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사자료

Search Result 1,01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Online History Information Service (온라인 역사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Chun, Jung-Hyun;Lee, Jee-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7 no.3
    • /
    • pp.67-82
    • /
    • 2010
  • In comparison to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typical information systems, the historical records from the period before the modern times require additional information services to reflect the format and content oriented peculiarities of the data. The additional services also need to be considered in light of the users' information needs. For this study, a series of literature reviews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specific analysis criteria for the historical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se criteria, the domestic and foreign historical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and use status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users' information needs were identified and user-based historical information service improvement suggestions were generated.

Analysis of Improvement Measures of Vertical Moving Facilities at Subway Stations for Elderly Users based on a Data Envelopment Analysis (자료포락분석 기반의 고령자를 위한 지하철 역사 수직이동시설의 개선방안 분석)

  • Lee, Eun Hak;Kho, Seoung-Young;Kim, Dong-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6 no.5
    • /
    • pp.60-7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vertical moving facilities at subway stations for the elderly users and to analyze their improvement measures. To evaluate vertical moving facilities of the top 31 subway stations with the most trips in Seoul, a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is employed. The input variables for the DEA include the number and percentage of elderly users, which are calculated using smart card data. the output variables consist of the number of elevators and escalators per 100 steps.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score of 31 subway stations is 0.62 and four stations, i.e., Jamsil, Gasan Complex, Konkuk University, and Dongmyo, have the highest score. These four subway stations are set as benchmarking groups for the other stations with the lower score.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benchmarking groups,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vertical moving facilities of each station are suggested and discussed.

Flood Inundation Analysis of Cheongye-stream by The Historical Records (역사기록을 이용한 청계천의 홍수범람해석)

  • Yun, Gyeong-Ho;Kim, Hyeon-Jun;Jang,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08-1812
    • /
    • 2010
  • 과거에 발생한 극한홍수에 대해 역사기록 혹은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경향성을 연구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수행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시추 자료 분석에 의한 연구는 과거에도 극한홍수가 발생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일기와 같은 개인적인 기록물에도 이런 재해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의 역사기록은 측우기의 앞선 발명과 맞물려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어려운 매우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삼국사기를 비롯하여 고려사에는 그 시대에 발생하였던 주요 홍수에 대해서는 정성적인 기술이 되어 있으며, 특히 조선왕조실록에는 조선왕조가 개국된 이래로 500년간 발생한 홍수와 피해지역 및 피해규모를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과거 청계천에서 관측된 측우기 기록을 이용하여 홍수수문분석을 수행한 후 과거 청계천의 극한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홍수량 산정결과를 토대로 HEC-RAS를 이용하여 과거 청계천에 대하여 각 홍수사상별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홍수위를 과거 역사기록상의 피해기록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수치고도모형(DEM)의 이용으로 공간적 피해규모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모형의 입력 자료로는 하도구간 및 하천단면, 조도계수, 하상경사, 상 하류단 경계조건 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과거 청계천에 대한 하천 단면자료 및 조도계수 등이 필요하나 대상지점의 과거 실측자료가 없는 바 청계천 개수계획평면종단도(1936년, 경성부), 준천사실(1760년), 동국여지비고(1870년), 조선지형도집성(1921년), 경성지적도(1912년), 청계천 유물 발굴조사보고서(2006년) 등의 고문헌을 통하여 청계천 본류 구간에 대하여 단면 입력자료를 구성하였다. 또한 실제 청계천의 주변부 피해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청계천의 지류구간에 대해서도 금천교 발굴조사보고서(2003년), 영천교 발굴조사보고서(2003년) 등의 자료와 함께 근대까지의 기록물들을 활용하여 단면 입력자료를 추정하였다.

  • PDF

Evaluation for usefulness of Chukwookee Data in Rainfall Frequency Analysis (강우빈도해석에서의 측우기자료의 유용성 평가)

  • Kim, Kee-Wook;Yoo, Chul-Sang;Park, Min-Kyu;Kim, Hyeon-J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11
    • /
    • pp.851-859
    • /
    • 2007
  • In this study, the chukwookee data were evaluated by applying that for the historical rainfall frequency analysis. To derive a two parameter log-normal distribution by using historical data and modem data, censored data MLE and binomial censored data MLE were applied. As a result, we found that both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ll estimated smaller with chukwookee data then those with only modern data. This indicates that rather big events rarely happens during the period of chukwookee data then during the modern period.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using the parameters estimated were also similar to those expected. The point to be noticed is that the rainfall quantiles estimated by both methods were similar.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historical document records like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could be valuable and effective for the frequency analysis. This also means the extension of data available for frequency analysis.

Analysis & Evaluation of extreme flood in Cheongye-stream by the historical records (역사기록에 의한 청계천의 극한홍수 분석 및 평가)

  • Jang, Cheol-Hee;Kim, Hyeon-Jun;Noh, Seong-Jin;Lee, Y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51-1355
    • /
    • 2009
  • 과거에 발생한 극한홍수기록을 역사기록에서 확인하고, 재해석하는 것은 근대적 관측기록에 100년 내외의 극한홍수 자료 기간을 획기적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장기간의 정성적, 정량적 극한홍수기록으로부터 극한홍수의 발생 경향을 파악할 수 있고, 설계에도 반영하여 극한홍수에 안전한 기준을 작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극한홍수의 변화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청계천 유역에 대한 극한홍수 사례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즉, 유역홍수유출모형 및 하천수리모형을 활용하여 청계천에서 발생한 과거 극한홍수를 평가하고 역사기록을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거 청계천 유역의 토지이용 현황을 역사문헌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과거 청계천의 토지이용은 산림, 주거지역, 하천, 도로, 공원 및 녹지 등 총 5개로 분류하였다. 과거 청계천의 극한홍수량 산정은 HEC-HMS를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강우자료는 과거 측우기 우량 중 최대강우량인 1885년 7월 16일의 392 mm와 200 mm를 넘는 최저강우량인 1828년 7월 4일의 202 mm를 이용하였다. 또한, HEC-RAS를 이용하여 최하류인 오간수문에서 최상류인 송기교까지의 본류구간에 대하여 과거 청계천 유역의 홍수량에 따른 홍수위를 계산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로는 하도구간 및 하천단면, 조도계수, 경사, 상 하류단 경계조건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계천 개수계획평면종단도(1936년, 경성부), 준천사실(1760년), 동국여지비고(1870년), 조선지형도집성(1921), 청계천 유물 발굴조사보고서(2006)의 상세 하도 구간 자료 및 종단도 자료를 이용하여 모의 분석하였다.

  • PDF

초량항 고지도 분석을 통한 부산 등대의 기원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03-105
    • /
    • 2015
  • 대한민국 등대의 역사는 일제가 국외 침략을 목적으로 한반도에 설치한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1903년 인천에 처음으로 등대가 설치된 이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근대적인 항로표지시스템이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점에 대해서는 좀 더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제 항구의 도시로서 그리고 초량왜관의 도시로서 부산은 15세기 초 이래로 한일 외교관계의 중심지였다. 그렇게 때문에 이미 오래전부터 부산에는 해상 국제교류를 위한 항만시설이 발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해양에 관련된 역사자료가 부족하고 기초연구가 미비하여 올바른 역사를 정립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최근 들어서 부산해관 고문서의 번역이 마무리 되었고, 초량왜관 관련 고지도들을 집성한 자료가 편찬되면서 보다 객관적인 부산의 역사를 정립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고지도와 문서들을 통하여 오래된 국제 항구도시 부산의 초량항에 초점을 두고 부산 등대의 기원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PDF

통계로 본 10년 전과 오늘의 인쇄업계 구조비교 - 사업체 두 배 늘고 부가가치는 23% 줄었다

  • Kim, Gwang-Ryun
    • 프린팅코리아
    • /
    • s.7
    • /
    • pp.112-114
    • /
    • 2003
  • 통계는 역사의 한 부분을 말해준다. 그만큼 최초의 통계자료는 역사적으로 귀중한 자료가 된다. 통계자료는 한 산업의 전체를 나타낼 수 있다고 장담할 수는 없지만 근거자료로 활용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나타낸다. 통계상으로 보든 살아오면서 체험으로 느끼든 전세계적으로나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산업과 업종이 오랜 기간 이어지거나 소멸되고 새로운 업종이 생성되는 등 수레바퀴 돌아가듯 흘러오고 있다. 이중 인쇄업은 오랜 역사와 함께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면서 제조업의 대표적인 업종 중의 하나로 산업군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인쇄업만큼 경영하기 힘든 업종도 없을 것이다.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말이다. 인쇄단가가 10년 전에 비해 큰 변화가 없고 오히려 떨어지고 있으니 더욱 그렇다. 그래도 10년이란 세월 속에 인쇄업은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사업체수와 종사자수가 2배 이상이 증가했고 종업원 임금 수준도 3배 이상이 증가하는 한편 생산규모도 상당히 늘어났다. 이에 본보에서는 통계로 본 인쇄산업의 변화를 통해 10년 전에 비해 어떻게 달라졌는지 알아본다.

  • PDF

Intensity Attenuation in the Sino-Korea Craton (Sino-Korean 지괴에서의 진도감쇠)

  • 이기화
    • Proceedings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9.04a
    • /
    • pp.27-31
    • /
    • 1999
  • 진도의 거리에 따른 감쇠양상은 두가치 측면에서 중요하다. 첫째는 역사지진의 크기를 평가하는데 사용되고 둘째는 역사지진자료를 이용하여 지진위험도를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한반도의 경우 대부분의 지진활동 자료가 역사지진이므로 이지진들의 크기를 결정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지진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진도감쇠양상의 결정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수 있다 진도의 감쇠양상은 진앙진도와 진앙거리 등 두요소에 같이 의존함이 알려져 있으므로 한반도에서 MMI VIII만의 지진자료를 이용하여 결정된 Lee의 기존의 감쇠공식은 그 사용범위에 한계가 불가피하므로 상기 두 가지 요소를 함께 고려한 새로운 감쇠공식의 유도가 요구되어진다. 지체구조적으로 Sino-Korean 지괴라고 불리우는 중국 북동부와 한반도에서 발생한 MMI VIII-X 지진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MMI VIII-X의 강진들에 대한 새로운 진도감쇠양상을 결정하였다.

  • PDF

전시회 - 문화역서울 284 '오래된 미래' 개관전 옛 서울역사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1 no.5
    • /
    • pp.108-109
    • /
    • 2012
  • 80년이 넘는 역사를 간직한 옛 서울역이 각종 전시와 공연이 가득한 문화공간으로 다시 태어났다. 이발소와 화장실로 쓰였던 장소는 서울역의 옛 건축장식들과 사진자료를 모아놓은 미니 박물관이 됐다. 옛 서울역사에는 사적번호가 붙여졌으며 '문화역서울 284'라는 새 이름으로 개관 첫 전시회인 '오래된 미래'전이 개최됐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