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Liberalization of Cross-Border Data Transfer in Digital Trade Agreements

디지털 무역협정의 국경 간 데이터 이전 자유화 연구

  • Published : 2022.05.26

Abstract

There is no internationally accepted codified definition of digital trade because of the wide variety and scope of related industries and transactions(product + service + data) in general. Recently, innovative changes are taking place in digital trade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uch as IT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EU, and Japan are including digital trade issues such as data movement liberalization in the negotiation agenda of the digital trade agreement. The issue with the liberalization of cross-border data movement is that freedom of data movement is necessary to vitalize digital trade, but it also increases the risk of information security and privacy violations. Looking at the directions of advanced countries, the US favors minimization of regulations, Europe favors regional single marketization, but passively opens up to the outside world, and China promotes independent markets through regulations. Therefore, measures to strengthen restrictions on cross-border data movement are an issue that has recently been implemented by each country or an international aggrement is scheduled to be reached soon, and Korea also needs a close response.

디지털 무역은 관련 산업 및 거래의 종류가 다양하고 범위도 넓어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명문화된 정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기존 상품 중심의 전자상거래를 포함, '인터넷과 ICT 등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국가간 교역 활동(상품+서비스+Data) 전반'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IT 등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무역에 혁신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고, 미국, EU, 일본 등 선진국들은 데이터 이동 자유화 등 디지털 무역 이슈를 디지털무역협정의 협상안건에 포함시키고 있다. 국경 간 데이터 이동 자유화에 대한 쟁점은 디지털 무역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 이동의 자유가 필요하나, 정보 보안과 사생활 침해의 위험성도 증가한다는 것이다. 선진국들의 방향을 살펴보면, 미국은 규제 최소화, 유럽은 역내 단일시장화는 찬성하나 소극적 대외 개방, 중국은 규제를 통한 독자적 시장육성 입장을 치하고 있다. 따라서 국경간 데이터 이동 제한조치 강화 조치는 최근 국가별로 정책이 시행되고 있거나 조만간 국제적 합의가 예정되어 있는 이슈로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