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콜로지디자인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공간디자인에 있어서의 환경친화와 Green Amenity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그린(Green Materials)을 이용한 에콜로지디자인을 중심으로 - (Role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 Green Amenity in Space Design - a focus on ecology designs using green materials -)

  • 이정민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137-148
    • /
    • 2003
  • 21세기는 유기체적 세계관의 발달과 함께 환경친화적 접근이 조형계에서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제 환경친화디자인은 단순히 환경보호적인 차원을 넘어 인간과 기술, 환경이 함께 호흡하는 유기체적인 환경친화, 환경과의 일치의 개념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현대에 발전하고 있는 환경친화디자인의 유형, 즉 자연보호적인 접근이 중심이 된 입장과 인간과 환경의 친화관계 회복이 중심이 된 입장의 두 가지 환경친화디자인 유형을 조사하고 이의 필요성과 Green Amenity에 의거한 기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중에서 단절된 인간과 자연환경의 유기적 연결성을 강조하는 환경친화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어 이에 해당하는 공간 디자인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간이 소원하는 삶과 환경에는 편리함과 관련된 기술적 물리환경 뿐만이 아니라 생물적 소산을 이용한 자연친화적 구상이 필요함을 논증해 보고자 한다.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이런 접근은 인간과 자연의 단절된 친화관계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렇게 인간과 자연의 친밀감이 회복될 때에 자연보호를 위한 인간의 노력도 유기체적 방향성을 가지고 바람직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본다.

  • PDF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리디자인 패션 연구 - 남성 한복을 이용한 여성복 개발 - (A study of the redesign fashion of cultural sustainability - Development of women's clothing using men's Hanbok -)

  • 곽가빈;서영임;김세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4호
    • /
    • pp.572-584
    • /
    • 2021
  • The emergence of environmental and social issues has led to global discussions for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using waste Hanbok, focusing on men's Hanbok with cultural values. The study utilizes literature research and fashion design development. From the literature study, reform was judged to be a higher concept encompassing reduction, recycling, and upcycling. Reduction is a design method through removal, and recycling design transforms from its original form into a completely different product. Upcycling design focuses on improvement and change in functionality. Accordingly, nine redesigns using men's Hanbok were developed from which three were produced. Consequently, the reduction design demonstrated a small range of variation without changing the item, and cultural sustainabil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design that removed the components and recombined the Hanbok. Second, recycling redesign can be reconstituted into a different item. Third, upcycling enables various designs through module assembly, which prolongs the lifespan of the product and confirms its value as a raw material for waste Hanbo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realizing sustainable fashion and suggesting practical measures for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reative fashion design planning.

1990년대 초반 복식유행에 나타난 에콜로지 이미지 (Ecological Image in Fashion During the Early Period of 1990's)

  • 한소원;김영인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96-306
    • /
    • 1999
  • This study reflects the aim of analyzing the fashion design connection with ecology. Ecology has been linked to human life through its changing relations with environment. In order to recover eco-system ecology-nature oriented methodology and technology oriented approach will suffice. On the modern design field Green design Recycling and Green marketing resulted in increasing rates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ion and an effort to deliver environment-friendly corporate image. Based on above research ecological image on fashion design during the year 1990 to 1995 represents the following conclusion. In the fashion design field natural image primitive image nature -harmonious image material-recyling image culture-recycling image are proposed. In the technology field clean image and high-tech image are proposed. In the marketing field happy image harmonious image serious image and realistic image are proposed.

  • PDF

환경 친화적 도서관 건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n environment friendly library architecture)

  • 김효숙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3년도 제10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5-364
    • /
    • 2003
  • 20세기의 도서관은 확산된 인터넷의 보급으로 대출형 도서관의 연장선상에서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관종이나 지역간 협력을 통한 네트워크 운영으로의 도약을 꾀하고 있다. 이후, 도서관의 발전단계는 다양한 서비스를 즐기며 오랜 시간을 관내에 머무를 수 있는 체재형(滯在型)도서관이라고 표방되고 있다. 이는 도서관이 오랜 시간 머물며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사회적, 시대적 요청에 의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니버설(universal) 디자인과 에콜로지(ecology) 디자인의 개념을 수용한 환경 친화적 도서관 건축에 대한 사안(私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도나텔라 베르사체 컬렉션 분석을 통한 패션 브랜드 <베르사체>의 디자인 아이덴티티와 아카이브 계승연구 -2018년~2021년 밀라노 컬렉션을 중심으로- (Identity and Archive Inheritance of Fashion Brand -Focusing on Donatella Versace Milano Collection from 2018 to 2021-)

  • 신성미;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4호
    • /
    • pp.61-78
    • /
    • 2021
  • Gianni Versace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Italian designers between the 1980s and 1990s and a representative person to add sexiness and splendour to Italian fashio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esign identity that resulted in the successful handover to Donatella Versace and to review how effectively differentiated and unique heritage elements of Versace were transferred and operated. Literature reviews were performed to find Gianni Versace's design identity and archive. The scope of this study was Donatella's collection from 2018 to 2020. In particular, Signature, the most remarkable design identity of luxury brands with a visual identity that includes the mark, logo and symbol and design elements such as the item, colour, materials, details, etc., were the special focus. In this study, the elements of the visual identity of the signature were classified with the logo, icon, silhouette, materials, patterns, colours, and changes in details that were applied with the uniqueness and philosophy of the differentiated brand. Donatella Versace empathized with Versace's heritage as the brand heritage recalling Versace's honour in the 1990s and reproduced his honour again by reinterpretation of Versace's design images. Donatella is considered an excellent creative director who leads the brand by keeping the heritage and applying the trends of the times. This study as a case study of Versace has the meaning that Versace has maintained the brand identity starting from Gianni Versace as the first generation and successful takeover after the change of directors upon recreation to meet the modern times.

신선 설농탕 김포점 계획안 (Plan for Shinseon Seolleongtang Restaurant in Kimpo)

  • 이창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5-206
    • /
    • 2005
  • The plan for Shinseon Seolleongtang Restaurant in Kimpo has as its goal to create an environment strongly fused with the design of the modern city and the spirit of food culture craftsmanship, and it proceeded as follows. In order to carry out the goal of the plan, the direction of the design concept was set to be a harmonious blending of Ecology and Minimal. Also, for detailed plan direction, in the Minimal domain, conciseness, cleanliness, and high quality were established as the ultimate goals in order to create a spacious food and drink area in today's complicated and energy-draining society, and in the Ecology domain, ancient hieroglyphs representing the forms of natural objects were used that prayed for years of plentiful harvest and blessing, and colorfully expressed the events of the populace.

  • PDF

말레이시아 무슬림 여성의 패션제품 구매와 패션의식 (The Fashion Product Purchase and Fashion Consciousness of Malaysian Muslim Women)

  • 장선우;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2호
    • /
    • pp.63-79
    • /
    • 2021
  • In order to expand the overseas market of the Korean fashion industr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fashion-related purchases and fashion consciousness of Muslim women, who are increasingly attracting attention as global fashion consumers. Therefore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shion design preferences and fashion consciousness of Malaysian Muslim women. A total of 245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shion product purchases, design preferences and environmental awarenes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young Malaysian Muslim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y preferred a modern, Sophisticated, and sporty image, and their preference for unpatterned fabrics was high. When choosing fashion products, these women seek to both pursue fashion trends and comply with Islamic laws. When the women buy clothes, they consider practicality and design elements. The women also collected fashion trend information through SNS and the Internet, and ues this information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through the Internet and shopping malls. This study was based on a practical survey of local consume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data for fashion-related studies and to expand overseas markets to reach Muslim women in Southeast Asia.

20세기 후반 디자인 트렌드의 형성요인과 색채 트렌드 분석 (The Analysi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Design Trends and Color Trends in the Late 20th Century)

  • 김현경;김영인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5-20
    • /
    • 2007
  • 본 연구는 20세기 후반 트렌드의 형성요인 및 디자인 트렌드를 분석하여 메가트렌드와 디자인트렌드의 흐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디자인에 나타난 색채의 변화를 분석하여 디자인의 색채트렌드를 예측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트렌드의 형성요인인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과학 기술 영역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20세기 후반 (1970$\sim$2002년) 메가트렌드의 변화를 분석하고, 디자인트렌드의 흐름을 도출하기 위하여 패션, 공간, 제품, 시각 디자인 분야의 대표적인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20세기 후반 디자인의 색채트렌드를 분석하여 근 미래의 색채트렌드를 예측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20세기 후반 트렌드는 여성적 사고, 자연으로의 회귀, 은둔 속 안식 트렌드로 된다. 둘째, 디자인트렌드의 흐름은 70년대부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하이테크가 지속되면서 80년대 후반 에콜로지를 반영하였다. 90년대, 모더니즘이 다시 부각되고 에콜로지 경향이 지속적으로 디자인에 나타났으며, 2000년대 초, 여성적 사고와 자연으로의 회귀로 대표되는 트렌드가 지배적이었다. 셋째, 20세기 후반 디자인의 색채트렌드는 Red 중심에서 Purrple Blue 중심으로, grayish 중심에서 dull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근 미래에는 Purple Blue, Yellow Red, Green 색상과 grayish, dull, deep 색조, 여성적이고 따뜻한 감성을 전달하는 무채색 계열이 많이 활용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트렌드를 규명하기 위한 방법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하고 메가트렌드와 디자인트렌드와의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향 후 디자인 분야의 디자인트렌드 예측에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를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로와 접하는 건물의 경우 모서리부 광고 효과가 지배적이며 대부분 곡선돌출형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모서리 저층부를 필로티로 계획하여 보행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대신 입면을 투명하게 하여 간접광고(내부전시)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특히 원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약제재의 변비약 수준으로 변비 개선 효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재료 배합비의 개선이나

  • PDF

에콜로지의 조형적 특징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Research on Fashion Design Using the Formative Features of Ecology)

  • 박한힘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2호
    • /
    • pp.15-2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research of ecology concepts expressed in fashion and to propose a new ecology fashion design based on the results. As a specific research method, first, to determine the concept of ecology, the contents related to ecology were extracted and organi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n a fashion colle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acquire basic design data, such as silhouettes, materials, details, and colors. From WGSN, and a total of 57 images were selected and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suggestions. As a result of collecting the collection images, it was found that cotton or denim fabrics were mainly used, and in particular, the frequency of use was high mainly for bright tones. The use of chambray, lace, and wrinkles, was also frequent, and the use of expression techniques using burn-out, bleach, and bleaching effects or parts, or entire dyeing was often noticeable. The colors showed neutral and pastel-toned characteristics, and the silhouette was mainly composed of long silhouettes centered on maxi, such as a top or calf based on the knee, rather than a mini. Fabrics for the final designs were linen and sappan wood, and they were used for the dye and red was used as the overall color. The silhouettes were simplified, and care was taken to prevent unnecessary waste, such as paper or materials, from being generated during the production stage. We tried to achieve the purpose of eco-logy by refraining from excessive trimming, except for essential subsidiary materials, such as zip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