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성복 재킷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9초

파워 숄더 재킷의 디자인 및 패턴전개 방법 (Pattern Making Method and Design of Power Shoulder Jackets)

  • 박상희;이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31-140
    • /
    • 2013
  • 여성복에 있어서 09/10년 시즌에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파워 숄더 룩이다. 파워 숄더 룩은 단순히 패션니스타들에서만이 아니라 당당히 스트리트 패션의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파워 숄더 룩의 50%이상을 차지하는 재킷이 여성복의 핵심 아이템의 하나로 부활하면서 재킷의 어깨 각도는 0도에서 30도 이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다양한 어깨 각도 중 10도, 15도, 20도의 형태가 7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패턴의 형태는 몸판의 어깨선을 자연스럽게 올리고 확장한 어깨변형 패턴, 어깨선과 함께 소매산 부분을 절개한 소매산 변형 패턴, 몸판과 소매가 연결된 패턴이 주를 이루고 있다. 파워 숄더 패턴 전개는 어깨 각도가 높아질수록 각이 시작되는 점이 목옆점에 가깝게 하고 어깨끝점이 확장되어야 소매의 외관형태가 편안하고 피트성이 좋아진다. 어깨 변형의 경우 앞뒤 진동선의 시작점인 어깨점과 소매산의 정점 부분의 선이 완만하게 이어지도록 S라인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소매산의 ease분량이 일반 재킷 소매보다 많아야 파워 숄더 실루엣이 자연스럽게 연출된다. 소매변형 패턴은 중심쪽 소매의 소매산 높이는 기본소매 소매산높이의 1.5cm를 외곽 소매분량으로 처리한 것을 고려하여 소매산 높이를 설정하고 어깨 각이 커질수록 외곽소매의 소매산 폭을 크게 함으로서 소매의 어깨점이 목옆점 방향으로 휘지 않고 각이 선 파워 숄더가 완성된다. 소매변형과 소매와 몸판연결 패턴의 경우 어깨점과 상완이 연결되는 부분에 충분한 여유가 필요하며 어깨각도도 다른 형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보인다. 이와 같이 파워 숄더 재킷 패턴은 패턴 제작시 디자인적인 요소를 충분히 감안한 패턴 설계와 함께 소매의 달림선 위치, 어깨너비, 어개 높이 확장량, 소매통의 여유량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대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테일러드 재킷의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재킷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sign Trends of Tailored Jacket in Contemporary Women's Collection -Focused on Constructive Elements of Jacket-)

  • 김경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52-563
    • /
    • 2019
  • Jackets are regarded as an element used to judge ideas and fashion trends for the age in which they are presented. This article analyzed recent tailored jacket fashion trends by categorizing jackets according to design elements. For this, design elements of tailored jackets were categorized into silhouette, collar and lapel, shoulder and sleeve, and decorative elements. We collected and categorized the changes of 491 jackets that have appeared in collections over the past 5 years. The results showed shoulder and sleeve changes (36.25%), silhouette changes (33.4%), lapel and color changes (12.6%), decorative element changes (11.2%), and no changes (6.5%). Jacket forms with changed shoulders and sleeves appeared as styles that have laterally or vertically expanded the shoulder and arm hole with the production of various sleeve forms. Silhouette changes were expressed through forms such as exaggerated silhouettes of oversized-clothing, silhouettes made through cutting or layering, and the polarization of length. Forms with a changed collar and lapel appeared with polarization trends in which lapels dramatically grow larger or narrower, diverse frontal adjustments using no-collar designs, and the utilization of shawl-collars; in addition, forms with changed decorative elements were expressed with layered decorations such as pockets or collar add-ons, adjustment changes using buttons, ribbons or zippers, and various trimming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modern female tailored jackets are being made to realize an exaggerated physical beauty of shoulder, sleeve and torsos to maximize decorative effects through new attempts in design.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용 기성복 재킷의 착의적합성에 관한 비교평가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wearing Fitness of Women′s Ready-made Jackets Using 3D Scanner)

  • Kim, Haekyung;Eunyoung Suk;Park, Soonjee;Chuyeon Suh;Jiyoung Lim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07-1718
    • /
    • 2001
  • 본 연구 목적은 3차원 인체 스캐너를 이용하여 여자 기성복 재킷의 여유량을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2사이즈 7브랜드의 재킷의 공극량을 계측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재킷 단면둘레 분석 결과, B85(품), B8(허리)를 제외하고 브랜드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전반적으로, 브랜드간 제품치수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체와 재킷의 단면둘레 분석 결과, 재킷의 배둘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피험자, 재킷 모두 사이즈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본사이즈 B85에서는 허리를 제외하고는 패턴 F가 가장 여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B88의 경우, 부위별로 각기 다른 패턴에서 여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각 부분마다 브랜드별로 그레이딩 룰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넷째, 착의 단면은 인체와 의복간의 여유량 분포를 명백히 보여주며, 어깨, 가슴, 엉덩이처럼 몸에 밀착되는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패턴간, 각도별 변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 허리, 배에서는 옆보다는 앞, 뒤로, 가슴에서는 앞뒤 좌우의 30$^{\circ}$방향, 엉덩이의 경우, 옆, 뒤보다는 앞쪽에 여유량이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패턴 F가 가장 공극량이 많고, 패턴 D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이즈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t-검정 결과, 품과 배 부분에서, B88이 B85보다 공극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기준부위인 가슴, 허리, 엉덩이 부분뿐만 아니라 품, 배둘레의 치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레이딩 룰 값을 산정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2011 F/W 여성복컬렉션에서 나타난 과장형 재킷패턴제작 연구 (Study on Manufacturing Exaggerated Jacket Pattern Shown in Women's Collections 2011 F/W)

  • 이세종;곽태기
    • 복식
    • /
    • 제62권5호
    • /
    • pp.138-155
    • /
    • 2012
  • Exaggerations have always been seen in the past and present. In the past, they represented wealth and high social status, but now they are being used to express one's beauty and personality. This has led to the diversity in design through widening each person's emotions. Likewise, exaggerations have been chang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so will they in the future. This study focuses on proposing patterns to enhance the utility and practical use of exaggerated jacket designs and its methods are based on documents and preceded studies. Pattern making is composed of drawing patterns and showing their forms by basting - which are a technique that is explained in this study's outcome - and the basic pattern is the style of Wan Suk. Suh. Jackets are made with exaggerating factors in the women's collections of 2011 F/W and are designed for various ages. With the knowledge of structuring a jacket, anyone could easily follow the instructions. In the end, he/she could elevate the ability to express, use practically and apply this idea in general fields of fashion industry.

Plus-size여성 체형을 위한 재킷원형 개발 및 면 분할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정동림;김애린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34
    • /
    • 2003
  • 본 연구는 체형의 특성이 현저히 나타나는 40~50대의 Plus-size 여성을 대상으로 체형의 특징이 고려된 치수체계에 대해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을 개발하고, 이 원형을 토대로 하여 체형의 단점을 보완할 시각적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Plus-size에 해당하는 여성을 선정하여 수트(suit)를 제작한 후 착의 평가하여 Plus-size에 적합한 수트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lus-size 여성의 착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착용실태 조사는 판매자의 측면의 심층면접과 소비자 측면의 착장조사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착용실태조사 결과, Plus-size 여성은 의복구매시 맞음새와 편안함을 중시하고 상완부와 어깨의 두께, 가슴둘레와 복부의 비만등의 체형단점을 갖게 되므로 판매자측에서는 의복제도 시에 등품, 앞품, 상완부, 복부의 여유분을 고려하고 있었다. 시각적 효과로는 세미피트 스타일의 프린세스 라인과 허리선+20, 30cm의 재킷길이, 그리고 테일러드 칼라, 스테인 칼라, 라운드 네크라인이 판매자과 소비자의 양측면에서 선호되고 있었다. 2. Plus-size 여성의 체형에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원형을 개발하기 위해 Plus-size 여성복의 재킷 원형 중 4종의 기존원형을 선정하고, 착의 피험자 3인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착의실험을 통해 연구 원형을 개발하고 평가단을 구성해 객관적인 평가 33문항에 대한 외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1) 가슴둘레 여유분을 8~9cm, 허리둘레 여유분을 6~7cm, 엉덩이둘레 여유분을 6~8cm로 적용하여 맞음새를 향상시켜 날씬해 보이는 효과를 높였다. 2) 진동깊이 계산식은 (B/10+10.5)+2cm 적용하고, 진동두께 계산식은 (B/8-1.5)+2cm를 적용함으로써 진동깊이와 진동두께의 편차가 작아짐으로 인해 소매부위와 진동부위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3) 가슴둘레의 증가에 따라 등길이에 앞길이 치수를 증가시키는 계산식을 설정하여 앞가슴둘레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4) Plus-size여성의 경우 허리부분의 신체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이드 판넬(side panel)의 재킷원형으로 하였다. 앞 허리와 배 부분의 지방 침착이 크므로 앞 허리둘레 다아트 폭과 앞판 사이드 판넬(side panel) 솔기 다아트 폭을 작게 설정하고, 뒤판 사이드 판넬 솔기 폭을 크게 설정하였다. 5) 어깨끝점 사이길이는 다른 부위의 체지방 침착과 같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으므로 표준체형에 비해 좁게 설정하였다.

  • PDF

국내 여성복 브랜드재킷의 맞음새 평가 연구 (A Study of Fit Preference Satisfaction for the National Women's Wear Brand Jackets)

  • 서완석;김숙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29
    • /
    • 2014
  • Setting the ease amount takes the important part to the fit that consumers satisfi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reate a pattern for off-the-rack jackets that considers the proper amount of ease.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done previously regarding the ease amount of jacket pattern for the women in their 20s whose demand for jacket is high and who are sensitive to the fit.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top five brands in terms of sales and preference among the national female apparel brands. It obtained a tailored jacket pattern for basic size (55 size) and made the jacket. Then, an expert panel group put the pattern on Hani body, a torso dummy for education made by the anthropometric data of Size Korea for females in their 20s and conducted an evaluation on the ease amount and analyzed the results. As a result, the ease amount of the Pattern A was evaluated as proper and that of the Pattern B was found to be lease proper. From the fact, we can see that each of the top 5 off-the-rack brands has different ease amount, though they are of the same basic size (55 size).

  • PDF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복 재킷의 패턴 사이즈에 따른 착의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ady-Made Jacket for Women according to Pattern Size Using 3D Scanner)

  • 서추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3_4호
    • /
    • pp.390-40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기성복의 맞음새와 치수체계에 따른 문제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현재 시판되고 있는 여성복 재킷을 중심으로 사이즈별 각 패턴의 치수 및 공극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킷에 대한 관능검사(self sensory test)결과, 패턴 B의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동일한 사이즈의 의복임에도 불구하고 재킷의 착용감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패턴 계측 결과 각 브랜드간의 패턴 그레이딩 량은 차이를 나타내어 동일한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여유량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수직방향보다는 수평방향의 증가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3D scanner를 이용하여 인체 및 착의인체를 스캔한 결과, 3차원 입체 형상으로 의복의 착의상태를 볼수 있으므로 2차원 정보를 얻을수 있는 사진촬영 결과에 비하여 활용성이 높으며 촬영거리에 따른 피사체의 왜곡이 없으므로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패턴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유의성 검증 결과, B88사이즈의 허리부위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사이즈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유의성 검증결과에서는 품, 배, 엉덩이부위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어 사이즈가 커질수록 이들 부분의 여유량 설정에 신중을 기하여야한다.

여성복 스몰사이즈 재킷 제품 생산실태- 2021년 S/S 영컨템포러리 브랜드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production conditions for small-sized women's jacket products - Focusing on young contemporary brands for spring/summer 2021 -)

  • 이유진;장정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6호
    • /
    • pp.849-864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product conditions in terms of "size system," "clothing construction depending on fit," "details," "colors," and "prices," with an emphasis on young contemporary brands for spring/summer 2021,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mall-sized women's jackets. Out of 96 domestic and foreign brands, the study analyzed 254 small-sized jacket products from 23 brands that produce size-XS jackets. First, when examining the sizes for women's jackets, we found that 8 out of the 23 brands offer a size-XXS option. After conducting tree analys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duction of size-XXS, the study found significant results in the areas of "distinc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brands" and "product price." Second, after categorizing small-sized women's jackets into 3 categories-fit-slim, basic, and straight-the study analyzed clothing construction elements depending on fit. This seasons mainly feature straight-fit's hip-line length jacket, a 4-panel pattern, and a panel without a waist dart. Third, the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lors of small-sized women's jackets, found a higher frequency of colors in the order of black (23.0%), white (13.3%), and beige tones (10.1%), with additional colors such as sky blue, rose pink, and aquamarine in production, which exhibit the senses of the seasons. Price analysis revealed that small-sized jackets constituted a price range at the mid-to-low end, as in ₩50,000-100,000 (30.3%), ₩100,000-150,000 (19.3%), and ₩150,000-200,000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