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사문화유적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Mapping and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s in Cultural-Historic Sites of Yanbian Area using Google Earth (구글어스를 이용한 연변지역의 문화.역사유적 지도화와 분포의 특징에 관한 연구)

  • Jin, Shizhu;Kim, Nam-S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7 no.1
    • /
    • pp.122-139
    • /
    • 2011
  • Yanbian area is a region with great interests to Cultural-Historically Korea as well as China. Cultural-historic study on Yanbian are lots of researches but can find few mapping for sites. This study aimed to make a map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s in the Cultural-Historic sites of Yanbian using Google Earth. We made a distribution map from stone age to Qing Dynasty. Symbology for mapping made color symbols by time series and categorical symbols. As a research finding, Sites of Balhae and Yuo-Geum age account for large parts in comparison with other ages in Yanbian. Especially, sites of Goguryeo, Balhae and Yuo-Geum age showed spatio-temporal structure of accumulative layers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s is located in basin and stream area in the early age, and after then historical period moved to hilly sides and mountainous are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offer information for relevant follow-up studies of Cultural-Historic sites.

  • PDF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archaeoastronomical relics in Manchuria

  • Yang, Hong-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47.3-47.3
    • /
    • 2017
  • 한국과 중국에는 오랜 천문 역사와 함께 많은 유물과 유적이 남아 있다. 한국은 삼국시대부터 천문학 전반에 걸쳐 중국 천문학의 영향을 받아왔다. 그러나 한국의 고대 천문학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탓에 역사시대 이전의 두 나라의 천문학 특징과 상호 교류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청동기 시대 고인돌 덮개돌에 새겨진 별자리와 고구려 고분 벽화의 별자리와 삼국사기에 기록된 독자 천문 기록의 검증 등으로부터 고대부터 이어진 우리의 고유한 천문 지식과 문화에 대해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한편, 중국은 고고천문 연구를 통해 중국 여러 지역에서 발굴된 천문유물과 유적의 내용과 특징을 밝히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중국의 고고천문 자료들은 역사시대 이전 고대의 문화 지역인 하모도문화(河姆渡文化), 앙소문화(仰韶文化), 대문구문화(大汶口文化) 그리고 홍산문화(紅山文化)와 하가점하층문화(夏家店下層文化) 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문화지역에서 발견된 고고천문 자료를 지역별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 한반도와 인접한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의 고고천문 유적을 중심으로 중국 다른 지역의 고고천문 유적과 비교하였다.

  • PDF

제주지방 매장문화재의 발굴과 보존

  • 강창화
    • KOMUNHWA
    • /
    • no.56
    • /
    • pp.215-245
    • /
    • 2000
  •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제주도 고고학 발달사를 크게 4기로 구분하여 보았다. 제1기는 1945년 이전 일제강점기에 유적과 유물을 단순하게 보고하는 수준에 머물렀던 시기이고 제2기는 1945년에서 1983년 기간으로 향토사가와 한국 본토의 고고$\cdot$역사학자들의 부분적인 학술조사가 있었던 시기이다. 따라서 1$\~$2기는 제주 고고학의 기본적인 틀을 잡지 못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제3기는 1984년부터 1995년까지로 제주고고학에 있어 본격적인 발굴이 진행되지만 대부분이 긴급 발굴에 해당하고 소규모적인 발굴이었다. 하지만 이 시기에 와서 그 동안 발굴했던 자료와 그 이전의 발굴자료를 모아 나름대로 제주고고학의 시대 편년, 문화 변천 등의 기본적인 틀과 방향을 설정한 시기이기도 하다. 제4기는 1996년 이후 현재까지로 제주고고학의 기본적인 틀 속에서 이를 보완하고 새로운 선사문화의 단계를 설정하는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계기는 제주 고산리유적, 삼양동유적 등이 연차적, 계획적, 대대적으로 발굴되면서 많은 자료가 나왔기 때문이다. 또한 고고학의 범위가 선사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제주목관아지, 성읍객사지, 법화사지, 존자암지, 수정사지, 고내현청터 등 역사유적의 출토자료에 대한 관심이 더욱 집중되기에 이르렀다. 제주도내 매장문화재는 발굴된 유적 대부분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제주목관아지(사적 390호), 항파두리성(사적 396호), 고산리유적(사적 412호), 삼양동유적(사적 416호)로 지정되었다. 제주도 지석묘는 총 24기가 지방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발굴했던 선사유적 중 곽지패총, 북촌리바위그늘집자리, 용담동무덤유적이 지정되어 있다. 역사유적 중 법화사지, 존자암지가 지정되었고 일부 유적지는 복원 중이다. 제주도 문화재를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강화된 새로운 문화재법의 적절한 활용, 매장문화재 발굴 전문기관 설립, 발굴된 문화재의 원상보존, 문화재 주소록 작성, 문화재 행정 전문인력의 확보, 제주문화재의 상징물 선정과 활용, 지역문화재홍보위원의 위촉과 다양한 문화유산 프로그램의 개발을 들었다.

  • PDF

A Study o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ve Approaching about the Ramparts Heritage of Baekje Historic Areas in World Cultural Heritage (세계문화유산 백제성곽의 보존관리와 활용사례에 관한 문화재행정적 접근방안 연구)

  • Jeon, Chil-S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11
    • /
    • pp.321-329
    • /
    • 2017
  • Baekje Historic Areas were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 List unanimously at the 2015 World Heritage Committee held in Bonn, Germany. There are three ramparts in Beakje Historic Areas; Gongsansung fortress in Gong-ju, Busosangsung fortress and the outer city wall in Buye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use plan and the condition of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for enhancing values of the World Cultural Heritage. This paper analyses basic survey, repair, documentation, conservation, management, and the cases of the utilizing these fortresses through literatures and a field studies. This study, based on the management and use of Baekje fortresses, could give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se of other fortresses.

Estimation for the Reduction of Atmospheric Deposition of Air Acid Pollutions in Silla Culture Region (신라문화권 지역에서 산성대기오염물질 침적량 추정)

  • 이승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79-80
    • /
    • 2002
  • 경주시는 신라 천년의 고도로서 신라의 역사와 문화가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는 국내 최대의 역사도시이자 유적도시로 잘 알려져 있으며, 세계적으로 역사적인 문화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불국사, 석굴암, 남산 및 고분군 등의 문화재가 분포하고 있다. 특히, 경주시 지역에는 다보탑, 석가탑, 석굴암 및 불상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석조문화재가 고 밀도로 분포되어 있다. (중략)

  • PDF

An Analysis of Cultural Relics Location (문화유적의 공간적 입지 유형 분석)

  • Kim, Chang-Hwan;Bae, Sun-Ha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5
    • /
    • pp.583-594
    • /
    • 2006
  • Relics are life traces of ancestors, and they are good data for giving an idea about space locations of that period. This study classifies relics according to their type, and for each classified group met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GIS and triangle diagram. The criteria used for analysis of relics' locations are elevation, road accessibility and water accessibilit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every relic has its ow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ime and the type. This means high possibility of approaching a geographical focus on relics distribution and location. While historical period was taking over prehistorical, relics locations moved from the points of great usage water supply possibility to the points of great traffic accessibility. Also, relics of the ruling class for each time period generally have good locations.

  • PDF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Cultural Heritage Sites for Public Education (대중교육을 위한 문화유적의 해석(Interpretation)에 관한 기본연구)

  • Han, Sang-U
    • KOMUNHWA
    • /
    • no.68
    • /
    • pp.41-5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ducational value of cultural heritage sites first and then,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interpretation and interpretation methods and process briefly to utilize cultural heritage sites as important resources for public education and cultural tourism. The educational value of cultural heritage sites is not limited to provide visitors with various information on historical facts and events related to the cultural heritage site, but to provide the public with a new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sites by understanding the site well. In order to utilize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cultural heritage site, interpretation must be emphasiz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cultural heritage sites management and much attention should be given on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interpretation programs in each cultural heritage site. In order to develop an interpretation program of the site, a specific target audience must be defined first to find most resonable scope and direction of an interpretation program and then, site specific interpretation themes (or a theme) should be developed from the interpretive topic. According to these defined elements, an interpretation program(s) is established by using various interpretation methods and techniques in order to provide visitors with useful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the site efficiently. Interpretation methods and techniques are various as defined by various ways and most effective methods or techniques are employed as a specific interpretation program is presented most effectively. The evaluation processes in planing stage, during developing stage, and after completion of interpretation program development are important processes to find out any problems of planed interpretation program and to revise or update the interpretation program. Conclusively, the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sites management in Korea has focused on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sites to preserve the original conditions of cultural heritage sites so far. This direction on current practice on cultural heritage sites management should he changed to more active utilization of the sites and interpretation of the sites is a way to accomplish the this go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