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성의식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1초

2002년 한.일 월드컵에 나타난 여성의 응원 패션에 관한 연구

  • 김은정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3-43
    • /
    • 2003
  • 현대산업사회로의 전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은 소외의식, 욕구불만, 자기정체성에 대한 물음 등을 안고 살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다양한 방식을 통해 표현되어지고 있는 오늘날. 의식상황을 나타내는 내면은 자신의 가장 근본적이며 본질적인 욕구를 말하며 자신의 내면을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드러내어 자신의 존재를 찾기를 원한다. 또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식과 방법론을 추구하고 있으며, 인간의 내면의 본질적인 감정을 표현하려고 한다.

  • PDF

조선 후기 서민(庶民) 여성작가(女性作家)의 시문(詩文)에 나타난 현실인식과 지향의식 - 김삼의당(金三宜堂)과 강정일당(姜靜一堂)을 중심으로 - (A Recognition on Reality and consciousness of orientation in the poetic literature of the Common female writer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 Focuse on the KimSamuidang and GangJeongildang -)

  • 김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27-32
    • /
    • 2018
  • 본 연구는 조선 후기 몰락한 양반가의 서민 여성작가를 대표하는 구체적인 예로써 김삼의당(金三宜堂)(1769~1823)과 강정일당(姜靜一堂)(1772~1832) 등 2인을 설정하여 이들의 시문(詩文)에 담긴 현실인식과 지향의식이라는 공통적 감성을 탐구하였다. 삼의당(三宜堂)은 가문의 부흥을 위해 남편의 과거 등과 뒷바라지에 헌신하면서 남편과 활발한 시문 교류를 통한 부덕(婦德)을 실현하였으며, 조선 시대 여류작가로는 가장 많은 작품을 남겼다. 정일당(靜一堂)은 조선 후기의 여성 성리학자(性理學者)이자 시인이다. 그녀 역시 평생을 삯바느질과 병마에 시달리면서도 기울어가는 가문을 일으키기 위해 남편의 훈육자(訓育者)로서의 자기 인식을 확고히 하고 학문을 독려하며 적극 지원하였다. 이들은 권면적(勸勉的) 지우(知友)로서의 부부평등 의식을 갖고 입신양명(立身揚名)을 통한 가문 선양을 지향하였다. 또한 전원적(田園的)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추구한 주체적 여성들이었다.

허균과 매창의 시조 (Hu Kyoon and Maechang of Sijo)

  • 김명희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2집
    • /
    • pp.115-142
    • /
    • 2005
  • 허균과 매창은 사대부와 기녀의 관계로 알게 된 사이다. 그러나. 허균은 매창을 여성 문학인으로 재능을 인정하고 평생 시우로 존경하며 사랑한 사이였다. 허균은 천재 시인, 혁명가, 이상향을 꿈꾸는 평등주의자여서 여성과 서얼을 인간으로 대접하려는 따뜻한 성품의 소유자였다. 그러한 허균이 매창을 중국에 기녀시인 설도에 비견하고 매창을 조선의 최고 기녀시인으로 손꼽는 데는 매창 시의 한 특성이 있다고 본다. 그녀의 시조는 상실감에 가득한 비애 가운데서도 임과의 재회를 꿈꾸는 소망의식이 가득한 시 의식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또한, 그녀는 사대부와의 관계에서 나름대로 등거리 사랑을 추구하였고 그에 성공하였기 때문에 성적 욕망의 대상인 기녀 신분이면서도 성이 뒤로 앉은 정조 어린 여성으로 자리 잡아 사대부들의 존경과 시선을 한 몸에 받은 시인이었다. 허균의 폄하 발언으로 얼룩진 평가를 재평가하고, 매창의 시가 비애 의식에 머물러 있지 않고 소망의식으로 발돋움하였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 PDF

여성대표성 확보의 기제로서 할당제 효과: 16, 17대 여성의원의 대표발의 활동을 중심으로

  • 김은경
    • 의정연구
    • /
    • 제16권2호
    • /
    • pp.101-134
    • /
    • 2010
  • 본 연구는 할당제를 통해 정계에 진입한 비례대표 여성의원들과 맑은넷 출신 여성의원들이 여성계를 위해 어떤 법률안을 얼마나 많이 발의하였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여성단체가 할당제와 맑은넷 운동을 벌인 이유는 여성을 가장 잘 대변할 수 있는 것은 여성이라는 논리가 내재해있었기 때문이다. 16, 17대 국회에서 여성의원에 의해 대표발의된 법률안을 분석대상으로 한 본 연구는 여성의원이 증가함에 따라 여성관련 법률안이 증가하였는지 살펴 보았고, 어떤 내용의 입법안을 발의하였는가 분석하였다. 이같은 분석을 통해 여성의원의 대표발의 활동에 있어서 여성의원간에 어떤 차이가 나타났으며, 궁극적으로 할당제를 채택한 것이 효과가 있었는가 하는 것을 분석하였다.

공무원 양성평등의식 교육의 경험 및 태도 조사 - 대전시공무원을 대상으로 - (Research on Experiences and Attitudes Toward the Gender Egalitarianism Education of Public Service Workers in Daejeon City)

  • 이갑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42-351
    • /
    • 2010
  • 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은 태도와 행동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정책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므로 그들이 자신의 업무를 성 인지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기획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무 능력이 함양되도록 양성평등의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대전시 공무원(남성 699명, 여성 4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양성평등의식 교육의 경험과 태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양성평등의식 교육의 바람직한 변화를 유도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분석결과 양성평등의식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남성이 여성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양성평등의식 교육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교육 참여의 동기부여 및 법제화와 함께 성, 연령, 직급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여성대상범죄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환경설계 (A Study on the Effects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 Focusing on crime targeted to females)

  • 이은영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년 정기학술대회
    • /
    • pp.309-310
    • /
    • 2017
  •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나날이 증가하는 범죄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주요 강력범죄 중 여성을 대상으로 삼는 범죄의 심각성에 대하여 초점을 두고 있다. 특히 4대 강력범죄 중 살인, 강간의 경우 여성이 피해자가 되는 경우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최근 데이트 폭력 및 몰카범죄 등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의 경우 다양한 기술이 결합된 CPTED를 활용하여 사회적 안전 확보 및 효과적인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공사견문록』의 여성유형과 여성생활사 측면에서 본 의의 (The type of women in Gongsageunmunrok and A Gongsageunmunrok's meaning of women's history in Joseon)

  • 김기림
    • 동양고전연구
    • /
    • 제48호
    • /
    • pp.117-145
    • /
    • 2012
  • "공사견문록"은 정재륜(鄭載崙, 1648-1723)이 엮은 필기류이다. 177년 경 후세에 모범이 되고 징계될 만한 일을 골라 엮었다. 모두 310여 개 정도의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그 중 1/4이 여성에 관한 이야기이다. "공사견문록"에 나오는 여성들의 유형은 네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통찰하는 여성, 근신하는 여성, 권세 남용하는 여성, 청탁하는 여성, 등이다. 통찰하는 여성은 외부 또는 내부적으로 자신을 관찰한다. 이면에 숨겨진 진실을 파악하여 지혜롭게 현실에 대응한다. 근신하는 여성은 대개 왕실의 여성들이다. 조선시대는 가정의 안정을 국가 안위의 토대로 삼았다. 그러므로 왕실 여성들은 '왕실'이라는 가정을 안정하는 데에 '근심함'을 우선으로 삼았고 그것으로써 국가 안정에 기여하고자 했다. 권세를 남용하는 여성은 남성이 가진 권력을 이용한다. 자기보다 신분이 높거나, 남성들에게 권세를 부리며, 이를 통해 국사에 간여한다. 청탁하는 여성들은 목적을 위해 복잡한 인맥을 동원하며 남성을 속이며 청탁한다. 여성들의 이런 행동은 공적인 일의 공정성, 신뢰성을 해친다. 이러한 여성의 모습을 담고 있는 "공사견문록"은 여성생활사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왕실여성들-대비, 왕비, 공주, 후궁 등-의 생활 모습, 의식, 왕실 여성의 문화 양상 등을 보여준다. 둘째, 후대 여성이야기를 기록하거나 재서술하는 기초 자료이다. 이긍익은 "연려실기술"에서 다시 기록했다. 특히 한보향의 행적에 대해 김려는 <한숙원전>을, 성해응은 <한보향 이야기> 등의 제목으로 다시 쓰기도 했다. 셋째, 조선시대 궁녀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리하여 궁녀들의 생활, 정치 사건이나 시사에 대한 궁녀들의 의식 등을 고찰하는 데에 유용하다. 넷째, 인물을 소개하는 데에 있어 여성을 중심으로 한다. 그래서 여성 중심의 인맥, 혼맥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다섯째, 여성들의 문학 작품과 문학 활동 양상을 보여준다.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Feminist Documentary in a Postfeminist Era: Perceptions of the Feminist Filmmakers)

  • 김지아;박지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04-114
    • /
    • 2015
  • 본 연구는 여성이라는 범주가 파편화되고 여성주의의 유효성이 의심받는 포스트페미니즘 시대로 평가되는 현 한국사회에서 여성주의 다큐멘터리가 어떠한 지형과 의미 생성해내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감독들은 여성주의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으며 이들이 가지고 있는 주된 문제의식은 무엇인지,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감독들이 추구하는 재현의 방식은 무엇이며 이는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