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내무역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동아시아 역내무역과 물류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East Asian Intra-Trade and Logistics Network-Tasks)

  • 박종문;홍승린
    • 무역상무연구
    • /
    • 제46권
    • /
    • pp.237-261
    • /
    • 2010
  • Resent East Asian economic growth has lead the increase of global trade volume and global logistics to the level of full-scale development as aiming to have quantitative growth in world trades in one hand and increasing mutual dependence among the East Asian Economic Bloc on the other. In other words, East Asian economic current growth is going along as connecting with 2 different process that are the increase of global trade volume and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global logistics system. And mutual dependence among the East Asian Economic Bloc shows the deepening trend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While having the flow of expansion in East Asian trade volume and logistics network in mind, this paper will study on trend in East Asian intra-trade and then study on change & tasks in the East Asian Logistics system.

  • PDF

유럽연합 확대와 역내 교역흐름 및 교역구조 변화 (Intra-European Trade Flow and Trade Structure)

  • 문남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6-420
    • /
    • 2009
  • 유럽연합의 경제적 통합과 지리적 확대는 역내 회원국간 교역흐름과 교역구조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첫째, 유럽연합의 역내 교역량은 경제통합과 단일시장 확대로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러한 교역량 확대는 시장통합에 따른 회원국간 무역창출 및 무역전환효과에 의한 것이기도 하지만, 신규 회원국의 가입에 따른 시장확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신규 회원국의 가입이 교역량 증대에 미치는 효과는 점차 약화되고 있다. 둘째, 경제통합과 단일시장 확대에 따른 무역확대로 서부유럽은 물론 남부유럽과 중 동부유럽의 역내시장에 대한 수출 입 의존도는 증대되었다. 특히 남부유럽 및 중 동부 유럽의 역내 수출 입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증가하였다. 셋째, 유럽연합의 역내 회원국간 교역구조는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과 단일시장 확대로 규모경제가 가능해짐으로써 상품의 차별화에 의한 산업내 교역이 증가하였다. 산업내 교역에서도 수평적 산업내 교역은 감소하고 수직적 산업내 교역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산업내 교역은 서부유럽의 교역에서 높았으며 산업간 교역은 남부유럽 및 중 동부유럽의 교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남부유럽 및 일부 중 동부유럽국가의 교역구조도 산업간 교역에서 산업내 교역으로 변화되고 있다.

  • PDF

아세안의 한중일과의 자유무역협정에 관한 정성 및 정량적 분석 (ASEAN's Free Trade Agreements with China, Japan and Korea: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 젬마에스터에스트라다;박동현;박인원;박순찬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4권2호
    • /
    • pp.1-33
    • /
    • 2014
  • 아세안은 한중일과의 무역을 통한 경제적 연계의 심화현상과 최근 글로벌 위기로 인한 경기침체를 고려하여 새로운 경제성장추진을 위해 동북아의 한중일 삼국과의 무역자유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미 ASEAN-중국, ASEAN-일본, ASEAN-한국 양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어 실행되고 있으며, 이들 3개 양자협정을 아우르는 A+3FTA(ASEAN+중국+일본+한국) 논의도 진행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들 4개 자유무역협정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여 과연 A+3FTA가 아세안은 물론 동아시아 역내에서 보다 바람직한 통상정책인지를 평가한다. 본 논문의 정성적 평가는 기존의 경제통합의 경제적 효과를 결정하는 이론에 근거하여 참여국의 제반 경제적 현황(경제규모, 소득수준, 경제개발수준, 거래비용, 무역 및 산업구조, 관세율 등)을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한다. 한편 정량적 평가는 무역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연산가능한 일반균형모형(CGE)분석방법을 적용한다. 정태적 효과의 분석을 위해서 GTAP 모형을 이용하며, 이와 더불어 동태적으로 투자를 통한 자본축적을 반영하는 자본축적 CGE 모형분석을 병행한다. 분석결과 후생 및 생산확대 측면에서 아세안의 경우 일본과의 양자간 FTA가 한국이나 중국과의 FTA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후생증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며, 아세안과 한중일 모두에게 A+3FTA가 동아시아 역내에서 보다 바람직한 자유무역협정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FTA, 앞으로 이렇게 진행된다

  • 유명희
    • 월간피드저널
    • /
    • 제3권5호통권21호
    • /
    • pp.66-72
    • /
    • 2005
  • 대외경제 규모가 국내총생산(GDP)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명실상부한 통상 국가이다. 쉽게 말해 1만 5천 달러의 1인당 국민소득 중 1만 달러가 무역에서 나오고 국내에서 5천 달러만 생기는 것으로, 싫든 좋든 무역을 통해 먹고 살아야 할 운명을 가진 나라이다. 이렇듯 무역규모 12위의 통상국가인 우리나라는 오늘날 커다란 도전에 직면해 있다. 우리의 수출시장인 주요 교역국들이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을 통해 그들끼리 관세를 철폐하며 더 높은 수준의 무역 자유화를 주고받는 배타적인 시장을 형성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FTA는 이제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세계 각국의 필수적인 통상정책이 되었다. 세계무역기구(WTO)에 따르면, 금년 1월로 162건의 FTA가 발효 중이고, 올 연말까지는 FTA 역내국간 무역이 세계무역의 5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제일의 경제대국인 미국도 예외는 아니어서 FTA 체결국과의 교역이 35.3$\%$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지난해에서야 첫 번째 FTA인 한$\cdot$칠레 FTA를 천신만고 끝에 발효시켰을 따름이다.

  • PDF

RCEP 참여국의 역내 무역 및 후방참여 연계성 분석 (An Analysis of Intra-Regional Trade and Backward Linkages on Global Value Chains among the RCEP Members)

  • 최현정;이현훈
    • 무역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95-112
    • /
    • 2021
  •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signed by the 15 Asian countries in 2020 forms the world's largest free trading bloc. Using data for the period 2001 - 2019, this study evaluates global value chains (GVCs) among the RCEP members, with a primary focus on GVC backward participation which involves imports intermediates embodied in exports. This study finds that the RCEP's intra-regional linkages, particularly with the ASEAN member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ts extra-regional linkages in trade and GVC backward participation. Among the individual RCEP member countries, Korea is found to have a particularly strong intra-regional linkages with the ASEAN members in both trade and GVC participation.

수출입 물류에 동아시아 금융협력이 미치는 영향 분석 (A Study on the Effect of Financial Cooperation in East Asia on the Export-Import Logistics)

  • 강보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1-177
    • /
    • 2011
  • 오늘날 글로벌 금융환경에서는 국가 간 자본이동이 확대되고 금융시스템의 밀접한 연계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느 특정 국가의 금융위기는 지역 및 글로벌 금융위기로 전이될 소지가 매우 높다. 최근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global financial crisis)는 과거 1997~1998년 동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이 추진하였던 지역 금융협력 및 통합의 필요성을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동아시아 지역 내 금융위기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역내 국가들은 독자적인 유동성 공급을 위한 치앙마이합의(CMI)와 치앙마이합의 다자화(CMIM)를 실현하였다. CMI와 CMIM에 따른 역내국들 간 통화스왑협정(bilateral swap arrangement)의 확대는 역내 금융위기 발생 시 외화유동성 부족 해결, 지나친 외환보유고 축적에 따른 기회비용 제거, 그리고 견고한 금융협력을 통한 금융통합 추진 및 상호무역의 촉진에 목적이 있다. 동아시아는 특유의 생산네트워크 체제(production sharing system)구축으로 역내교역 비중이 대단히 높다. 금융 통합의 사전적 단계인 긴밀화된 금융협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동아시아 국가들의 금융협력이 역내 수출입 물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임의효과모형 (random effect estimation)과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estimat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독일의 전자무역 시스템 여건 및 전자무역 관련 법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and the law related with a electronic trade in german)

  • 권오
    • 정보학연구
    • /
    • 제6권3호
    • /
    • pp.11-32
    • /
    • 2003
  • 독일의 무역제도는 독일 대외경제법과 대외경제법 시행령을 근간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는데 EU의 지침에 영향을 받고 있다. 독일의 전자무역과 관련한 시스템 구축여건은 아직 열악한 상황에 있다. 이것은 독일의 전자무역시스템 구축이 EU 역내 회원국들의 전자무역시스템 구축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본다. 그렇지만 현재로서는 전자무역 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우려할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독일의 전자무역 관련 법제는 EU와 연계되어 제정 또는 개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가 독일과의 교역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독일 무역시장에 대한 다각적이고도 체계적인 연구를 하여 독일과 직접 전자무역을 하거나 계획을 갖고 있는 관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이해를 증진시킬 때 그 효과가 극대화 할 것이라고 본다.

  • PDF

국제동향 - 아시아통합물류시스템 구축의 핵심적 추진역할 (Asia Pallet System Federation & Asia Unit Load School)

  • 박은규
    • 파렛트 뉴스
    • /
    • 통권57호
    • /
    • pp.4-7
    • /
    • 2010
  • 파렛트는 물류의 기본이다. 아시아 파렛트 표준화를 실현하여 아시아 통합물류시스템을 구축하면 아시아 물류선진화를 통하여 역내 물류효율화는 물론 무역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사)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는 지난 2002년부터 본 사업에 착수하여 2006년에 APSF(Asia Pallet System Federation) 창립 운영과 AULS(Asia Unit Load School) 교육활동으로 아시아 전역에 많은 물류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왔으며 앞으로도 계속 이어나가 아시아 일관수송용 표준파렛트를 통한 아시아통합물류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할 것이다.

  • PDF

디지털 무역협정의 국경 간 데이터 이전 자유화 연구 (A Study on Liberalization of Cross-Border Data Transfer in Digital Trade Agreements)

  • 정재승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7-628
    • /
    • 2022
  • 디지털 무역은 관련 산업 및 거래의 종류가 다양하고 범위도 넓어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명문화된 정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기존 상품 중심의 전자상거래를 포함, '인터넷과 ICT 등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국가간 교역 활동(상품+서비스+Data) 전반'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IT 등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무역에 혁신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고, 미국, EU, 일본 등 선진국들은 데이터 이동 자유화 등 디지털 무역 이슈를 디지털무역협정의 협상안건에 포함시키고 있다. 국경 간 데이터 이동 자유화에 대한 쟁점은 디지털 무역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 이동의 자유가 필요하나, 정보 보안과 사생활 침해의 위험성도 증가한다는 것이다. 선진국들의 방향을 살펴보면, 미국은 규제 최소화, 유럽은 역내 단일시장화는 찬성하나 소극적 대외 개방, 중국은 규제를 통한 독자적 시장육성 입장을 치하고 있다. 따라서 국경간 데이터 이동 제한조치 강화 조치는 최근 국가별로 정책이 시행되고 있거나 조만간 국제적 합의가 예정되어 있는 이슈로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