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엔진 윤활계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hear Thinning Effects on Engine Valve Train Contacts (엔진 밸브 트레인 접촉에서의 유막 감소 효과)

  • 장시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4a
    • /
    • pp.342-346
    • /
    • 1998
  • 최근의 자동차엔진에서 사용되는 윤활유에는 여러 가지 첨가물이 사용된다. 특히 고분자량 폴리머계의 점도 지수 향상제를 윤활유의 원유에 첨가함으로써 온도 증가에 따른 점도 불안정성을 방지하는 다등급 윤활유 성격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자량 폴리머계의 첨가물은 고온의 엔진 운전 조건에서 윤활유의 점도 안정성을 보장해줌에도 불구하고 엔진 부품들의 정상적인 운동 속도에서도($1-^6 S^{-1}$) 고 전단 변형율 속도로 인하여 유막 감소 효과를 발생 시킨다. 또한 이 첨가제들은 엔진 부품의 마찰 표면에 큰 전단 응력을 지닌 끈끈한 형태의 경계막을 형성한다. 고분자량 폴리머계의 점도 지수 향상제에 대한 예기치 못한 영향은 유막 감소 효과로 인하여 엔진 부품간의 마모를 증가 시키고 점도의 감소로 마찰을 감소 시키는 반면 경계막으로 인하여 고체면이 보호를 받는데 있다. 이러한 유막 형성의 물리적인 개념에 대하여 고체면의 끈끈한 경계막의 존재 효과와 두 경계막 사이에서 일어나는 유막 감소 효과를 표현할 수 있는 현실적인 해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최근에 많이 쓰이고 있는 점도 향상제가 첨가된 윤활유가 자동차 밸브 트레인 시스템에서 유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마찰 효율과 마모 방지의 입장에서 고찰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 coating materials consisting of Zr-Al-Cu for nano structured coating and investigation of their friction behavior (Zr-Al-Cu계 나노구조 코팅재 설계개발 및 윤활마찰거동 조사)

  • Sin, Seung-Yong;Mun, Gyeong-Il;Seon, Ju-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17-18
    • /
    • 2014
  • 최근 자동차 성능 및 연비향상을 위해서 엔진의 고출력화 및 소형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엔진내부의 부품이 받는 환경은 더욱 가혹해 지고 있다. 즉, 자동차 엔진 구동부품은 금속간의 접촉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계윤활조건에 놓이게 되며, 또한 배기가스 규제로 인한 첨가제를 최소화 하려는 경향에 따라 경계윤활 환경에서 더욱 심한 마모문제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어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높은 코팅기술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Zr기지의 비정질 형성능을 갖는 합금계를 이용하여 아르곤 및 질소분위기에서 스퍼터링 함으로써 고경도의 ZrN상과 엔진오일과 반응하여 저마찰 트라이보 필름을 형성시킬 수 있는 금소계 원소가 Tissue phase로 존재하는 질화물 나노박막합성기술을 개발한 후 자동차 구동부품인 벨브트레인계 및 피스톤링/라이너 부품에 적용하여 마찰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Friction Loss of Engine using Microfluidics Approach (미세유동의 경계면 특성을 적용한 엔진 마찰 손실 연구)

  • Park, Cho Hee;Kim, Bo H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8 no.12
    • /
    • pp.1035-1042
    • /
    • 2014
  • Reducing the friction of engine parts is an important issue in engine design. The loss of energy in the piston assembly due to mechanical friction ranges from 40 to 55%, and there is an increase in the total energy of about 5% if the friction of the piston can be removed. 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 loss at the level of each engine part,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engines to determine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energy loss. Several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analyze the lubrication based on hydrodynamic modeling, since a piston lubrication system has dimensions in the nanoscale to microscale dom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olecular and continuum syste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riction changes due to the various interactions between molecules in the wall/fluid interface, where a microscopic movement of the oil film occurs along the cylinder liner of the engine.

Safety Estimation of Engine Lubrication System using Tilting Test Rig (Tilting Test Rig를 이용한 엔진 윤활 시스템 안정성 평가)

  • 윤정의;전문수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0 no.4
    • /
    • pp.1-6
    • /
    • 2002
  • Engine lubrication system is generally affected by vehicle driving conditions, which are composed of acceleration, braking deceleration and accelerating during cornering. The major reason is due to the oil pan system in which oil is directly influenced by inertia farce caused by vehicle driving conditions. Therefore, to confirm safety of engine lubrication system inertia farce effects are also considered in the developing state. For the purpose, we have carried the engine tilting tests using ourselves made test rig. Verifying the test results we also measured the inertia effects on the engine lubrication system using the circular tuning and slalom test with vehicle. Through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two kinds of results we obtained that the engine tilting test rig was very useful to confirm the safety evaluation of engine lubrication system.

The effect of lubricants in removing smear layer on canal enlargement with engine-driven Ni-Ti file (엔진 구동형 니켈 티타늄 파일을 이용한 근관 확대 시 도말층 제거에 대한 윤활제의 영향)

  • Jeong-Beom Min;Young-Lin Cho;Ho-Keel Hwa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6 no.3
    • /
    • pp.206-214
    • /
    • 2001
  • 근관계의 완전한 충전을 위해 기계적인 근관 확대 및 화학적인 세척은 필수 불가결하다. 근관내 기구 조작 시 근관벽에는 무기물과 유기물로 구성된 도말층이 형성되는데, 이 층은 서서히 분해되어 충전재 주위에서 미세누출을 야기하고, 세균과 그 부산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제거되어야 한다. 현재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기구들과 세척 용액들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근관확대를 위해 엔진 구동형 니켈-티타늄 파일이 개발되어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엔진 구동형 파일을 사용할 때는 윤활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윤활제들에는 도말층 제거를 위한 EDTA가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엔진 구동형 니켈-티타늄 파일을 이용해 근관을 확대할 경우 이런 윤활제들의 도말층 제거 효과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본 실험에는 75개의 치아가 각각 15개씩 5개의 군으로 분류되어 사용되었다. 대조군은 윤활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이고, 실험 1군에서는 윤활제로 RC-PREP$^{TM}$이, 실험 2군에서는 Glyde$^{TM}$가 각각 사용되었고. 실험 3군은 RC-PREP$^{TM}$을 사용한 후 17% EDTA로 처리하였으며. 실험 4군은 Glyde$^{TM}$를 사용한 후 17% EDTA로 처리하였다. 처리된 시편을 절단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시편의 근관의 중앙부와 치근단 부위를 관찰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군과 실험군의 비교시, 대조군에서 더 많은 양의 도말층이 관찰되었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p<0.01). 2. 윤활제의 종류에 따른 비교 시, Glyde$^{TM}$를 사용한 2군에서 RC-PREPTM을 사용한 1군 보다 더 적은 양의 도말층이 관찰되었지만,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3. 윤활제 사용과 EDTA 처리에 따른 효과 비교 시, EDTA로 처리한 3, 4군에서 윤활제만을 사용한 1, 2군 보다 더 적은 양의 도말층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이 있었다(P<0.01). 4. 치근 중앙부와 치근단 부위에서의 도말층 제거 효과 비교 시, 1, 2군에서는 치근 중앙부에서 더 적은 양의 도말층이 관찰되었고,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1). 3, 4군에서는 중앙부의 도말층이 더 적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이상으로부터 EDTA가 함유된 윤활제를 함께 사용하면서 엔진구동형 니켈-티타늄 파일로 근관확대 시, 근관벽에 형성된 도말층 제거에 대한 파일의 효능이 상승되었다. 그러나, 윤활제의 도말층 제거 효과는 17% EDTA용액으로 근관벽을 처리하는 것보다는 낮았다 따라서, 엔진구동형 니켈-티타늄 파일로 근관확대 시 EDTA가 함유된 윤활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보다 완벽하게 도말층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충전 전에 17% EDTA 용액으로 근관벽을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역회전 프로팅링저어널베어링의 정특성

  • 정연민;김경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9.11a
    • /
    • pp.86-93
    • /
    • 1989
  • 이론적으로 진원의 저어널과 슬리브를 갖는 저어널베어링은 저어널과 슬리브가 등속으로 역회전할 경우 부하능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베어링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된다. 따라서, 저어널과 슬리브가 거의 등속으로 역회전하는 계에 대해서는 진원의 저어널베어링을 사용할 수 없고, 다른 종류의 베어링으로 지지하여야 할것이다. 역회전하는 저어널-베어링 계의 예로서는 터어보엔진의 인터샤프트베어링을 들 수 있다. Vance(1)는 고속 터어보엔진의 경우 공기역학적인 관점에서 가스제너레이터축과 파워터빈축이 서로 역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는데, 이때 미끄름저어널베어링은 역회전시 부하능력의 감소로 인해 적용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실제로 현재의 모든 인터샤프트 베어링으로서는 구름베어링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어널과 슬리브가 역회전하는 프로팅링저어널베어링의 정특성을 해석하여 프로팅링저어널베어링이 역회전 저어널-베어링계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윤활이론으로서는 층류상태에 대한 등온 유한장베어링이론을 사용하였다.

  • PDF

Molybdenum dialkyl dithiocarbamat의 마찰특성

  • 김영환;강부평팔랑;익자정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9.11a
    • /
    • pp.41-58
    • /
    • 1989
  • 현재 자동차엔진유를 비롯한 각종윤활유에 마찰마모방지제 및 산화방지제로 사용되고 있는 유용성 몰리부덴계 화합물은 윤활제의 첨가제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유용성 몰리부덴계 화합물은 윤활제의 첨가제로서 마찰부분의 고온에 의해 열분해함으 2 유화몰리부덴($MoS_2$)을 생성하기 위해서 합성한 것이다. $MoS_2$는 마찰마모 감소제로서 잘 알려져 있지만 고체이기 때문에 마찰면에 COATING 하거나 윤활유에 분산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윤활유에 분산시키는 것과 마찰면에 흡착시키는 것과는 계면화학적 반대현상이므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윤활유중에 안정한 분산계를 만들어 사용시에는 비교적 안정한 COLLOID 계가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열가학적으로 불안정한 COLLOID 계를 유지하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므로 유용성인 몰리부덴계 화합물을 윤활유에 용해시켜 열적 혹은 TRIBOCHEMICAL 적으로 분해해 줌으로서 마찰표면에 $MoS_2$의 생성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목적으로 개발된 유용성 몰리부덴화합물은 마찰마모감소작용 및 산화방지작용의 메카니즘에 관해서는 불투명한 점이 많다. 본 논문은 유용성 몰리부덴계 화합물중 Molybdenum dialkyl dithiocarbamate (이후 MoDTC로 명함)를 윤활유 첨가제로 사용해 마찰실험을 통하여 마찰감소작용의 메카니즘을 해명하고, 특히 마찰표면에 생성될 $MoS_2$막의 효과에 관해 중점을 두고 분위기의 효과로 부터 MoDTC의 마찰감소작용의 인자에 대한 고찰을 행하였다.

  • PDF

MoDTC의 마찰특성에 미치는 공존 첨가제의 영향

  • 김연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1.06a
    • /
    • pp.44-49
    • /
    • 1991
  • 엔진유및 각종 윤활유의 이용범위의 광대 및 재료의 등장으로 사용조건이 더욱 과산화됨에 따라 한 종류의 첨가제를 단독으로 첨가사용하기 보다는 몇 종류 이상의 첨가제가 첨가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첨가제의 기능상 여러종류의 첨가는 첨가제 자신이 갖고 있는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한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첨가제간의 상호방해작용으로 단독첨가 사용시 각각의 특성을 충분히 발달하기보다는 기등이하의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최근, 유용성 몰르브덴계 화합물이 마찰, 마모 및 \ulcorner화방지제로써 잘 알려져 있으며 몰리부덴계 첨가제중 Molybdenium dialkyl dithiocarbamate (MoDTC)는 다기능성 첨가제로서 우수성이 부고되었다. 그러나 특히 타 첨가제와 공존시 MoDTC의 마찰특성의 변화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MoDTC와 타 첨가제 간의 마찰특성의 상호작용에 관한 검토로서, 유황계 화합물($S_8$), 인계 화합물(인산에스테르;TBP), 치오인산계 화합물(ZnDTP)과 같은 윤활유에 많이 첨가되고 있는 극압제를 사용해 이들 화합물이 공존시 MoDTC 마찰감소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또한 분위기의 영향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 PDF

Synthetic Oil for Automotive Engine (자동차 엔진용 합성유)

  • 권영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9 no.6
    • /
    • pp.15-23
    • /
    • 1987
  • 범용자동차엔진용 합성윤활유는 현재의 자동차가 광유를 염두에 두고 설계하고 있어 생에너지나 롱드레인성에 있어서는 이점이 있어 광유와 경쟁이 가능하다. 합성윤활유의 첨가제로서 광유계의 첨가제를 그대로 사용하는 일이 많지만 용해성에 문제있고 도한 첨가제의 열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합성윤활유에 알맞는 첨가제가 개발된다면 보다 고품질의 것이 기대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ngine Oil Life for Small Size Single Cylinder Engine (단기통 소형 엔진의 엔진오일 수명에 관한 연구)

  • 정동윤;신성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06a
    • /
    • pp.18-24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두가지 엔진에 사용된 엔진오일의 성상변화를 측정하였다. 따라서 금속 마모입자 분석, 동점도 측정과 TAN 및 TBN 분석을 통한 물리적 성상과 화학적 성질 분석 그리고 적외선 분광 분석과 정량 폐로그라피 분석 등을 통하여 Table 1에 나타난 기준에 의해 오일의 수명을 판정하였다. 아울러 RPD를 이용하여 마모입자의 형상 등을 분석하고 엔진에서 발생하는 마모기구를 살펴보았다. 물론 본 연구는 주위 환경이 양호한 실험실에서 엔진 동력계에 의한 실험에 의존하였으므로 실제 주행실험 결과보다는 오일의 수명이 더 길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더욱이 농경지에서 주로 사용되는 경운기의 경우는 오일이 먼지나 모래, 진흙 등에 의해 오손되기 쉬우므로 실제 오일의 수명은 훨씬 더 짧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실차 주행실험 결과와의 비료는 앞으로 더 연구할 분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