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성지체 장애인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7초

여성장애인의 취업 욕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A Study of Disabled Women's Job Needs)

  • 김기태;박병현;강철희;이성규;이경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33-66
    • /
    • 1999
  •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들의 취업 욕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 여성장애인의 장애 유형과 정도, 연령, 학력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 사회전체에 만연해 있는 여성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의식과 편견의 영향을 받은 여성장애인 특유의 심리적 요인, 직업 경험 및 직업훈련 경험 등의 사회참여 경험 여부 요인, 부모의 여성장애인에 대한 태도 요인 등으로 구분해 보고 이의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의 네 가지 범주로 크게 나누어 서울 및 경인지역과 부산 및 경남지역의 여성장애인 805명이었다. 조사의 결과로는 청각 및 언어 장애를 갖는 여성장애인들이 취업욕구 및 취업노력과 관련하여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장애등급은 일반적인 예상과는 다르게 모든 종속변수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력이 전혀 없었다. 여성장애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의존도 변수는 취업욕구와 관련된 종속변수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의존의 정도가 높은 여성장애인들일수록 상대적으로 취업 욕구가 적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연령 변수의 경우 취업 노력과 관련된 종속변수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여성장애인의 연령이 한 단위씩 높아질수록 취업노력을 실행하는 경우가 높아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연령변수를 제외한 모든 인구사회학적인 변수들 즉 수입원천, 결혼상태, 학력의 변수가 모든 종속변수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력이 전혀 없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직업 경험 여부 변수가 상당히 일관되게 모든 종속변수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력이 있음을 보여준다. 즉 직업 경험 변수가 취업욕구 수준과 관련된 종속변수 모두에 일관되게 유의미했다.

  • PDF

경북 성인 여성장애인 생활실태와 서비스 욕구 분석 (Analysis on Life Condition and Needs for Welfare Servi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Adult in Gyeongbuk)

  • 박주영;김동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29-244
    • /
    • 2018
  • 본 연구는 경북 성인 여성장애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서비스 욕구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성인 여성장애인 4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년기 여성장애인은 2대 가족, 자녀수 1명, 고졸이하, 무배우, 정신적 장애로 경제활동 고용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년기 여성장애인은 2대 가족, 자녀수 2명, 고졸이하, 유배우, 지체/뇌병변장애로 일상생활지원, 경제활동 고용, 임신 출산 양육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년기 여성장애인은 1인 가구, 자녀수 3명, 초졸이하, 무배우, 지체/뇌병변장애로 건강 의료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년기 여성장애인은 경제활동 고용 지원으로 직업훈련, 취업지원, 경력개발 지원으로 최근 경북 핵심사업인 신소재 산업, 스마트 프로젝트, 농산업, 관광산업 중심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또한, 직업재활시설의 확대도 요구된다. 장년기 여성장애인은 일상생활 지원, 임신 출산 양육 지원이 요구되므로 산간지역으로 대중교통 접근이 어려운 곳은 교통인프라 마련과 여성장애인 전용 산부인과 지정제 도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노년기 여성장애인은 건강 의료 서비스 지원으로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보건소 등과 연계하여 정기 방문, 신체 및 심리 지원, 가정활동 지원이 필요하다.

지체장애인의 정신적 건강상태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Status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이은원;송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87-295
    • /
    • 2019
  •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성별에 따른 정신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그들의 건강한 삶을 도모하고자 시도되었다. 제6차 국민노후보장패널을 이용하여 지체장애인 33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물질적 지지, 우울, 삶의 만족도, 정신적 건강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t-test를 사용하였고, 정신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지체장애인의 정신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성별로 구분하여 알아본 결과 남성의 경우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물질적 지지, 우울, 삶의 만족도가 영향을 주었고 여성의 경우 배우자 여부, 우울, 삶의 만족도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체장애인들을 이해하고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삶: 포토보이스 방법의 적용 (Understanding Life Experiences of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Disabilities Using the Photovoice Method)

  • 박경미;김민아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6호
    • /
    • pp.39-68
    • /
    • 2017
  • 본 연구는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를 가진 중고령 여성장애인 6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삶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집단토론을 통해 4개의 대주제를 선정하였고, 각 주제별로 직접 촬영한 사진을 매개로 하여 '무너지는 나의 건강과 건강 관리(신체 및 정신적 건강의 적신호를 감지함, 건강 악화에 대처하기 위해 노력함)', '나의 여가생활(여가활동이 제한적임, 나만의 여가를 즐기고 있음)', '나의 사회참여(나에게 즐거움을 주는 사회활동에 참여함,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사회활동에 도전함)', '나의 노후(노후의 경제적 어려움과 외로움이 걱정됨, 행복한 노후를 소망함)'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중고령 여성장애인을 위한 지속적인 건강관리 및 심리상담 프로그램 제공, 사회통합을 도모하기 위한 여가활동 제공 및 사회참여 기회 확대, 노후의 경제적 정서적 자립을 위한 훈련 및 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을 제언하였다.

스웨덴 여성 지체 장애인을 위한 주택 개조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Housing Alteration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Woman in Sweden)

  • 최재순;이의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5호
    • /
    • pp.115-128
    • /
    • 2001
  • Housing i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because they spend most of this in their housing. However, their housing do not fully support their housing needs. Most of the hoses are designed for the healthy young people. Therefore, the disabled often have accidents in their homes. The physically disabled people want to stay in their homes and familar environment as long as possible. In order for the disabled to live in the housing as long as they want, the housing should support their safe and independent living. For this purpose, the housing is required to be altered to fit their needs. Sweden is one of the best welfare countries in the world. The Swedish government supports all the expenses for the disabled to stay in their housing and familiar environments.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 case on housing alteration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woman in Swede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applications and adaptability of the housing alteration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in Korea.

  • PDF

여성 하지 지체장애인을 위한 바지 디자인 제언 (Suggestions for the Design of Trousers for Women with Lower Extremity Disabilities)

  • 이다현;서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2호
    • /
    • pp.83-9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ality of clothes-wearing among physically disabled women and propose trouser designs. As a research method, an in-depth interview method was adopted for 10 women in their 30s and 50s with lower limb disabilities who could wear trousers and use wheelchairs. The study results identified the following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rousers. First, a semi-casual design that could hide physical deficiencies, was not different from ready-made clothes and enabled various looks was desirable. Second, the proper material would have little transformation in the form, have remarkable durability and laundry fastness, two-directional stretch, and hide deficiencies with a sense of thickness and density. Third, an "L-frame" pattern in a sitting position, and a straight fit were desirable. Finally, pockets can impose pressure according to their form, size, position, and sewing method, highlighted the need for a sewing approach to minimize seams in the fabric. For adjustment, an elastic band would be a good choice in terms of type, length, position, and material as it could satisfy both the convenience of putting on and taking off and comfort in wearing at the same time. Decorative design details can also impose pressure according to a sense of thickness, which means that they should be avoided in parts that are close to the body or can impose pressure according to posture.

중도지체장애여성의 직업활동에 대한 가족 역할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family roles on the job activities of women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 이은미;백은령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0권2호
    • /
    • pp.61-86
    • /
    • 2006
  • This phenomenological study aims at exploring the role of family in promoting, maintaining, and developing job activities of women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8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6 theme clusters and 14 sub-themes have appeared. Participants have vividly revealed their experiences with regard to the various support and help of their family. They were provided physical,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s which helped at great extent to overcome the anger and loss resulted from the acquired disabilities. Although most of the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failure in job finding several times, they have at last succeeded in it by the consistent help of their family. In particular, the support and help given from the family were substantial and specific which promoted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ir career. Therefore the participants could obtain more confidence in themselves and this made the participants to speak for themselves. Although the family roles for the job finding and maintaining of the participants are played in various ways which is positive, effective and specific, there remains some significant problems and limitations.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uncomfortableness in opening their most in-depth thinking and emotions to their family. They have also experienced a great deal of difficulties in maintaining job because of the housework load and child bearing work which is mainly regarded by the family members as the woman's(participant's)duties. In addition to this, sexual needs and sexual identity of the participants are neither recognized nor dealt with seriously in family, The participants also mentioned about the inequal relationships and their self-consciousness among family member as well as the lack of career guidance role of the famil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we have made a number of suggestions to promote the positive roles and overcome the limited roles of the family.

  • PDF

지체장애인 여성의 장애유형과 연령에 따른 인체계측 연구 (Study on the Measurements of the Body of Physically Handicapped Women According to their Handicap Types and Age)

  • 정삼호;이현정
    • 복식
    • /
    • 제56권3호
    • /
    • pp.107-115
    • /
    • 2006
  • This study is aimed to personally measure the body of physically handicapped women and compare the measurements to the results of the fifth project to investigate the measurements of the body of Koreans, identity the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s' handicap types and age, and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hysical figures, with a view to propose basic data for developing clothes suitable to the body of physically handicapped peop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s of the subjects' shoulder width, brea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armpit circumference, left and right upper arms' circumference, length between front walls of the armpit, and length between back walls of the armpit after the subjects' handicap types were classified into paralysis of the lower half of the body, cerebral apoplexy, cerebral palsy, and amputat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subjects' bodily measurem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2. The shoulder width gradually increased for those in their 50s or younger while that of those in 60s or older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ose in their 30s. The waist circumference gradually increased in all the subjects. As a result, the present author concludes that the body of physically handicapped women increases the same way as the body of ordinary adult women does in its circumferential measurements as the subjects grow 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