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사문화권

Search Result 16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Significance and Utilization of the Jungwo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중원역사문화권 설정의 의미와 활용 방안)

  • SEONG, Jeongyong;YANG, Sie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4 no.3
    • /
    • pp.204-227
    • /
    • 2021
  • This paper proposed the validity and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Jungwo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by reviewing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name Jungwon and its temporal and spatial range. We also explored ways to utilize the Jungwo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under the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Jungwon, which means the center of the country, has strategic value as a key area connecting the Korean Peninsula to the north and south through the Geripryeong and Jukryeong. It also includes Chungju, which connects the Namhan and Bukhan Rivers . From the Mahan period, the areas of Cheongju and Jincheon, the Miho Stream basin to the west, and Chungju to the east we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Afterwards, Baekje, Koguryo, and Silla engaged in a fierce battle to occupy the Jungwon area. Jungwon culture was born through the negotiation and fusion of the cultures of the three kingdoms. In particular, Silla continued to value the Jungwon area, demonstrated by the installation of Seowongyeong in Cheongju and Bukwongyeong in Wonju, centering on the Jungwongyeong. Since we have a historical view with a focus on ancient kingdoms, we have overlooked the full valu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Jungwon. We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Jungwon area and think about how to utilize it. Therefore, we suggested in this paper that there be more public information services on the cultural heritage of Jungwon, the historical heritage experience, and the education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Jungwon's history, culture, and tourism contents, as well as the various academic research papers should be used to reveal the identity of the Jungwo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Web GIS for Youngsan River Area (Web GIS 기반의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 연구)

  • Jang, Mun-Hyun;Lee, Jeong-Roc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7 no.3
    • /
    • pp.329-339
    • /
    • 2009
  • A historical and cultural map needs an overall reflection of the links based on time and space among the various composite factors, instead of requiring a simple collection of the respective relics in a particular region. The study of history, culture and living environment of river system area, a place that is known to as a cradle of civilization, will be able to undertake a role in the research and comparison with other cultural regions, reaching beyond the regional units until now and moreover investigation the international and intercontinental history of civilization.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al information system for the public use and the insight to the regional identity and materialization of culture based on Korea's peculiar history and culture. Thus, the information system for Youngsan River area aims to create a form of electronic map that contains various cultural and historical information on river system area, which is a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based on Web GIS that is open to public use through the internet. The above mentioned system is a combined product from the basic research data on various fields of study, including archaeology, architecture, arts,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y, folk customs, literature, and food, while it aims for not only its utilization in interdisciplinary studies but also creating new value as a public database. As a result, the expected effects due to the establish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Web GIS of Youngsan River area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can contribute to verify a road map of the study on Youngsan River area. Second, it will take a role to stimulate the academical research on the dynamic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Youngsan River area. Third, we can also expect an effect of gaining a full foothold in providing an electronic academic source specialized for the study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map.

  • PDF

지역건축탐방(8) - 전주ㆍ익산ㆍ군산(하)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0 s.354
    • /
    • pp.53-53
    • /
    • 1998
  • 지난호 상편에서는 전주ㆍ익산ㆍ군산의 역사적 배경과 전주의 도시 건축에 대한 지역성을 탐색했다. 이에 이어 하편에서는 전주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익산과 군산의 도시 건축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상편에서도 언급했듯이 전북을 대표하는 3개의 도시, 전주, 익산, 군산은 지리적 특성과 역사적 특성으로 인해 동일 문화권이지만 지켜온 현상들에서 서로 다르며 격리된 느낌의 단부소외성을 지니고 있다. 전북은 우선 완주, 익산, 고창에 이르는 백제, 마한의 평야와 해안의 문화권과 이씨왕조의 본향으로 고도의 특색을 지닌 도시문화권인 전주권, 거대한 산세를 자랑하는 지리산의 자연과 맥을 같이하는 남원군역으로 크게 대별 되어진다. 전북지방의 건축문화적 토대는 여타의 문화와 동일하게 백제의 숨결속에서 느낄 수 있다. 화려함도, 아기자기함도 없지만 있는 그대로, 한국의 정서를 압축한 듯 절박함을 바탕으로 한 백제의 문화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지나간 시절의 영화가 현재에 재현되거나 지속되고 있지는 못하나 지난 삶의 자취에서, 이곳 사람들의 인정에서, 맛의 문화에서 그 깊이와 멋의 가닥을 찾을 수 있다. 현대의 도시들은 이러한 도시형성상의 문화적 지혜나 건축적 혜안을 관찰하여 이루어지고 있는지 못하다. 우리의 최근의 역사들은 연약하지도, 섬세하지도 않고 오히려 일시에 옛 자취를 휩쓸어 버리는 강성을 지녀 혼이 담긴 과거의 흔적을 유지하기 쉽지 않다. 우리는 이러한 현상을 주시하였고, 옛 백제 문화의 정신을 토대로 성장하고 있는 현재의 모습들을 관찰하며 반성도 했고, 이어지고 남겨져야 할 이 고장의 특성을 헤아렸다. 마지막으로 이 고장의 미래가 발전적이기를 염원도 해본다.

  • PDF

Visiting Regional Architecture-CheonjuㆍIksanㆍkunsan (지역건축탐방(8) - 전주ㆍ익산ㆍ군산(상))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9 s.353
    • /
    • pp.59-59
    • /
    • 1998
  • 이 고장을 대표하는 3개의 도시 전주, 익산, 군산은 지리적 특성과 역사적 특성으로 인해 동일 문화권이지만 지켜온 현상들에서 서로 다르며 격리된 느낌의 단부소외성을 지니고 있다. 전북은 우선 완주, 익산, 고창에 이르는 백제, 마한의 평야와 해안의 문화권과 이씨왕조의 본향으로 고도의 특색을 지닌 도시문화권인 전주권, 거대한 산세를 자랑하는 지리산의 자연과 맥을 같이하는 남원권역으로 크게 대별 되어진다. 전북지방의 건축문화적 토대는 여타의 문화와 동일하게 백제의 숨결속에서 느낄 수 있다. 화려함도, 아기자기함도 없지만 있는 그대로, 한국의 정서를 압축한 듯 절박함을 바탕으로 한 백제의 문화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지나간 시절의 영화가 현재에 재현되거나 지속되고 있지는 못하나 지난 삶의 자취에서, 이곳 사람들의 인정에서 맛의 문화에서 그 깊이와 멋의 가닥을 찾을 수 있다. 현대의 도시들은 이러한 도시형성상의 문화적 지혜나 건축적 혜안을 관철하여 이루어지고 있지는 못하다. 우리의 최근의 역사들은 연약하지도, 섬세하지도 않고 오히려 일시에 옛 자취를 휩쓸어 버리는 강성을 지녀 혼이 담긴 과거의 흔적을 유지하기 쉽지 않다. 우리는 이러한 현상을 주시하였고, 옛 백제 문화의 정신을 토대로 성장하고 있는 현재의 모습들을 관찰하며 반성도 했고, 이어지고 남겨져야 할 이 고장의 특성을 헤아렸다. 마지막으로 이 고장의 미래가 발전적이기를 염원해 본다.

  • PDF

"녹두장군" 전12권 완간한 송기숙씨

  • Kim, Jung-Sik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44
    • /
    • pp.2-3
    • /
    • 1994
  • 올해는 갑오경장.청일전쟁.동학혁명의 백주년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동학혁명을 기념하는 문화적 행사들이 줄을 잇는다. 그것은 오늘날의 역사의식의 수준일 터이다. 햇수로 14년만에 완간된 송기숙씨의 장편소설 "녹두장군"(전12권)은 그 동학혁명 백주년의 문학적 기념비이다. 이 소설은 농민들이 역사의 바다에 이르는 과정을 총체적으로 그려낸다.

  • PDF

Estimation for the Reduction of Atmospheric Deposition of Air Acid Pollutions in Silla Culture Region (신라문화권 지역에서 산성대기오염물질 침적량 추정)

  • 이승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79-80
    • /
    • 2002
  • 경주시는 신라 천년의 고도로서 신라의 역사와 문화가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는 국내 최대의 역사도시이자 유적도시로 잘 알려져 있으며, 세계적으로 역사적인 문화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불국사, 석굴암, 남산 및 고분군 등의 문화재가 분포하고 있다. 특히, 경주시 지역에는 다보탑, 석가탑, 석굴암 및 불상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석조문화재가 고 밀도로 분포되어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Indigenous Culture of Gando and Countermeasure against China's Distorting Action (간도의 우리문화와 중국의 왜곡에 관한 대응방안 연구)

  • Shin, Yong-Woo;Oh, Won-Kyu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4 no.2
    • /
    • pp.25-44
    • /
    • 2014
  • South Korea did not take action when South Korea was in a situation of lost the diplomatic rights in 1909, despite Gando is incorporated into Chinese territory illegally by the Gando Convention between Japan and China. But it is obvious that Gando is called South Korea's territory in various cultural aspects and historical facts scattered in Gando. But China employs every means possible to make it their own territory taking up the territory projects including the China's Northeast Asian Project distorting the facts that Gando is South Korea's territory. This is the ulterior motive to make it their territory by distorting the history and culture rather than arguing right or wrong on the meaninglessly convention. We need to take action about it because we know the ulterior motive of China. To do this, it is really important to reveal the fact who is the original owner of culture scattered in Gando. As cultural sovereignty is also one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territorial sovereignty, real owner of the land is a people who enjoy the culture inhabited in its territory. This paper says that master of Gando culture is ours who are the owner of a northern culture leading from old Chosen dynasty. Because our nation settles the culture in Gando since the release of modern Bonggeum area as well as ancient. In addition to knowing that we are the owner of Gando culture, the researcher proposes a methodology to respond to the China that often distorts the cultural truth. Past history can be manipulated, but culture which is embedded with human's interior mature and formed with exposures out cannot be distort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proposes the political agenda to review whether the Chung history is really a Chinese history or not.

Differential Strategy of Cultural Resource Development in Jung-Won Cultural Region (중원문화권의 문화재 개발의 차별화 전략)

  • Yeh, Ky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1
    • /
    • pp.132-150
    • /
    • 2004
  • According to cultural characteristics, Jung-Won cultural region are divided 10 sub-regions. These regions must be highlighted cultural image as core symbols and created new and regional culture to differentiate development strategy of cultural resources: (1) Chungju: historical and cultural region(stone pagoda of Tap-Pungri), (2) Zechun: cultural region of the righteous soldiers (captain Yu, In-Suk), (3) Dunyang: cultural region of Gogurue(mountain castle of On-Dal), (4) Chongju: educational and cultural region(Zikzi and Chull Dandgan), (5) Boeun: cultural region of buddhism(Bupzoo temple,) (6) Okchun: cultural region of Silla and Bakje(war of Silla and Bakje), (7) Yongdong: cultural region of three provinces(harmony monument stone of Samdobong), (8) Eunsung: cultural region of scholar spirit(Monument of 6. 25 war), (9) Goessan: cultural legion of cofucianism(confucianist Song, Shi-Reull), (10) Zinchun: cultural region of Sam-Guk unification spirit (general Kim, You-Shin).

  • PDF

The Co-Structure of the Thai Legends and the Malay Hikayats (태국 전설과 말레이 히카얏의 공존 구조)

  • Saengthong, Pichet
    • SUVANNABHUMI
    • /
    • v.1 no.1
    • /
    • pp.91-109
    • /
    • 2009
  • 오늘날 태국 남부 국경 부근의 3개주와 말레이 북부의 일부가 포함된 지역은 불교 사회인 태국과 무슬림 사회인 말레이라는 문화적인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문화적 근원을 찾아 보면 분명히 이전의 타이불교와 말레이 무슬림의 근원을 만나게 된다. 이는 역사적으로나 고고학적으로나 혹은 지방문학에서도 뿌리를 찾을 수 있는데 특별히 이 논문에서는 땀난나컨씨탐마랏(나컨씨탐마랏 신화)과 히카얏 메롱 마하왕싸(메롱 마하왕싸 신화)를 중심으로 불교권 타이와 이슬람권 말레이의 문화적인 면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땀난나컨씨탐마랏(나컨씨탐마랏 신화)와 히카얏 메롱 마하왕싸(메롱 마하왕싸 신화) 속에 나타난 두문화, 즉, 불교권 타이와 이슬람권 말레이의 문화는 동일한 구조를 보이고 있음을 밝히고, 그 구조속에 나타난 지도자의 역할과 그 지역의 발전에 종교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음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의 바탕은 Levi-Strauss의 이론으로써 태국 남부의 불교권 타이문화와 말레이 북부의 이슬람권 문화가 얼마나 친밀한 문화적 뿌리를 가지고 있는 지를 알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