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성 간호사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1초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피로수준 및 관련요인 (Fatigue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 박안숙;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164-2172
    • /
    • 2009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수술실, 중환자실, 응급실)와 병동 근무 간호사의 피로수준을 비교하고 그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08년 8월에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400병상 이상의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여성 간호사 39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균 피로점수는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가 병동 근무 간호사보다 높았다. 다중회귀분석결과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는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의 경우 주관적 건강 상태, 연령, 간호직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주요 설명변수로 선정되었으며, 병동 근무자의 경우는 주관적 건강 상태, 평소 수면 시간, 교대 근무, 간호직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주요설명변수로 선정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볼 때,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는 병동근무간호사에 비해 피로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특수부서 근무간호사와 병동 근무간호사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문직 자아개념과 감정노동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여성아동병원 간호사 사례를 중심으로 (Impact on the Degree of Labor turnover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motional labor: A Case of Female Children's Hospital Nurses)

  • 신선희;최혁라;김선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75-38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직 자아개념과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보는 것으로서, 감정 노동 상황에 노출되며 전문직 자아개념의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여성아동병원 간호사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직자아개념과 감정노동간의 관계에서는 전문직자아개념의 구성요소 중 업무만족감만 감정노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는 전문직 실무 업무에 대한 자부심과 업무만족감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과 이직 의도간의 관계에서는 감정노동중 표면행위만 이직의도에 정의관계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아동병원 간호사처럼 전문성을 지니며 감정노동이 강한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전문가로서의 자부심이 강한만큼 전문가로서의 인정 및 업무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조직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감정노동의 내면화나 표면행위에 따른 부정성 해소 방안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전문병원 간호사들의 다문화 환자 돌봄 경험 (The Lived Experiences of Clinical Nurses Who working at the Women's Hospital Caring for Foreign Wives in Korea: A Narrative Study Approach)

  • 이봉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88-198
    • /
    • 2016
  • 결혼이주를 통한 외국여성의 국내이주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질병 및 출산으로 인한 의료기관 방문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관광 등 외국인 환자의 국내 의료기관 이용이 활발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국인 환자의 증가에 발맞추어 여성전문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외국인 환자에 대한 인식과 돌봄 현황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으며 세부적으로 임상현장에서 외국인 산모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임상간호사의 경험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 중 서사연구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다문화 환자 및 자녀를 돌본 경력이 5년 이상인 임상간호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외국인 환자를 돌본 임상간호사의 경험은 돌봄제공자의 시각에 따라 자민족중심 시각, 수용적 시각, 그리고 문화중심시각으로 나누어 각 시각에 따라 제공되는 간호의 질을 파악해내었다. 특히 타문화에 대한 존중 및 환자 맞춤형 돌봄이 제공되고 있는 경우 돌봄제공자는 스스로를 치료적 돌봄제공자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현장에서는 타문화에 대한 민감성과 문화중심 돌봄의 필요성에 대한 자각과 교육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질 필요가 있다.

종합병원 여성간호사의 폭력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olence Experience on Depression in General Hospital Female Nurses)

  • 이지선;최은희;정혜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03-112
    • /
    • 2018
  • 본 연구는 종합병원 여성간호사의 폭력경험을 파악하고, 폭력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의 여성간호사 2,714명이었다. 연구결과 종합병원 여성간호사의 근무 중 폭력경험은 언어적 폭력,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의 순으로 많게 나타났고, 우울에는 연령, 결혼상태, 근무형태, 언어적 폭력경험, 성적 폭력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성적 폭력경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폭력의 심층적인 확인을 위해 인터뷰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 연구 및 직종에 따른 직장 내 폭력과 대응의 차이를 확인하여 보다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남자 간호사의 태움 경험 (Male Nurse's Taeoom Experience)

  • 홍경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4호
    • /
    • pp.83-91
    • /
    • 2024
  • 본 연구는 남자 간호사의 태움 경험을 탐색하여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태움 경험이 있는 임상 경험 1년 이상의 남자 간호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Colaizzi)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남자 간호사의 태움 경험은 37개의 의미단위, 19개의 주제, 4개의 주제모음으로 구분되었으며, 4개의 주제모음은 '한 사람의 인생을 송두리째 변화시키는 체험', '여초조직에서 살아남기', '변화되기 어려운 간호조직', '나는 간호사'로 나타났다. 남자 간호사의 태움 경험은 남성의 특성을 이해받지 못한 채 나홀로 여성이 다수인 간호조직 내에서 적응을 위하여 고분군투하는 남자 간호사의 모습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 간호조직의 차원에서 남자 간호사의 특성을 이해하고 조직 내에서 융화하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분만장 간호사의 사산아와 부모 돌봄 경험 (Delivery Room Nurses' Experiences of Caring for Stillborn Babies and Their Parents)

  • 장혜영;정재원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6-18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delivery room nurses' experiences of caring for stillborn babies and their parents. Methods: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 to August 30, 2016. A total of six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data subsequently analyzed. Results: Using thematic analysis, six themes were defined and refined: Emotional distress as a result of encountering stillborn babies; Caring for the deceased baby; Concerns for the mother's pain; Consideration for the father; Conflicts between accepting and dismissing parents' requests; and Strong mindset for the stillborn babies and their parent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rses' experiences of caring for stillborn babies and their parents might be a difficult and lonely process. However, it could also be a process of attaining maturity by finding meaning and value in one's work. It would be helpful for the delivery room nurses to share examples of effective communication, train through simulation, and learn useful strategies that each nurse can use.

기혼간호사 대상 자궁경부세포 검진의 변화 단계에 따른 관련요인 (Relating Factors in Pap Smears by Stages of Change among Married Nurses)

  • 김혜원;정연이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7-325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health belief variables and HPV (Human Papillomavirus) knowledge in Pap smears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ange using Trans-theoretical Model (TTM) among married nurse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cross sectional survey. Participants were 387 married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located metropolitan city. Measurement variables were perceived threatening, perceived severity, benefits of Pap, HPV knowledge and stages of the change in Pap smear. Results: Classified stages were pre-contemplation 3.9%, contemplation 17.8%, relapsing 29.5%, action 31.0%, and maintenance 17.8%. Accuracy rate of HPV knowledge were low ranging from 15% to 45%. Among the variables, perceived threatening (F=3.56, p=.007), perceived severity (F=9.73, p<.001) and HPV knowledge (F=7.52, 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tages of change. Conclusion: Application of TTM to Pap smears was efficient to know the nurse's level of health behaviors, Health belief variables and HPV knowledge were main factors to identify the stages of change. The continuation of Pap smears and the education in relation to HPV knowledge should be encouraged for married nurses.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성건강 간호수행 측정도구개발 (Development of a Sexual Health Care Scale-Practice (SHCS-P) for Oncology Nursing Care)

  • 김정희;김수;강희선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0-369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xual Health Care Scale-Practice (SHCS-P) for oncology nurses to use in nursing care. Methods: Apreliminary version of the SHCS-P of 32 items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and opinion of experts. A panel of eight experts reviewed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for content validity and consolidated the instrument, which was, then, tested with data from 342 oncology nurses in Korea.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SHCS-P explained 70.49% of the total variance. The instrument revealed four factors that were named: (1) Practice for sexual function (8 items), (2) Practice for psychological factors (6 items), (3) Practice for social problems and records (4 items), and (4) Practice for reproductive care (3 items). Internal consistency was good, asassessed by the KR 20 value of 0.91. The coefficients for the sub-factors were between 0.81 and 0.93. Conclusion: This scale show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evaluating the practice of oncology nurses in providing sexual health care and can be used to evaluate the level of practice well as test effects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mprove sexual health care competency.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Nurses' Attitude toward Migrant Wives)

  • 김덕희;김신미;이윤정;박헌례;조명숙;구효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21-329
    • /
    • 2010
  • Purpose: The survey was performed to explore nurses' attitudes toward migrant wives in Korean society. Method: Four hundred thirty-eight respondents were recruited from 2 acute hospitals from 2 different geological areas. The attitude inventory to measure attitude toward migrant wives was utilized, which includes 6 factors such as prejudice, reliability, offensiveness, interests, acceptance, and influence. Result: The overall attitude was slightly positive (3.23) and reliability was the only non-positive scoring factor.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5 factors consistently compared to other characteristics. Conclu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Korean nurses tend to take a neutral to slightly positive attitude toward migrant wives. Therefore, any influence from nurses' attitudes related to migrant wives can be ignored. Obstacles or barriers which could hamper nursing care for migrant wives need to be identified and studies of strategies to overcome any existing barriers are called for.

순환교대근무와 주간고정근무 여성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스트레스, 수면, 우울증의 영향 (Effects of Perceived Stress, Sleep, and Depression on Resilience of Female Nurses in Rotating Shift and Daytime Fixed Work Schedules)

  • 정주리;권혁민;김태형;최말례;은헌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26권2호
    • /
    • pp.111-124
    • /
    • 2019
  • 목 적 : 건강한 수면은 중요하며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 간호사와 주간 고정 근무 간호사 두 집단에서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두 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 교대근무 간호사와 주간고정근무 간호사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7년 6월 12일부터 2018년 6월 12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한글판 스트레스 자각척도, 스트레스 대처전략 축약형,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 상태불안척도,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엡워스 주간졸음 척도, 불면증 심각도 척도, 코너 데이비슨 리질리언스 척도 질문지를 적용하였다. 결 과 : 교대근무간호사와 고정근무간호사 두 집단 간의 변수 통계량을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자각, 수면의 질, 주간 졸음증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요소들은 근무자들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회 심리적 건강수준, 우울증, 불면증 심각도 이었다(p < 0.05).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긍정적 재구성1이 커질수록(β = 0.206, p < 0.001), 우울증이 줄어들수록(β = -3.45, p < 0.001),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이 높아질수록(β = 0.193, p < 0.001), 수용적 대처2가 증가할수록(β = 0.129, p < 0.05), 주간졸음이 줄어들수록(β = -1.17, p < 0.05), 적극적 대처2가 증가할수록(β = 0.118, p < 0.05), 긍정적 재구성2가 증가할수록(β = 0.110, p < 0.05) 회복탄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자에 비해 주간고정 근무자의 회복탄력성이 높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특정 스트레스 대처 전략과 사회심리적 건강수준, 수면, 우울증이 회복탄력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더 많은 수면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밝히는 전향적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