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어로졸 입자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034초

OPC(광학적 입자 계수기)로 측정한 2001년 서울지역 에어로졸의 입경 분포 (Characteristics of Aerosol Size Distribution from OPC Measurement in Seoul, 2001)

  • 정창훈;전영신;최병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15-528
    • /
    • 2003
  • The characteristics of one year observation aerosol data in Seoul, 200 I was studied using an OPC (Optical Particle Counter). The size resolved aerosol number concentrations of 0.3 ∼ 25 11m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M$_{10}$ mass concentration data under various meteor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dust and precipitation events. For fine particles whose diameter is less than 2.23 ${\mu}{\textrm}{m}$, the number concentration increases in the early morning which is considered due to transportation. while the coarse mode particles increase during daytime. This increase can be explained as local sources and human activities near sampling site. Hourly averaged data show that there exists diurnal variation. Generally, PM$_{10}$ data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OPC data. The size resolved OPC data showed that the particles of 0.5 ∼ 3.67 ${\mu}{\textrm}{m}$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M$_{10}$ data. The accumulated volume fraction of size resolved aerosol concentration in 0.5 ∼ 10 ${\mu}{\textrm}{m}$ showed that 0.5 ∼ 2.23 ${\mu}{\textrm}{m}$ particles occupied 59.2% of total aerosol volume of 0.5 ∼ 10 ${\mu}{\textrm}{m}$./TEX>.

지리산 국립공원 해발 865 m 지점에서 대기에어로졸입자의 입경별 질량농도 특성 (Mass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Collected at 865 m High of Jirisan National Park)

  • 류혜지;박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9-36
    • /
    • 2017
  • Aerosol mass size distributions were investigated at 865 m high the of Jirisan national park. A nanosampler cascade impactor was used to collect aerosols. The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had a unimodal mass size distribution, which peaked at $0.5-1.0{\mu}m$, and a mass aerodynamic diameter of $1.13{\mu}m$.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of TSP, $PM_{10}$, $PM_{2.5}$, $PM_1$, $PM_{0.5}$ and $PM_{0.1}$ were $20.9{\mu}g/m^3$, $19.3{\mu}g/m^3$, $14.9{\mu}g/m^3$, $10.7{\mu}g/m^3$, $5.3{\mu}g/m^3$, $1.2{\mu}g/m^3$, respectively. TSP concentrations were below $30{\mu}g/m^3$ during the sampling period. On average $PM_{10}$, $PM_{2.5}$, $PM_1$, $PM_{0.5}$ and $PM_{0.1}$ made up 0.91, 0.70, 0.41, 0.19 and 0.07 of TSP, respectively. The annual average of PM2.5/PM10 ratio was 0.77.

입자 사이즈에 따른 Cu 필름의 에어로졸 성막 거동에 대한 연구 (Study on Aerosol Deposition Behavior of Cu Films According to Particle Size)

  • 이동원;오종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235-240
    • /
    • 2017
  • The effect of particle sizes on the aerosol deposition (AD) of Cu films is investiga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position behaviors of metal powder during the AD process. The Cu coatings fabricated by using $2{\mu}m$ Cu powders had a dense microstructure, a high deposition rate ($1.6{\pm}0.2{\mu}m/min$), and low resistance ($9.42{\pm}0.4{\mu}{\Omega}{\cdot}cm$) compared to that from using Cu powder with a particle size greater than $5{\mu}m$. Also, from estimating the internal micro-strain of Cu films, the Cu coatings fabricated by using $2{\mu}m$ Cu particles exhibited a high micro-strain value of $3.307{\times}10^{-3}$. On the other hand, the strain of Cu coatings fabricated with $5{\mu}m$ particles was decreased to $2.76{\times}10^{-3}$. These results seem to show that the impacted Cu particles are compressed and flattened by shock waves, and that their bonding is associated with the high internal micro-strain caused by plastic deformation.

광학적 입자계수기를 이용한 2004년 황사기간 인천지역 에어로졸 특성 (Characteristics of Incheon Aerosol during Asian Dust Period in 2004 using Optical Particle Counter (OPC))

  • 정창훈;조용성;이종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65-575
    • /
    • 2005
  • The characteristics for the aerosol number distribution was studied during spring, 2004 in Incheon. Optical Particle Counter (OPC, HIAC/ROYCO 5230)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number concentration of aerosol in the range of $0.3\~25{\mu}m.$. The obtain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PM_{2.5}\;and\;PM_{10}$ data during Asian dust ev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size resolved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from OPC measurement has a similar tendency with $PM_{10}\;and\;PM_{2.5}$ mass concentration. During Asian dust periods, the number concentrations in large particle $(CH5\~CH8)$ increase more than small particles which diameter is less than $2.23{\mu}m(CH5)$ and the same results were shown when $PM_{10}$ was compared with $PM_{2.5}$ data compared with non-dust days,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size resolved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from OPC measurement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in comparison of mass concentration data.

개별입자 분석을 위한 대기에어로졸의 시료채취법 (Sampling Method for Individual Particle Analysis of Atmospheric Aerosol)

  • 천성우;박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3-119
    • /
    • 2024
  • In this study, the most suitable sampling methods for the bimodal mas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particle analysis of atmospheric aerosols were investigated. Samples collected in Quartz, Teflon, and Nuclepore filters were analyzed for individual particle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ith an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meter (SEM/EDS). Then, the pore diameter of the filter and the collection flow rate were determined using the theoretical collection efficiency calculation formula for two-stage separation sample collection of coarse and fine particles. The Nuclepore filter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filter for identify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aerosols since it was able to separate the sample and count the different sized particles better than either Quartz or Teflon. Nuclepore filters with 8.0 ㎛ and 0.4 ㎛ pores were connected in series and exposed to a flow rate of 16.7 L/min for two-stage separation sampling. The results show that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collect both coarse and fine particles. We expect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will be used for future individual particle analysis of atmospheric aerosols and related research.

전주, 군산, 남원지역 강수의 Sr, Pb동위원소 지화학 (The Sr and Pb Isotopic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the Atmospheric Bulk Deposition of Jeonju, Gunsan, and Namweon Areas)

  • 전서령;정재일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4호
    • /
    • pp.463-479
    • /
    • 2005
  • 전북의 전주, 군산, 남원지역에서 주기적으로 채수된 강수(bulk deposition)를 지화학적으로 고찰하고 Sr과 Pb 동위원소의 환경추적인자로서의 적용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강수는 pH $4\~7$의 약산성내지 산성을 띄며, 건기에는 높고, 우기에는 자연산성도 수준인 5.0수준을 유지한다. 강수에 의한 희석작용으로, 우기이후의 강수는 TDS 및 EC도 낮아지나 다시 건기에 들어서면서 상승한다. 겨울철에는 난방연료의 연소에 의해 $SO_4$$NO_3$이 높은 함량을 보이며, 여름철은 $CO_2$가스의 영향으로 탄산농도가 약간 높은 경향을 보인다 양이온은 겨울철에 Na의 함량이 높고, 봄부터 여름철에는 Ca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다. 지리산에 인접한 남원이 전반적으로 낮은 EC 및 TDS값을 가지고 인구밀집과 도시화가 심한 전주지역은 대체로 높다. 남원지방은 다량의 수목의 호흡작용에 의한 대기중 이사화탄소의 함량이 높아 여름철 탄산 농도가 타 지역에 비해 높다. 군산지역은 해염의 영향으로 대기중 Cl의 함량이 높다. Al, Cu, Zn은 TDS와 상관계수 0.5이상의 양호한 상관관계를 보여 이들 원소가 미량원소 중 강수의 화학적 성상에 영향을 미치는 원소들 이라고 볼 수 있다. $^{87}Sr/^{86}Sr$ 값은 0.7109-0.7128으로 세 지역 모두 유사하며, 해수보다 다소 높은 값을 보이고 있어 주변의 토양입자, 꽃가루, 기타 인위기원의 에어로졸 등의 영향이 있음을 암시하나 지역 전반에 걸친 자세한 동위원소적 고찰이 있어야만 보다 정확한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강수의 Pb 동위원소 조성도 세 지역 모두 유사하며, 서울 에어로졸의 Pb 동위원소 조성 범위내에 포함되고 북경의 에어로졸 범위에서는 약간 벗어나 있다. 이는 한반도내의 대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Pb은 모두 유사한 기원으로 휘발유의 연소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중국으로부터 기원한 Pb의 존재 가능성은 내포하고 있으나 그 기여율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

황사 발생시 아파트 실내에서 미세먼지 크기별 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Indoor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by Size at an Apartment House During Dusty-Day)

  • 주상우;지준호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주택으로서 3인 가구가 거주하는 공급면적 $117.69m^2$의 일반형 아파트를 측정 주택으로 선정하여 실증 측정을 진행하였다. 황사 발생이 포함된 3일 측정기간 동안 미세먼지 변화 특성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관측된 미세먼지($PM_{10}$)를 상대적으로 큰 먼지($PM_{10-2.5}$)와 초미세먼지($PM_{2.5}$)로 나누어 대기와 실내의 먼지의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재실자의 활동이 없는 외출이나 취침 기간에는 주택의 침기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세먼지 중 상대적으로 큰 $PM_{10-2.5}$ 크기 입자는 외기의 풍속이 5 m/s까지 증가하여 침기량이 증가해도 대기 농도 대비 실내 농도비가 7% 이하인 반면, $PM_{2.5}$의 경우 외기 속도가 5 m/s까지 증가하면 50%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황사가 심한 대기 상태에도 본 연구의 측정 주택의 경우 실내 $PM_{10-2.5}$는 시평균$15{\mu}g/m^3$로 대기 농도의 5% 수준으로 일상 조건과 비슷했다. 재실자의 활동이 있는 경우에는 미세먼지 중 초미세먼지를 제외한 상대적으로 큰 먼지는 자연환기와 실내 사람의 움직임과 같은 행동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실내 $PM_{10-2.5}$ 농도는 대기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대기 농도의 약 50%를 차지하는 경우도 있었다. 재실자의 활동 중, 초미세먼지의 발생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굽기나 튀기기가 포함된 조리나 실내 흡연이 없었기 때문에, 재실자가 없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초미세먼지는 실내 농도가 실외 농도의 추이에 따라 함께 변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외부공기가 침기에 의해 창틈, 문틈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초미세먼지는 약 30~40% 정도가 제거되고 실내로 많은 비율이 유입되기 때문에 실외 초미세먼지의 실내에 대한 영향이 컸다. 본 연구의 분석 데이터는 측정이 이루어진 대표 주택에 해당하는 것으로, 새로 지어진 기밀 성능이 높은 신축 아파트나 침기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되는 오래된 단독주택에서는 다른 특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단 임팩터 Nanosampler를 이용한 진주시 대기에어로졸입자의 입경별 질량농도 특성 (Mass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with Nanosampler Cascade Impactor in Jinju City)

  • 박정호;장민재;김형갑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79-687
    • /
    • 2015
  •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were investigated at GNTECH university in Jinju city.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the Nanosampler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2014. The Nanosampler is a 6 stage cascade impactor(1 stage : > $10{\mu}m$, 2 stage : $2.5{\sim}10{\mu}m$, 3 stage : $1.0{\sim}2.5{\mu}m$, 4 stage : $0.5{\sim}10{\mu}m$, 5 stage : $0.1{\sim}0.5{\mu}m$, back-up : < $0.1{\mu}m$) with the stages having 50% cut-off ranging from 0.1 to $10{\mu}m$ in aerodynamic diameter. The mass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was unimodal with peak at $1.0{\sim}2.5{\mu}m$ or $0.5{\sim}1.0{\mu}m$.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of TSP, $PM_{10}$, $PM_{2.5}$, $PM_1$, $PM_{0.5}$ and $PM_{0.1}$ were $44.0{\mu}g/m^3$, $40.3{\mu}g/m^3$, $31.4{\mu}g/m^3$, $18.0{\mu}g/m^3$, $8.0{\mu}g/m^3$, $3.0{\mu}g/m^3$, respectively. On average $PM_{10}$, $PM_{2.5}$, $PM_1$, $PM_{0.5}$ and $PM_{0.1}$ make up 0.91, 0.70, 0.41, 0.19 and 0.07 of TSP, respectively. The annual average of $PM_{2.5}/PM_{10}$ ratio was 0.77.

수포작용제 방호성능이 향상된 선택투과막 제조 (Preparation of Selectively Permeable Membrane Materials with Enhanced Protective Capability against Blister Agents)

  • 권태근;김진원;강재성;박현배;이해완;서현관
    • 멤브레인
    • /
    • 제24권2호
    • /
    • pp.167-175
    • /
    • 2014
  • 수증기 투과성과 DMMP 방호성능을 가지는 cellulose acetate butyrate (CAB)/polyethyleneimine (PEI) 기반의 선택투과막에 대해 여러가지 첨가제를 적용하여 CEES에 대한 방호성능 개선을 시도하였다. 시험결과, CAB/PEI 기반의 선택투과막은 수증기 투과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geq}1,800g/m^2/day$), CEES에 대한 방호성능의 개선을 보여주었다($7.1{\sim}11.5{\mu}g/cm^2{\cdot}24hr$). 이 중, $Ag^+$ 이온과 이온교환수지 혼합물을 포함한 CAB/PEI 선택투과막에서 가장 우수한 방호성능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시험한 모든 선택투과막은 생물학작용제를 모사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에어로졸 입자($0.005{\sim}3{\mu}m$)에 대해서도 방호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대기 정체와 수용성 에어로졸 입자의 질량크기분포의 관계 (Effect of Air Stagnation Conditions on Mass Size Distributions of Water-soluble Aerosol Particles)

  • 박승식;유근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18-429
    • /
    • 2018
  • Measurements of 24-hr size-segregated ambient particles were made at an urban site of Gwangju under high pressure conditions occurred in the Korean Peninsula late in March 2018.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ir stagnation on mass size distributions and formation pathways of water-soluble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NO_3{^-}$, $SO_4{^{2-}}$, $NH_4{^+}$, water-soluble organic carbon (WSOC), and humic-like substances(HULIS) exhibited mostly bi-modal size distributions peaking at 1.0 and $6.2{\mu}m$, with predominant droplet modes. In particular, outstanding droplet mode size distributions were observed on March 25 when a severe haze occurred due to stable air conditions and long range transport of aerosol particles from northeastern regions of China. Air stagnation conditions and high relative humidity during the study period resulted in accumulation of primary aerosol particles from local emission sources and enhanced formation of secondary ionic and organic aerosols through aqueous-phase oxidations of $SO_2$, $NO_2$, $NH_3$,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leading to their dominant droplet mode size distributions at particle size of $1.0{\mu}m$. From the size distribution of $K^+$ in accumulation mode, it can be inferred that in addition to the secondary organic aerosol formations, accumulation mode WSOC and HULIS could be partly attributed to biomass burning emi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