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객

Search Result 50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f Departing Passengers' Dwell Time using Clustering Techniques (클러스터링 기법을 활용한 출발 여객 체류 시간 분석)

  • An, Deok-bae;Kim, Hui-yang;Baik, Ho-jong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3 no.5
    • /
    • pp.380-385
    • /
    • 2019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departure passengers' dwell time analysis using real system data. Previous research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well time analysis from perspective of airport terminal planning and non-aeronautical revenue. However, short-term airport operation using passengers' dwell time is considered impossible due to absence of passengers' behavior data. Recently, in accordance with the wave of smart airport, world leading airports are systematically collecting passenger data. So there is high possibility of analyzing passengers' dwell time with the data stacked in the airport database. We conducted dwell time analysis using data from Incheon Int'l airport. In order to handle passenger data, we adapted clustering algorithm which is one of data mining techniques. As a clustering result, passengers are divided into 3 clusters. One is the cluster for passengers whose dwell time is relatively short and who tend to spend longer time in the airside. Another is the cluster for passengers who have near 3 hours dwell time. The other is the cluster for passengers whose total dwell time is extremely long.

목포항 연안여객터미널 이용자 만족도 분석

  • Song, Ju-Min;Kim, Hwa-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61-62
    • /
    • 2018
  • 목포항은 과거부터 서남권 도서를 연결하는 여객선 교통의 충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최근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여가시간 증가로 섬을 찾는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목포항 연안여객터미널의 이용객 만족도를 조사하여 어떤 시설, 서비스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연령층이 목포항 연안여객터미널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20대와 50대의 이용객이 많았다. 연안여객터미널 접근성은 좋다고 했으나 타 교통수단에 비해 다소 비싸게 느끼고 있었다. 연안여객터미널 시설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있어서 매표소 시설, 대기실 공간, 화장실 여건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목포항 연안여객터미널의 만족도도 대체로 높았다. 그러나 상업시설과 주차장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만족도는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안여객선의 운영서비스에 있어서는 운항간격, 출항시간 준수, 운항 소요시간 준수, 편의시설 관리, 안전관리 수준, 이용서비스 대비 운임, 차도선 이용 편의성에 있어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향후 목포항 연안여객터미널 운영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연안여객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인천-제주항로를 중심으로)

  • Gwon, Gyu-Ri;Kim, Yul-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
    • /
    • 2016
  • 연안여객운송은 도서와 육지의 인적 및 물적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일한 교통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안여객선에서의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앞으로의 연안여객 수요에 따라 향후 도서민들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선박의 추가 투입 및 시설 확충을 위한 의사결정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연안여객의 수요를 예측하는 것이다. 본 논문 에서는 가장 많은 여객 수요를 가지고 있는 제주지역 중에서도 세월호 이후에 끊긴 인천과 제주 항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2007년 1월부터 2013년 12월 까지 84개의 월별 자료를 바탕으로 예측 기법 중에서도 계량적 기법인 시계열 분석을 통해 여객 수요를 예측하고자 한다. 예측 작업에 있어 항상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단 하나의 모형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예측에 수반된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예측모형을 사용한다. 여러 방법론 중에서 가장 적합도가 높은 모형을 찾아 여객 수요를 예측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Effects of Ancillary Actvities on Passenger Flows in Airport Terminals (공항청사의 부대시설이 여객동선에 미치는 영향)

  • 박창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 no.1
    • /
    • pp.17-31
    • /
    • 1984
  • 공항의 용량측정은 수요군의 흐름에서 발생하는 소비시간분석을 요구하며 공항체계 의 대부분 시설에서는 흐름의 시간변위를 연속대기례에 의한 비효율적방법으로 예측할수도 있으나 청사내의 여객동선에 대해서는 여러 시설을 활용하려는 여객의 선택선호로 인하여 확률적 접근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은 공항의 청사내에서 부대시설에 의하여 소비되는 여객 의 이완시간을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총이완시간은 여객이 각 시설을 이용하는 확률 과 이용시간의 기대치에 대한 함수로서 계산되었으며 정상적인 여객의 동선이 이들 시설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경우에만 정의되도록 하였다. 이 이완도는 연속된 청사의 기능시설에 대한 여객동선분포의 입력과 출력을 설명하는데 쓰이게 되며 나아가서는 청사전반의 용량산 정을 위한 지표를 제공한다. 모형 검증을 위한 자료는 매표대와 보안검사대 사이의 부대시 설을 중심으로 수집되었으며 자료의 특성과 모형의 심요성이 논의되었다.

  • PDF

Effect of Automotive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자동차의 에너지절약효과 분석)

  • 임기추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8 no.1
    • /
    • pp.1-6
    • /
    • 1999
  • 사울 지역을 대상으로 TDM 수단의 도입 및 연비 향상대책 등에 의한 에너지절약 효과를 분석한 결과, 승용차의 경우 1) 함께타기 촉진에 의한 승차율이 2% 정도 향상될 경우 서울여객 소비의 3.3%(전국여객 소비의 1.0%), 2) 버스전용차개선제 등의 TDM 수단이 도입.시행에 따라 서울여객 소비의 2.6%(전국여객 소비의 0.8%), 3) 2000년까지 자동차 연비목표치가 달성되면 서울여객 소비의 3.2%(전국여객 소비의 0.9% 상당) 감소하는 등, 이들 모든 시책이 도입되는 경우 서울 여객 소비기준 약 9.1%의 에너지 절약 효과가 기대된다. 화물차의 경우에는 1) 공동배송에 의한 수송 효율화에 따라 적재율이 10% 향상되면 서울화물 소비의 8.9%(전국화물 소비의 1.6%), 2) 또 수송효율에 의한 실차율이 2% 향상되면 서울화물 소비의 1.8%(전국화물 소비의 0.3%), 3) 2000년까지 자동차 연비가 5% 향상되면 서울화물 소비의 1.4%(전국화물 소비의 0.4%) 감소하는 것을 합하면 약 12.1%의 에너지절약효과가 기대된다.

  • PDF

연안여객의 대중교통화를 위한 항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Jeong, Wan-Hui;Kim,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64-166
    • /
    • 2014
  • 주5일제 시행과 여가 활동으로서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연안여객의 활용도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 연안여객 이용의 실태는 항로 부족, 항구의 노후화 등 개선해야할 과제가 많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안여객의 대중교통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논문은 현재 연안여객의 항로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대중교통화로 나아갈 수 있는 현재의 실태를 확인했다. 사용된 네트워크 분석지수는 지역중심성(degree centrality), 연결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이다. 두 가지 지수에 따라 대중교통화에 기여하고 있는 항구의 순위를 확인했다. 분석결과가 연안여객의 대중교통화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목포 중국 간 카페리 취항에 따른 지역경제 기여도 분석

  • No, Chang-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194-196
    • /
    • 2012
  • 목포-중국 간 카페리 취항에 따른 지역경제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목포-중국 간 카페리 컨화물처리 수입, 여객수입, 여객 관광수입, 카페리 화물수송 및 여객 관광 부가가치, 고용 및 임금효과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 PDF

A Review on the Interpretative Guidelines on EU Air Transport Passenger Rights Regulations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ing Situation with COVID-19 (항공여객보상에 관한 EC 261/2004 규칙의 COVID-19 관련 해석지침 검토)

  • Sur, Ji-Min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5 no.3
    • /
    • pp.39-63
    • /
    • 2020
  • This paper reviews the Interpretative Guidelines on EU passenger rights regulations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ing situation with COVID-19 of EU commission. To enlighten the obscurity and to mitigat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COVID-19, European Commission has published "Interpretative Guidelines on EU passenger rights regulations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ing situation with Covid-19" on March 18, 2020. The Guideline essentially aims to create a coherent system of rules to assist the passengers, industry and national authorities overall under the unprecedented circumstances across the European Union. To do so, the Guideline is drafted to cover the rights of passengers travelling by air, rail, ship or bus/coach, maritime and inland waterways, as well as the corresponding obligations for carriers. From an aviation industry focused perspective, by referencing the Regulation (EC) numbered 261/2004, the Guideline specifically applies to cancellation and delay in flights which are seen as the dark spots for the air carriers concerning potential burdens.

A Study on the Construct Building of Service Quality in the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해상여객터미널에 있어서 서비스품질 구성요인 개발에 관한 연구)

  • Kwon, Jae-Hyun;Han, Chul-Hwan;Lee, Su-Ho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5 no.1
    • /
    • pp.107-124
    • /
    • 2009
  • In order to create value for maritime tourism industry, new port infrastructures have been planned, improvements in passenger terminal services have been designed, and new maritime transport 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so that ports improve their efficiency and the quality of their service more than their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mpetito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mensions of the service quality of ocean passenger terminal. Based on a survey of 260 customers in port of Busan and Inchon, terminal service quality's five main dimensions have been checked regarding their fit with the use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mpirical results support that this is a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service quality of a ocean passenger terminal. The interactive sequence of computing Cronbach's alpha, corrected item-to-total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was repeated a few times and resulted in a final set of 19 items representing five distinct dimensions-tangibles, responsiveness, knowledge, reliability, and accessibility. This finding provides the more appropriate instrument to evaluate the customers perception as well as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of ocean passenger terminal.

  • PDF

연안 여객선의 예매 및 발권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Choe, Hyeon-Seok;Seong, Yu-Chang;Im, Nam-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232-234
    • /
    • 2014
  • 현재 연안여객선의 여객과 화물의 승선 예매 및 발권시스템은 타 교통수단에 비교하여 매우 부족하며 여객이 느끼는 실질적인 서비스 수준도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해양수산부 등 관련 기관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승선권 무인취급시스템 등을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객 및 화물 정보를 QR-Code 등을 통하여 인식한 후, 선박 자체관리 프로그램 및 Web상에서 연동되는 선박예매/발권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스템의 Database 정보에는 승선객의 프로파일 정보, 중간기착지 방문 정보, 여객의 최초승선지 및 하선 정보, 화물 적양하 기록 등이 포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