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지 검출기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car license plate edge detection by various edge detectors (다양한 에지 검출기에 의한 차량 번호판의 에지 검출 성능 평가)

  • Lee, Seok-Hee;Song, Young-Jun;Ahn, Ja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773-77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에지 검출기에 의해 다양한 명암이 존재하는 차량 번호판 영역의 사각형 에지를 검출시 사용되는 소벨 및 Prewitt, Roberts, 가우시안의 라플라시안, 그리고 Canny 검출기를 사용하여 처리 속도와 에지 검출의 정확성을 실험하여 각 연산자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Sobel 에지 검출기는 적응적 임계값을 구하지 않으면 다양한 조명의 영향에 강인하지 못하다. 또한 Canny 에지 검출기는 조명의 영향에 강인하기는 하나, 계산량이 Sobel 보다는 많아 처리 속도가 느리다. 색상에 의해 번호판 후보 영역을 추출한 후 에지 검출기 번호판 내의 명암이 둘 이상으로 차량 번호판 영역에 대해서, 다양한 에지 검출기를 적용하여 속도와 에지 검출 성능을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 PDF

An Approximate Gaussian Edge Detector (근사적 가우스에지 검출기)

  • 정호열;김회진;최태영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7 no.7
    • /
    • pp.709-718
    • /
    • 1992
  • A new edge detection operator superimposing two displaced Gaussian smoothing filters Is proposed as an approximate operator for the DroG(flrst derivative of Gaussian) known as a sub-op-timal step edge detector.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edge detector Is very close to that of the DroG with the performance criteria . signal to noise ratio, locality, and multiple response. And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can be reduced almost by a half of that of DroG, because of the use of common 2-D smoothing filter for DroG and LoG ( Laplacian of Gausslan) systems.

  • PDF

An Edge Detector by Using Perfect Sharpening of Ramps (램프의 완전 선명화를 이용한 에지 검출기)

  • Lee, Jong-Gu;Yoo, Cheol-Jung;Chang, Ok-Bae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4 no.11
    • /
    • pp.961-970
    • /
    • 2007
  • Since the usual conventional edge detectors employ the local differential derivatives, the detected edges are not uniform in their widths or some edges are missed out of the detection on magnified images. We employ a mapping from the exactly monotonic intensity distributions of ramp edges to the simple step functions of intensity, which is referred to as perfect sharpening map of ramp edges. This map is based on the non-local feature of intensity distribution and used to introduce a modified differentiation, in terms of which we can construct an efficient edge detector adaptive to the variation of edge width. By adopting the operator MADD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edge detector that works stably against the magnification of image or the variation of edge width. It is shown by comparing to the conventional algorithms that the proposed one is very excellent.

A Study on Canny Edge Detector Design Based on Image Fuzzification (이미지 퍼지화 기반 Canny 에지 검출기 설계에 관한 연구)

  • Park, Mi-Young;Kim, Chul-Won;Park, Jo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9
    • /
    • pp.1925-1931
    • /
    • 2011
  • This paper suggests an approach to the subtle concept, "good", through the fuzzy logic and the design of the Canny edge detector of Gray scale images based on the rules of fuzzy anisotropic diffusion. The Canny edge detection algorithms design is to divide the gray levels into pixels and then calculate the diffusion coefficients at each pixel of non-edgy regions. Based on this processing, we present the Canny edge detector implementing fuzzy logic and comparing the results to other existing methods. The proposed approach is the narrow dynamic range of the gray-level image Sharpening the edge detection and has the advantage.

Object based contour detection by using Graph-cut on Stereo Images (스테레오 영상에서의 그래프 컷에 의한 객체 기반 윤곽 추출)

  • Kang, Tae-Hoon;Oh, Jang-Seok;Lee, On-Seok;Ha, Seung-Han;Kim, Min-G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449-450
    • /
    • 2007
  • 오래 전 부터 영상처리와 컴퓨터 비전은 많은 분야에 응용되고 발전 되어 왔다. 그러한 기술 중에 최근 각광 받고 있는 그래프 짓(Graph cut) 알고리즘은 에너지함수를 최소화 하는 가장 강력한 최적화 기법중 하나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Sobel, Prewitt, Roberts, Canny 에지(edge) 검출기 등은 영상처리에서 영상상의 에지를 검출하기 위해 이미 널리 사용되고 발전되어 온 기술이다. 물체에서의 윤곽만 검출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원하지 않는 영상 위의 에지도 검출되기 때문에 예지 검출기만으로는 물체의 윤곽만을 검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리는 물체의 윤곽만 검출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그래프 컷과 에지 검출기의 알고리즘을 결합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는 그래프 컷 알고리즘과 에지 검출기에 관해 간략하게 기술하고 그 결과를 보일 것이다.

  • PDF

A Study on Wavelet-Based Edge Detector (웨이브렛 기반 에지 검출기에 관한 연구)

  • Kim, Nam-Ho;Bae, Sang-Bum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8 no.2
    • /
    • pp.91-97
    • /
    • 2007
  • Points of sharp variations in signal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analyzing the features of signals. And in the image, edges include diverse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s, shape and material.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researches on edge detections, among them, methods based on convolution in the spatial domain have been most popular. However at the early stage of the method, if the noise and many kinds of edges exist in the image, it is not easy to separate edges selectively from corrupted images by noise. In meantime, the wavelet transform for multiscale edge detection is being applied widely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images in various fields. In this paper, we suggest a robust wavelet-based method, which selectively detects line-edge elements from images in the presence of noise.

  • PDF

Text Region Detection using Feature of Adaptive Character-Edge Map in Natural Images (자연영상에서 적응적 문자-에지 맵 특징을 이용한 텍스트 영역 검출)

  • Park, Jong-Cheon;Hwang, Dong-Guk;Lee, Woo-Ram;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1-184
    • /
    • 2007
  • 자연영상에 포함된 텍스트는 많은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자연영상에서 텍스트 정보를 검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자 영역의 구조적인 특정을 배열문법으로 정의한 적응적 문자-에지 맵을 제안하여 텍스트 영역을 검출한다. 캐니-에지 검출기로 에지를 추출하고, 생성된 에지 이미지를 레이블링하고 그 영역의 문자구조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서 적응적 문자-에지 맵을 분석한다. 적응적 문자-에지 랩의 분포 상태를 분석함으로서 텍스트 후보 영역을 검출하고, 텍스트 영역의 에지 히스토그램 프로파일을 분석함으로서 텍스트 후보 영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최종적인 텍스트 영역을 검출한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자연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기울어진 텍스트와 다양한 크기의 텍스트 구성된 자연영상에서 텍스트 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하였다.

  • PDF

A Statistical Analysis of Edge Enhancing Filters and Their Effects on Edge Detection (에지개선 필터들의 통계적 분석과 에지검출에 대한 영향)

  • 박순영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8 no.11
    • /
    • pp.1635-1644
    • /
    • 1993
  •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edge enhancing filters and their efficacy as preprocessing operator before edge detection. In particular, edge enhancing filters called the Comparison and Selection(CS), Hachimura-kuwahara(HK), and Selective Average(SA) filters are considered. These filters can reduce noise while producing step-type edges, thus seem to be effective for preprocessing noisy images prior to applying edge detecors. The ability of edge enhancing filters to suppress white Gaussian noise and the error probabilities occured during the edge detection following SA prefiltering are evaluated statistically through numerical analysis. The effect of prefiltering on edge detection is assessed by applying the edge enhancing fitters to a noise image degraded by additive white noise prior to applying the Sobel operator and the Laplacian of Gaussian( LoG ) operator, respectively. It is shown that the edge enhancing filters tend to produce ideal step-type edges while reducing the noise reasonably well, and the use of edge enhancing filters prior to edge detection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subsequent edge detector.

  • PDF

Character Region Detection using Edge Features of Character and Character String in Signboard Image (문자 및 문자열의 에지 특징을 이용한 표시판 이미지에서 문자영역 검출)

  • Park, Jong-Cheon;Hwang, Dong-Guk;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2-214
    • /
    • 2008
  • 자연이미지에 포함된 안내 표시판은 많은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검출하여 문자인식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다면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문자 및 문자열의 에지 특징을 이용하여 표시판이미지로부터 문자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캐니-에지 검출기로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이미지를 생성한다. 에지 이미지를 레이블링을 하여 연결요소 성분을 추출한다. 레이블 영역에서 문자와 문자열 에지 특징을 분석하여 후보 문자영역으로 추출한다. 후보 문자영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서 최종적인 문자영역을 검출한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자연이미지를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자연이미지에서 기울어진 문자영역과 다양한 크기의 문자를 갖는 문자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하였다.

  • PDF

Text Region Detection using Edge and Local Minima/Maxima Transformation From Natural Scene Images (에지 및 국부 최소/최대 변환을 이용한 자연이미지로부터 텍스트 영역검출)

  • Park, Jong-Cheon;Hwang, Dong-Guk;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257-259
    • /
    • 2008
  • 자연이미지에 내포된 텍스트는 많은 정보를 제공함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검출하여 다양한 응용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영역의 에지 특징과 국부 최소/최대 변환을 이용하여 자연이미지로부터 텍스트 영역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에지 검출은 캐니-에지 검출기로 추출하고, 국부 최소/최대 변환을 이용하여 텍스트 영역의 연결성분을 추출한다. 각각 추출된 에지 및 연결성분으로부터 텍스트 영역 후보를 검출하고, 각각의 결과를 결합하여 최종적인 텍스트 후보 영역을 검출하고, 후보 텍스트 영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서 최종적인 텍스트 영역을 검출한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자연이미지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에지 및 연결성분의 두 가지 특징을 결합함으로서 자연이미지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텍스트 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