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가공간

Search Result 26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이슈&이슈: LH 'The Green'관에 적용된 녹색기술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48
    • /
    • pp.40-53
    • /
    • 2011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난해 11월 서울시 강남구 자곡동 보금자리지구에 개관한 'The Green'관은 주택의 에너지 성능 검증 및 발전 등을 위해 에너지절약, 친환경, 재활용, 공간가변 등 총 60여가지의 신기술을 전시 체험할 수 있도록 해 주목받았다. 분야별로는 에너지제로 관련 33가지, 친환경 재활용 7가지, 공간가변 9가지, 그린IT 12가지 등이다. 본지는 The Green관의 전시 개요 및 기술들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 PDF

지역개발에 수반되는 동굴지역의 지형조사 (강원도 태백시 용연동굴)

  • 오종우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5 no.36
    • /
    • pp.32-42
    • /
    • 1993
  • 지역개발에 있어서 자연자원의 확보에 따른 개발 이용은 지역의 발전적인 측면에서나 국가적인 차원에서 상당한 장래성을 제공해줄 수 있는 천혜의 조건이 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갈이 한정된 토지공간내에서 자연자원의 개발을 통한 관광지화는 과학적인 사회 문화의 성장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해소의 한 방편이 될 수 있는 여가 공간의 활용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능한한 활성화가 되어야할 것이다. 동굴은 자연자원중에서도 가장 실제적이고 확실한 교육적인 지하자원이므로 인간에게 주어진 가장 귀중한 선물일 것이다.(중략)

  • PDF

Development of waterfront space to improve hydrophilic function (친수기능 향상을 위한 수변공간 개발방향)

  • Park, Chang Bum;Ahn, Se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55-455
    • /
    • 2022
  • 경제적 발달과 사회적 성장으로 인한 도심지 하천과 호소와 같은 수변공간의 개발에 대한 시민의 요구는 다양화되고 높은 수준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도심의 수변공간은 도시내 다양한 사회생활과 사람간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활동적인 공간이자. 정적이기도 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공간이다. 이러한 도시내 수변공간은 공간은 도시를 관류하는 하천을 중심으로 시민들의 일상적인 휴식과 산책, 여가 생활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전국 주요 도시의 하천들이 수변개발을 통해 동일한 시설과 콘텐츠를 적용함으로써 하천의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수변공간의 개발은 1990년대 이후 도심하천중심의 조경하천으로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수변공간 주변에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이 들어서면서 기존의 도심 공간에 수변공간이 개발되어 시민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개발된 수변공간은 최근의 수변공간 개발은 시민들이 즐겁고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지역의 특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수변공간은 접근성과 공공성의 결여 주변여건과의 부조화 등이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수변공간에서 관광, 축제, 일상휴식, 레저 등 다양한 목적과 기능으로 시민들이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변공간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문제점과 수변개발의 특성, 유형 등을 분류한 후 수변공간 개발 시 고려사항과 평가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mong Zoological Park Visitors (동물원 방문객의 인식 및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Lee, Hyu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3
    • /
    • pp.51-59
    • /
    • 2012
  • Zoological parks are considered to be a recreational place for family outings and most importantly the starting place of contact with animals in the modem society. Due to environmental threats and the loss of wildlife habitats, the zoos have significant roles to play in education, research and conservation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role-entertainment, but research on zoos and their visitors is very limited in Korea. The present study surveyed that the zoo visitors' perceptions of the role of zoos, satisfaction, and behaviors in 6 public zoos, during which 730 zoo visitor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zoos represent an opportunity for family-based trips, enjoyment with family or friends and education that are the primary motives for visiting the zoo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respondents considered the four main roles of zoos namely conservation, education, entertainment, and research to be important and recognize its value for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of zoo visitors were ease of visibility, welfare of captive animals, and the availability of information. Most respondents believed that naturalistic exhibits and animal welfare were very important. In order to reinforce the roles of the zoo in modem society, multidisciplinary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animal welfare, replicate native habitats, and develop various education program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Japan's leisure Space Policy (일본 여가공간정책 변화 특성 - 생활권 여가공간으로의 전환 -)

  • Kim, 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3 no.5
    • /
    • pp.106-122
    • /
    • 2010
  •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40 hours workweek system, an intensive discussion was made among relevant departments. Building facilities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more leisure activities and higher satisfaction for the public. It is essential to draft at the trend of leisure policy in Japan and learn from the experiences to set the policy direction best fitting future changes in Korea, as Japan has gone through comprehensive changes ahead of us. With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analyzed key leisure policies of Japan and examined the trend of changes of time.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First, Japan's leisure policies could be categorized into five stages and six terms. Second, leisure policies in Japan are being established as a local welfare system, not in the context of industrial perspective, to help people in local community. This is to make voluntary move by eliminating the factors that restrict social demand with an effort to expand leisure time and to secure and enhance access to leisure space. Third, Neighborhood leisure space has taken the center stage, in an effort to seek solutions to the issues of improving space utilization, restoring local community and encouraging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research is as follows. It is required to recommend the use of the specific term 'leisure' for leisure policies in Korea and for leisure space policies in Korea that are now facing sociocultural challenges similar to the ones emerging in Japan, measures are required to improve physiological access of local residents including information promotion, lifetime education and relationships enhancement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neighborhood leisure space.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of Housing type Accomodations for Leisure (여가전용 주택형 숙박시설의 내부공간계획 연구)

  • Kim, Kook-Sun;Lee, Yun-Hee
    • Proceeding of Spring/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 /
    • 2005.11a
    • /
    • pp.177-180
    • /
    • 2005
  • In accordance with recent highly advanced economic growth, the demand of leisure life is quite increasing, and also the increase of nature-friendly leisure with health-pursuing concept where human -being enjoys pleasant environment, is to me said as one of recent social traits. Accordingly, it is research the pres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popularized housing-type accommodating facility, and then this study has discussed on the method how to plan the interior space of such facility to meet with environmental -friendly peculiarity and the object for health enhancement. At first, the program which applied the sustainable design techniques should be preceded, and when planning of interior space, the management method and space planning on the facility and the system should be properly considered in order to enhance the user's health. So to speak, in order to keep and promote the space user's health, those proposing methods such as the followings have been suggested likely as, consideration regarding to air-ventilation and lighting, usage of environmental-friendly material, use of life drainage, custom-typed plane planning, utilization of balcony space, storing furniture and systemization of kitchen space, themed bathroom, inducement of indoor-gardening, and so on. It is expected that this could be applied very usefully to the space plan of the small-scaled housing-type accommodation under planning to develop or renovation.

  • PDF

Space Syntax-based Application to Recommend Paths for Female's Safe Leisure Life (Space Syntax 기반 여성의 안전한 여가활동 경로 추천 애플리케이션)

  • Lim, Won-Jun;Lee, Kang-H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0 no.1
    • /
    • pp.127-135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mplement an application that recommends safe paths for outdoor leisure activity of women based on Space Syntax theory. Compared to general navigation systems which focuses on the shortest time or the shortest distance, the proposed application makes safe paths the first priority. It generates path recommendation with regard to accessibility of travel time and correlation of regions and considers various risk factors for searching for the safest path. Concludingly, the employed Space Syntax algorithm enables the women users to select their own customized paths.

Lighting Plan for Outdoor Space Using Lighting Measurements and Simulations in Residential Areas (조명환경 실측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주거단지 내 옥외공간 조명계획)

  • Park, Byoung-Chul;Choi, An-Seop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9 no.7
    • /
    • pp.1-8
    • /
    • 2005
  • Outdoor spaces are used for recreation, rest area, and night activities of residents. By these tendency, outdoor space is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space in residental areas. However, outdoor space is frequently used at night but lighting plan for these spaces is not suited for the selection of luminairce, arrangement of luminaires and planing of illuminanc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ssence of light in outdoor space, analyzed different outdoor luminous environment and performed simulations. This paper finally suggested recommended level of illuminance and lighting plan of such spaces.

특집 : IT 융복합의료기기 기술 - Type I muscle 강화를 위한 가상현실 컨텐츠 및 3D 입체구동 Balance기기 동향

  • Jeong, Gyeong-Ryeol;Park, Chang-Dae;Lee, Seong-Su;Yu, Sil-Geun;Gang, Tae-Ung
    • 기계와재료
    • /
    • v.23 no.1
    • /
    • pp.52-59
    • /
    • 2011
  •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며 2000년 총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이 7.3%로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제품에 대한 인식과 제품이 점차 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초보단계에 불과하다. 그러나 노인의 건강 유지 및 여가생활을 위한 고령친화제품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 소프트웨어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3D 가상현실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실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운동을 즐기며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용품 즉, 기존의 단순한 재활치료 접근방식에서 시공의 제약을 받지 않는 가상현실로 구현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Type I muscle 강화를 위한 입체구동 Balance 기기를 상용화 한다면 고령층의 여가활동과 동시에 운동, 치료를 병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에서는 Type I muscle 강화를 위한 Balance기기에 대해 알아보고 가상현실과의 접목을 위한 산업전반의 동향을 파악해본다.

  • PDF

스마트 요트운용시스템을 위한 추천관광 항로 개발에 관한 연구

  • Gang, Nam-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0-11
    • /
    • 2013
  • 최근 여가 관광의 기능이 활성화되고 해양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주로 어업의 대상으로 여겨지던 해양공간이 관광자원으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여가활동 및 가족단위 관광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해양환광활동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양레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해양레저활동의 현실은 시설 및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기존의 낚시나 유선사업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재 해양레저활동자 조차도 바다에 관한 깊은 이해와 일정수준의 기술 및 노하우를 가지지 못한 상황이며, 레저보트가 접근할 수 있는 지역의 정보 부족으로 근거리의 단순한 경로만을 반복적으로 운항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요트항해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의 제공에 대응하여 해양레저활동을 위한 레저항로를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