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법(曆法)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고십월력재(古十月历在)"내경(内经)"이론중적응용(理论中的应用) -옛날 십월력(十月曆)을 "내경(內經)" 이론(理論)에 응용(應用)함

  • 하연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21 no.4
    • /
    • pp.203-206
    • /
    • 2008
  • 오장(五臟)이 사시(四時)에 응(應)한다는 이론은 "내경(內經)"의 "천인상응(天人相應)" 이론(理論)의 중요내용(重要內容)이다. 오장(五臟)이 사시(四時)에 응하는 것이 몇 가지 서로 다른 역법(曆法)과 관련이 있는데, 일년(一年) 십이개월(十二個月)을 사분(四分) 또는 오분(五分)하는 역법(曆法)으로 오장(五臟)과 결합하는 방식 이외에 저자(著者)는 최근에 새로 발견된 옛날 고십월력(古十月曆)이 "내경(內經)" 중에 명확히 나타나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종류의 옛날 십월력(十月曆)은 "내경(內經)"을 십이월(十二月)에 따른 역법(曆法)으로 해석하면 경문(經文)을 완벽하게 해석하지 못하는 것을 해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오행이론(五行理論)의 근원이 오시(五時)의 관점(觀點)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도 유추하게 해 준다.

  • PDF

An Analysis on the rule of the Calendar(曆律) in 『Hyupgiltongui』 Bonwon chapter one (『협길통의(協吉通義)』 본원일(本原一)의 역률(曆律)에 대한 분석)

  • Kwon, Yung-soo;Kim, Ki-Seung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6 no.1
    • /
    • pp.23-31
    • /
    • 2021
  • The Calendar(曆法) has been a very important concern in every dynasty of history.『Hyupgiltongui』 written in the Joseon Dynasty included many contents related to the Calendar. In particular, the ancient rule of the Calendar(曆律) shown in the text of 『Hyupgiltongui』 Bonwon chapter one is meaningful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necessary Calendar for selection and reading fortune. Accordingly, we tried to analyze the rule of the Calendar(曆律) that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Calandar(曆法) and the almanac which can be used in real life,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Hyupgibyeonbangseo』, 『Sanggiltongseo』 and 『Cheongidaeyo』, which are the basis of 『Hyupgiltongui』. Saju Myung-ri is the scheme of time change by the combination of Ganji (Celestial Stems). Therefore, the core of the calendar system is to make four pillars by the year, month, day, and time. For doing this, 『Hyupgiltongui』 provides basic principles and materials for making four pillars using constellations like 28 Fixed Stars, as well as does simple composition principle for telling fortune such as Ten Celestial Stems, Twelve Zodiac Signs, the order of four seasons(四序), Yukjin(六辰) and Sexagenary Cycle (甲曆). However,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 results produced by the rule of the Calendar(曆律),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f reading fortune in Saju(四柱簡明) is to find good one(吉) in terms of understanding it as the rule of predicting future(術法) not science, its usefulness cannot be ignored.

Research on the history of astronomy and the role of astronomer

  • Lee, Yong B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37.3-38
    • /
    • 2017
  • 우리나라의 천문 관측의 기록의 역사는 삼국시대 이전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선사시대에는 천문 현상을 바위나 건축 유물에 기록을 남기고 역사를 기록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일반 역사 기록 속에 항상 함께 기록하고 있다. 특히 동양은 역사기록 자체가 인간이 남긴 자취뿐만 아니라 하늘과 땅에 일어나는 다양한 자연 현상도 함께 동시에 남겼다. 고대로부터 인간은 하늘과 땅과 항상 유기적인 관계를 갖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정사로서 가장 오래된 역사 기록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일식, 혜성 출현, 별똥과 유성우, 달과 행성 운행, 초신성 관측 등 250회 이상의 천문 기록이 나타나며 대부분 실제로 일어났던 사실을 그대로 기록하고 있다. 그 후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에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천문 기록을 남기고 있다. 이러한 천문 기록뿐만 아니라 일찍부터 중국으로부터 역법을 도입하여 천체 운행을 이용하여 우리 생활에 필요한 시각법을 사용하고 달력을 제작하였다. 특히 달과 태양의 운행 원리를 파악하여 일식과 월식을 직접 추산하였다. 역법의 운용은 천체 운행의 원리를 이해하고 수학을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천문 관측과 정확한 시각 체계를 유지하고 정밀한 역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천체를 정밀하게 관측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천문 관측기기를 개발하고 제작하였다. 천문 의기는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고 천체의 운행을 이용하여 시각 체계를 유지 관리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기기이다. 우리나라 천문학 발달의 네 가지 축인 천문(天文), 역법(曆法), 의상(儀象), 구루(晷漏)등은 조선 초기 세종시대 완성을 보게 되었다. 이는 단일 왕조가 이룬 업적으로 다른 문화권에서 볼 수 없을 정도의 우수한 과학 기술의 유산이다. 특히 칠정산내편과 외편의 완성은 중국의 역법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역법을 완성하려는 시도였다. 이 모든 것은 당시 이를 주도하던 세종대왕의 지도력과 천문학과 수학에 뛰어난 천문학자가 이룩한 업적이다. 그 후 조선 중기로 접어들면서 쇠퇴하다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거의 모든 과학기술의 유산이 파괴되거나 유실되었다. 조선 현종 이후에 세종시대의 유산을 복원하려는 노력 중에 중국을 통하여 서양의 천문학을 도입하게 되었다. 중국에 들어와 있던 서양 선교사들이 주도하여 중국의 역법 체계를 바꾸었다. 즉, 일식과 월식의 예측력이 뛰어난 시헌력을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시헌력에는 서양의 대수학과 기하학을 이용한 다양한 수학적 기법이 사용되었다. 조선 후기에 이 시헌력을 익히기 위한 노력을 하는 과정에서 서양의 수학과 기하학을 접하게 되고 새로운 우주 체계를 도입하게 되었다. 특히 서양의 천문도와 지도 제작에 기하학의 투사법이 사용되어 복잡한 대수학적 계산을 단순화시켜 활용하였다. 조선 후기에 전문 수학자뿐만 아니라 많은 유학자들도 서양의 수학과 기하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였다. 고천문학 전체를 조망해 볼 때 핵심은 현대의 천체물리학이 아니라 위치천문학이다. 따라서 고천문학을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요소가 지구의 자전과 공전 운동에 의해서 일어나는 현상과 세차운동에 의한 효과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그중에서도 구면천문학과 천체역학에 대한 원리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접근해야 한다. 고천문학의 중심인 천문(天文), 역법(曆法), 의상(儀象), 구루(晷漏) 등의 내용은 이러한 위치천문학이 그 기본 골격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고려사의 천문 현상을 모아 놓은 천문지(天文志)와 일식과 월식 계산 원리가 들어있는 역지(曆志)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위치천문학의 기본 개념 없이는 연구하는데 한계가 있다. 인문학을 전공하는 학자가 고천문을 연구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점이 위치 천문학의 기본 개념 없이 접근하는 것이다. 심지어 조선시대 유학자들조차 저술한 많은 천문 관련 기록을 보면 상당부분 천체 운행 원리를 모르고 혼란스럽게 기록된 내용이 적지 않다. 우리나라 수학사를 연구할 경우 방정식 해법, 보간법, 삼각법, 일반 기하 원리에 대한 것을 연구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천문 현상이나 천문 의기 제작에 사용되는 수학은 천문 현상에 대한 원리를 모르면 접근하기 어렵게 된다. 수학사를 하더라고 기본적인 위치 천문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있어야 폭 넓은 수학사 연구에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의외로 천문 현상 추산을 위해 사용되는 수학이나 기하학 원리가 수학사 연구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더구나 한문으로 기록된 천문 내용을 한문 해독이 능숙한 학자라 하더라도 내용을 모르고 번역하면 도무지 무슨 내용인지 알아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한문으로 된 천문 현상 기록이나 역법 관련 기록의 번역 내용 중에 많은 오역을 발견하게 된다. 문제는 한번 오역을 해 놓으면 몇 십 년이고 그대로 그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인용하게 되고 사실로서 인정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우리 선조들이 남긴 고천문 관련 기록에 관한 이해는 우리 현대 천문학자의 역할이 대단히 크다.

  • PDF

『Chūn-qiū』Wáng-lì(『春秋』王曆)➂ - from Zhōu-lì(周曆) to Xià-lì(夏曆), and "Xíng-xià-zhī-shí(行夏之時)" Mentioned by Confucius (『춘추』 왕력(王曆)➂ - 주력(周曆)에서 하력(夏曆)으로, 그리고 공자의 "행하지시(行夏之時)")

  • Seo, Jeong-Hwa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54
    • /
    • pp.153-184
    • /
    • 2017
  • During the Pre-Qin(秦) Dynasty era, there were the records that there had been many calendar systems, such as $g{\check{u}}-li{\grave{u}}-l{\grave{i}}$(古六曆 : six ancient calendar systems). Then, the fact that particularly $zh{\bar{o}}u-l{\grave{i}}$(周曆) and $xi{\grave{a}}-l{\grave{i}}$(夏曆) were mainly discussed among them resulted from a lot of discussions from the differences in the calendar system in "$Ch{\bar{u}}n-qi{\bar{u}}$(春秋)" known to have been written by Confucius from the calendar system in "$X{\acute{i}}ng-xi{\grave{a}}-zh{\bar{i}}-sh{\acute{i}}$(行夏之時 : implement the calendar of Ha dynasty.)" that Confucius mentioned himself to his disciple. $zh{\bar{o}}u-l{\grave{i}}$(周曆) with $d{\bar{o}}ngzh{\grave{i}}-yu{\grave{e}}$(冬至月 : the 11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as the first month of a year had the system of the lunar calendar, and $xi{\grave{a}}-l{\grave{i}}$(夏曆) called as the calendar of Ha(夏) dynasty had the system of $ji{\acute{e}}-q{\grave{i}}-l{\grave{i}}$(節氣曆 : a kind of the solar calendar that divides one year of 365 days into 24 solar terms) with $y{\acute{i}}n-yu{\grave{e}}$(寅月 :one month from the present Feb 5) as the first month of a year. These two calendars had definite differences in the first months of a year, names of seasons, and the lunar calendar and the solar calendar. The fundamental reason why Confucius recommended the performance of $xi{\grave{a}}-l{\grave{i}}$(夏曆) as a way to run the nation was not that it started from the philosophical view of the universe that among the 'three $zh{\bar{e}}ng$'(三正)' of $ti{\bar{a}}n-zh{\bar{e}}ng$(天正 : the first month of a year with the heaven as the standard), $d{\grave{i}}-zh{\bar{e}}ng$(地正 : the first month of a year with the earth as the standard) and $r{\acute{e}}n-zh{\bar{e}}ng$(人正 : the first month of a year with humans as the standard), but that he wan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actical national economic policies to enhance agricultural productivity. It becomes the criterion that even though Confucius emphasized that politicians should not have moral flaws ideally, with regard to public policies, he wanted to stress politicians' duties based on the reality a lot.

A comparative study on the 'Xuan'in the view of Yangxiong & Gehong(2) (양웅(揚雄)과 갈홍(葛洪)의 '현(玄)' 개념 비교 연구(2) - 우주구조론을 중심으로 -)

  • Lee, Jin-yong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42
    • /
    • pp.165-195
    • /
    • 2014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Xuan(玄)' in the cosmology and astronomy, especially in the view of Yang-xiong(揚雄) and Ge-hong(葛洪). The cosmology of the ancient China has opened a discussion about the Tian(天), through the discussion about the celestial structure, the structure and the location relation of the heaven & earth, in the Han-dynasty has been found a systematic theory. But in the ancient Chinese philosophy, the cosmology has been developed in the field of the astronomy & the Oriental calendar. In this context, Yang-xiong(揚雄) and Ge-hong(葛洪) have founded the system of the cosmology, i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Yang-xiong criticized sharply the theory of Gaitian(蓋天說) and advanced the theory of Huntian(渾天說). And Ge-hong support the theory of Huntian(渾天說) and also accepted the theory of Xuanye(宣夜說). Second, Yang-xiong(揚雄) and Ge-hong(葛洪)'s cosmology is regarded as the theoretical premise of their cosmogony. As the discussion about the celestial structure, the structure and the location relation of the heaven & earth, both scholar discussed about the cause of creation, the differentiation process. And in the this context, they founded the cosmology as the concept 'Xuan'. Third, the concept 'Xuan' in the both scholar forms a philosophical system. Yang-xiong insisted that the concept 'Xuan' is the basis of the universe, the human-being and the society. While through realizing the concept 'Xuan', Ge-hong tried to pursue the human-being's agelessness and the eternal life. In this way, their view point of the cosmology is comprised of cosmogony & astronomy. With this perspective, they are going to found the system of their own philosophy.

『Chūn-qiū』Wáng-lì(『春秋』王曆)① - A Study on the Discussion of 'the Changes in the Names of Months and a Season(改月改時)' in the calendar of 『Chūn-qiū(春秋)』 since Song(宋) Dynasty (『춘추(春秋)』왕력(王曆)① - 송대(宋代) 이후 춘추력수(春秋曆數)의 개월(改月)·개시(改時) 논의에 대한 소고(小考))

  • Seo, Jeong-Hwa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67
    • /
    • pp.345-378
    • /
    • 2017
  • In the scriptures of "$Ch{\bar{u}}n-qi{\bar{u}}$(春秋)", the expression method of '$Ch{\bar{u}}n-w{\acute{a}}ng-zh{\bar{e}}ng-yu{\grave{e}}$(春王正月 : It's spring. It's the first month regulated by the king.)' was used as Jì-yuè-fǎ(紀月法 : the rules to determine the first month(正月)), the month of winter solstice was regarded as the first month of a year, and three years since then were named as $Ch{\bar{u}}n$(春 : spring). With regard to this "$Ch{\bar{u}}n-qi{\bar{u}}$"Wáng-lì("春秋"王曆 : the calendar regulated by the king of $Zh{\bar{o}}u$(周) dynasty in "$Ch{\bar{u}}n-qi{\bar{u}}$"), depending on whether Confucius(孔子) changed and recorded the names of the months and the season or not, there were three different arguments; the theory that 'Confucius changed the names of both the months and the season'(孔子改月 改時說), the view that 'Confucius changed the name of the season, not the names of the months'(孔子不改月 改時說), and then the theory that 'Confucius changed neither the names of the months nor the name of the season'(孔子不改月 不改時) since Song(宋) dynasty. The first view was taken by $Hh{\acute{u}}-{\bar{a}}n-gu{\acute{o}}$(胡安國) and $C{\grave{a}}i-ch{\acute{e}}n$(蔡沈), and the second theory was mentioned by Chéng-yí(程?) and Zhū-zǐ(朱子). The advocates of the third view had become remarkable since Ming(明) dynasty, and one of representatives was Wàng-yáng-míng(王陽明). All of them based their arguments on ancient scriptures and Confucian legal books, and there were cases of taking the same records as the support for different opinions. Confucius' so-called 'Chūn-qiū-bǐ-fǎ(春秋筆法 : the method to describe historical facts by making clear discrimination between right and wrong)' and '$Sh{\grave{u}}-{\acute{e}}r-b{\grave{u}}-zu{\grave{o}}$(述而不作 : the attitude to succeed virtuous men's achievements and only explain and describe them not creating and adding new contents)' could come from thoughts of $Z{\bar{u}}n-w{\acute{a}}ng$(尊王 : to respect the king with the virtues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and sincerity). Therefore, even though Confucius is assumed to have been the writer of "$Ch{\bar{u}}n-qi{\bar{u}}$(春秋)", whether he actually changed and recorded the names of the months and the season in the calendar used in "$Ch{\bar{u}}n-qi{\bar{u}}$" is doubtful. These theories on Confucius's intervention in the calendar of "$Ch{\bar{u}}n-qi{\bar{u}}$" hadn't been discussed as conflicting in reality until Tang(唐)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