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의도 샛강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6초

여의도 샛강 흐름 정체와 수질악화 원인 분석 (Analysis of the Causes of Flow Stagnation and Water Pollution in Yeouido Saetgang River)

  • 강형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1호
    • /
    • pp.25-32
    • /
    • 2019
  • 도시지역 샛강은 생물이 서식하기 어려운 도심지에 다양한 수변공간을 제공하여 생물다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시민들에게는 휴식 및 체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여의도 샛강은 국내 최초의 생태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서울 도심 중심에 흐르고 있어 장소적 희소성이 크고 생태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여의도 샛강은 조성 당시부터 수질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고 있어, 샛강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의도 샛강 흐름 정체와 수질 악화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하천 측량 및 항공사진 분석을 통해 자연적인 물 순환이 어려운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한편, 여의도 샛강의 수질 모니터링 결과, 비가 오지 않는 평상시에는 BOD, T-P는 평균 III등급과 IV 등급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강우 시에는 BOD, T-P 모두 V~VI 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수분구 분석을 통해 샛강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소유역을 선정하였으며, 결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여의도 샛강 방문자의 활동 및 인식 패턴 분석 (Analysis of Activity and Perception Patterns of Visitors in Yeouido Saetgang River)

  • 강형식;조성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3호
    • /
    • pp.431-439
    • /
    • 2019
  • 여의도 샛강은 1997년 국내최초 생태공원으로 조성된 이후 이용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이용 현황은 인근 한강 공원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저조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샛강 방문자 1,000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용자들의 샛강에 대한 인식과 활동 패턴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체 이용자 중 약 60 %가 도보를 이용한 인근 주민이었고, 대부분 가벼운 운동이나 산책을 하며 시간을 보내는 등 일반 서울시내 도시공원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통계분석을 통해 응답자 특성에 따른 샛강에 대한 인식과 활동 패턴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샛강에서의 활동 패턴이 샛강에 대한 만족도, 애착심, 참여의식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신길${\sim}$여의도간 샛강 인도교 디자인 (Design of the Footbridge over the Branch between Singil and Yoido Analogy and Analysis)

  • 박선우;송태섭
    • 한국공간구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구조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3권1호(통권3호)
    • /
    • pp.132-141
    • /
    • 2006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sign process of the footbridge over the branch between Singil and Yoido. For the design of a resonable and beautiful footbridge, it is required to consider technical methods and artistic geometry. The design approach to this footbridge is related with both the field of science and art, therefore from starting the process is made in cooperation with engineers and architects. It results in not only reasonable but economical structural master piece to close the gap between a technology-oriented tendency and a artistic inclination toward structural design.

  • PDF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조성 후 3년간의 식물상 변화 (Floral Changes During Three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Youido Ecology Park)

  • 전승훈;차윤정;최정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6-8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ure out the floral changes during three years after construction of the Youido Ecology Park. Yearly change of plant species composition, distributed at the research field, had been investigated for three years since 1996. To compare and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cology Park, we have analyz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lant species, exotic naturalized species, and so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1) Total numbers of plant species were 106, 170, 175, and 148, in the year of 1996, 1998 1999, and 2000, respectively. While the most of cultivated species before th establishment were decreased, the naturalized species such Phargmites communis Trin, and Artemisia selengensis Turcz. etc, were increased. 2) Forty three species of exotic naturalized species were investigated and were in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the establishment, but showed decreasing trend recently. 3) Sixty five species of introduced and planted species were investigated. Most of them were occurred at the first year after the establishment, but since 1999,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ecrease. 4) Sixty seven species among total 235 were verified as the wetland-adapted plants. The ratio to the total numbers were low, but the occupied area of a few species was expanded. Therefore, it indicates that monitoring on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Youido Ecology Park was urgently required.

  • PDF

도시 생태공원 이용자 특성 연구 - 길동생태공원,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을 사례로 - (The Visitors Characteristics of Urban Ecological Park - The Cases of Gildong Ecological Park, Yeouido Tributary Ecological Park -)

  • 김은영;이정아;김형곤;전진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4-74
    • /
    • 2014
  • 생태공원은 자연 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활성화하고 대상지를 기반으로 환경 교육을 위한 장소로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생태공원에서 운영되는 생태 체험 프로그램은 이용자들이 직접 체험하고 관찰하는 방식의 교육으로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여가편익을 반영하여야 하지만,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생태공원에 대한 여가편익을 심층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공원을 방문하는 이용자들의 환경태도, 여가편익,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길동생태공원,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총 282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통계적 분석결과, 생태공원을 방문하는 이용자들의 환경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이용자들의 생태공원 방문시 자연친화적 경험에 대한 교육과 전문적인 지식 확대에 대한 여가편익에 높은 기대를 하고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공원을 통해 이용자들이 원하는 여가편익이 방문하기 전 기대와 방문 후 여가편익의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용자들이 생태공원을 방문할 가치가 있었다고 느꼈으나, 교육적인 측면의 여가편익에서는 방문 전 기대보다 불충분한 만족을 느끼고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방문 후 여가편익은 생태공원 전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긍정적인 환경에 대한 태도는 전체 방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의 생태공원이 일반 공원과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공원을 방문하는 이용자들도 차이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생태공원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여가편익인 자연친화적 경험과 생태교육의 다양성을 중심으로의 일반공원과의 차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서울시 습지지역의 탄소저장 및 경제적 가치 평가에 대한 연구 (The Evaluation of Carbon Storage and Economic Value Assessment of Wetlands in the City of Seoul)

  • 최지영;오종민;이상돈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2호
    • /
    • pp.120-132
    • /
    • 2021
  •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은 자연환경보전법과 자연환경보전조례에 근거하고 있다. 2018년 제13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습지 생태계서비스 간편평가 도구'가 채택되었으며, 람사르습지 도시 인증제 항목에 습지 생태계서비스 평가 항목이 포함됨에 따라 이를 평가할 자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생태경관 보전지역 중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은 습지 5곳을 선정하여 InVEST 모델로 탄소저장량과 경제성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탄천습지 3,674.62 Mg, 한강 밤섬 1,511.57 Mg, 고덕동 습지 5,007.21 Mg, 암사동 습지 7,108.47 Mg, 여의도 샛강 습지 290.27Mg으로 도출되었다. 이 중 탄천습지는 2013년의 탄천습지의 탄소저장량은 4,804.99 Mg로 탄소저장량 1,130.37 Mg 감소하여 실효탄소요금 평균값인 $16.06(US)를 적용하였을 경우, $15,910.58(US) 손실된 것으로 환산되었고, 기후변화에 따른 생산성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 탄소의 사회적 비용 평균값인 $204(US)를 적용하였을 경우, $202,101.97(US) 손실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주요 습지지역을 선정하여 도심 속 습지가 주고 있는 자연자원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주요 습지의 생태적 가치 평가를 통하여 생태경관보전지역 보호 및 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습지 가치 평가에 대한 중요 의제로 간주되고 있음에 따라 향후 람사르 습지도시 인증제 항목에서 생태계서비스 평가 방안 제시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람사르 습지를 인식하여 중요한 습지의 발굴 유도에 활용이 가능하며, 도심지역 내 습지 보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증진과 람사르 습지의 국제적 교류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