$ 단위열부하 : 시설용량과 지역난방 배관망의 설계기준이 되는 열부하로 난방면적에 용도별 단위열부하를 곱하여 산출[Gcal/h])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일일, 연간 및 최대 부하율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주택 및 건물 지역난방 사용자 비율에 따른 최적의 열원시설 용량산정이 가능케 하고 수요개발(해당 시설용량으로 열공급이 가능한 지역난방 사용자의 범위로 각 사용자기계실의 연결열부하 합과 같음.)단계에서의 정확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