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성 이미지

Search Result 40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 - 1990년대 여성복을 중심으로 -

  • 이화정;채금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1-41
    • /
    • 2001
  • 본 연구는 1990년대 밀리터리 패션에서 성적 이미 지의 표현양상을 살펴보고 각각의 미적 특성과 형성 요인을 분석하여 현대 여성의 다양한 미적 가치와 미의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1,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자연스럽게 등장한 밀 리터리 패션은 20세기 초반에 여성의 사회참여와 지 위 향상으로 인해 실용성과 기능성을 추구하였고 중 반에 들어서면서 히피와 젊은 세대들에 의해 반전운 동의 일환으로 입혀져 안티패션의 의미를 내포하게 되었으며 후반에는 포스트모더 니즘으로 인해 다양성 을 추구하는 복고풍의 패션 트랜드로서 각종 컬혜션 에서 부각되었다. 그 결과 밀리터리 패션은 기존의 남성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여성적 이미지도 표현하 게 되었다. 이러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 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의 남성적 이 미지와 보수적 이미지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 지의 여성적 이미지로 표현되어 나타났다. 남성적 이미지는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남성 중심적 사고 방식에 도전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자아의식이 한층 강하게 작용한 일종의 반 패션 현 상으로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로 특정지을 수 있다. 첫째, 권위적 이미지는 주로 고전적 군복과 제복의 이미지를 차용해 군복이 가지는 권위와 위엄을 표출 하였으며 남성 우월주의에 기초한 영웅주의를 가시 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떳떳하게 자신의 위치를 세 우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를 대변하였으며 영웅주 의와 가부장제도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공격적 이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에 대한 저 항과 기존의 성 정체성에 대한 저항으로써 전위적인 형태와 해체적인 표현으로 본래의 위엄있는 군복의 이미지를 무너뜨려 남성다웅의 표면적인 메시지를 약화시키고자 하였으며 반체제 정신, 성 정체성에 대 한 저항, 해체주의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적 이미지는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여성 본래의 성을 부각시키고 여성이 주체가 된 여 성중심적 사고로 여성의 감성적 심리를 패션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보수적 이미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지로 특징 지을 수 있다. 첫째, 보수적 이미지는 남성적 영역이라고 믿어왔 던 군복에 여성성을 강조하여 가늘고 유연한 실루엣 과 곡선적인 라인, 색채. 심플한 디테일만으로 밀리 터리 패션을 표현하여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여성도 사회의 중심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 였으며 남성 권위의 추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 였다. 둘째, 과시적 이미지는 전통적 군복이 과거의 상 류층 엘리트들만의 아이템이었듯이 현대의 여성들은 신분과 매력의 과시를 표현하고자 금속 단추나 벨트 등 기타장식을 부각시킨 밀리터리 패션을 착용하였 으며 엘리트층에 대한 동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관능적 이미지는 신체의 간접적인 노출과 직접적인 노출을 통해 여성의 신체에 의한 에로틱한 관능미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나르시시즘과 보이고 자 하는 욕구, 성적 유희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패션을 통해 자아를 표현하고 미적으로 자기완성의 방편을 삼으려고 한 현대 여성들의 가치 관과 미의식을 이해하며 이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패 션 트랜드와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Human Image Analysis Through Fashion Color of Female Political Leaders (여성정치지도자의 패션컬러를 통해 본 휴먼이미지 연구)

  • Kim, Se-A;Jang, Seo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2
    • /
    • pp.247-256
    • /
    • 2017
  • 21st century has become an era can design human's image. By designing the each human's images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hidden abilities of their mind. Modern society changes rapidly where the elements such as consideration, sympathy, understandings, and female leadership of communication emerge as a spur rather than speediness or complexity.In a lot of global conglomerates, it is very common for women to be selected as CEO, and even more, the rate of woman who are the member of Congress is almost 40%. The fashion of female leader has come to the fore with an improvement of female leadership, and the fashion colour which is suitable to P.O has been developed as a significant image strategy. I am going to conduct the research and analyse the fashion of a female political leader through the colour image which is equivalent to a visual image and sensitive language. I will analyze the human image which female leaders present through fashion colors.

여성작가가 만드는 여성 이미지 왜곡

  • No, Hye-Gyeong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42
    • /
    • pp.10-10
    • /
    • 1998
  • 어떻게 보면 여성 자신에 의해 만들어지는 왜곡된 여성 이미지는 "아버지"나 "선택"이 초래한 것보다 훨씬 더 많은 패해를 여성들에게 입히고 있다. 올해 상반기 도서판매순위 50위 가운데 여성저자의 책이 얼마나 있는가를 보아도 알 수 있다.

  • PDF

Institutionalized Images of Womanhood under the Orde Baru in Indonesia (여성다움의 제도화된 이미지: 인도네시아 신질서 체제하에서)

  • KIM, Ye Kyoum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7 no.2
    • /
    • pp.119-153
    • /
    • 2017
  • This paper examines the institutionalized images of Indonesian womanhood during the Orde Baru (New Order; 1966-1998). In doing so, it discusses these images as manifested in the Indonesian constitution, 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such as 'Dharma Wanita' and 'Pembinaan Kesejahteraan Keluarga' (PKK), school textbooks and 'Televisi Republik Indonesia' (TVRI) dramas. Under the post-1966 Orde Baru, certain images of womanhood were institutionaliz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state ideology of womanhood ('ibuism') which emphasizes women's roles in the domestic domain. These institutionalized images were propagated largely by 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Dharma Wanita' and 'PKK', and even transmitted through educational text-books and mess media such as TVRI. In conclusion, it also points out that since the mid-1990s, other 'discursive' and 'multi-faceted' contemporary images of womanhood have emerged through the mass media in Indonesian society. Consequently, images of Indonesian womanhood were somehow contested by 2000 and beyond. This paper is expected to develop a detailed discussion on the 'means' and 'contents' of the state ideology of womanhood. Therefore, this paper is expected to add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comprehending the institutionalized images of Indonesian womanhood during the Orde Baru regime.

Analysis on Visual Grammar of Female Images in Cover of Feminist Magazine Covers (페미니스트 잡지 표지 사진의 여성 이미지에 대한 시각 문법 분석)

  • Joo, Hae-Rin;Park, Soo-J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1
    • /
    • pp.275-284
    • /
    • 2021
  •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image of women in feminist magazine covers. Along with fundamental analysis of the female image that appeared on the covers of feminist magazines and the grammar of visual design by Kress and van Leeuwen, a methodology of socio semiotic research,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e and driving principles of symbols that have organized female images. The subject of analysis is set to 200 covers of magazines published from the 1960s to the 2010s. Through analysis, first, female images represented in the covers of feminist magazines showed women of various races, age groups, appearances, and occupations, and the degree od emphasis on the physique was fewer and natural-looking. Second, the study confirms that feminist magazines actively utilize representational and interactive metafunctions to deliver symbolic information such as messages of confidence, strength, and courage. Third, the organized symbols affected the recipient's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images. I hope this study helps to contemplate ways to express female images and the dynamic and diverse aspects of women.

Relationship of Rhythmic Exercise Participatio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among Women (여성의 리듬운동 참가와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 Song, Kang-young;Koo, Kyoung-ja;Kim, K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8-16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리듬운동 참가와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09년 서울 경기도 지역 2009년 서울 경기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스포츠센터, 일반동호회, 지역동호회, 댄스학원, 일반인을 대상으로 리듬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20~50대 성인여성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300명을 추출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듬운동 참가여성은 비참가여성에 비해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리듬운동 참가기간은 체형, 만족, 유연성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참가강도는 체형과 근력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리듬운동참가기간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참가빈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의 리듬운동 참가정도는 신체이미지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 PDF

Visual Interaction between the Stereotype of Women's Body Image and Its Internalization - with the Analysis of Images on the Advertising of Body-line Care Company - (여성 몸 이미지의 전형과 내면화 과정의 시각 체계적 상호작용 - 몸매관리산업 광고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

  • Lee, Suan
    • Women's Studies Review
    • /
    • v.26 no.1
    • /
    • pp.73-108
    • /
    • 2009
  •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concerns about the body have devoted to extend the concept of body from its physical level to the spiritual and corporeal level. Now body is not only an instrument which expresses one's personal character, but also an abstract concept which shows one's identity. Through this tendency, body image as a representation becomes notable as much as physical body itself. This tendency has been exaggerated especially for women and the socio-cultural common notion is forcing them to internalize it by presenting several stereotypes of body image. The concept of body image, a rising academic subject becoming a socio-cultural matter of interest, bears an epistemological base about spirit, body, and individual/social character. As the discussion about body develops in the field of women's studies, deepened discussions about body image are in progress. In this article interaction between the making of stereotypes of the female body in the socio-cultural circumstance and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of these stereotypes is analyzed. For the analysis, the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at this interaction constructs the making process of body image. The analyzed materials are images and texts for advertisements, and other materials for public relations which are posted on the homepage of body-line consulting company 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to summarize as follows; the stereotypes of the female body image in Korea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westerners, and male gaze plays a big role in the construction of female body image throug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gaze by women.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ort that women should strive to produce and to develop healthy female body images.

A Study on Body Image Satisfaction in Femal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여성 구급대원의 신체이미지 만족에 관한 연구)

  • Ra, Hyean-Sook;Park, Jeong-M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8
    • /
    • pp.3824-383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at baseline characteristic is most related with body image satisfaction and identify which items are the lowest score on body image and their related behaviors in femal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EMTs). Female EMTs(n=96) working in the G provence completed a battery of questionnair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ody imag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p=.007, 95%CI: 2.937~19.180) in female EMTs. Subjects were most satisfied with their sex(male or female)(M=3.34, SD=0.72) and they were most dissatisfied with sleep(M=2.61, SD=0.85). The skin protective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kin concerns(p<.05).

Factor Structure of Imagery on Odors :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향(香)의 이미지 인자구조: 남녀차에 관한 연구)

  • 민병찬;정순철;김수진;김혜주;김상균;민병운;오지영;신정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17-422
    • /
    • 1999
  • 지금까지 향의 이미지에 따른 감성 평가에 관한 연구, 특히 성별에 따른 차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향의 이미지에 따른 성별 감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네 가지 향 (Jasmin abs, Rose oil bulgalian, Lavender oil france, Lemon oil misitano)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주관적 평가를 분석하였다. 후각 실험 및 주관적 평가는 20-26세의 남자10명, 여자10명으로 구성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주관적 평가는 향의 세부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후각 감성 형용사를 이용하여, 양극의 7점 척도 25문항, 단극의 5점 척도 40문항, 그리고 각 향의 전반적인 선호도를 묻는 양극의 7점 척도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남성과 여성 모두 Lemon향을 가장 쾌한 감성의 향으로, Rose향을 가장 자극적인 향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은 심리척도의 보편적인 정서인 쾌/불쾌, 자극/진정의 감성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별로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에 비해 남성이 Rose향을 정열적이고 화려한 향으로 느낀다거나, Jasmin 향에 대하여 남성은 여성적인 향으로 생각하는 반면, 여성은 Jasmin 향을 남성적인 향으로 평가하는 등 각 향에 대한 세부적인 이미지에는 여성과 남성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 PDF

The Relationship of Clothing Behavior to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Older Men and Women (노년층 남녀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4 no.8
    • /
    • pp.1187-1196
    • /
    • 2000
  • 본 연구는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자아존중과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며, 끝으로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과의 관계에 있어서 남녀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나이 55세 이상의 미국 남부와 거주하는 남성과 여성으로 30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08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18부분에 대한 만족도로 측정하였고, 자아존중은 Rosenberg의 자아존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의복행동은 의복태도, 유행의견선도력, 쇼핑에 대한 만족, 상점충성도, 의복비 지출을 포함하였다. 결과로 남녀 노년층에게 있어 신체만족도는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 상표충성도에 대한 상관관계가 있어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아존중은 남녀 모두에게 있어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의 관계에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