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어갭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Acoustic-structural Coupling Analysis of the Passenger Cav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a Roof/Airgap/Trim (루프/에어갭/내장재 효과를 고려한 차실 음향-구조 연성해석)

  • 이장무;강상욱;김석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0a
    • /
    • pp.84-90
    • /
    • 1996
  • 일반적으로 차실 음향 공동과 차체 팬널이 연성이 되는 계에 대한 소음 연성해석을 위한 해석 모델은 팬널과 공동이 직접적으로 연성이 되는 것으로 모델링되었다. 그러나 루프와 같은 팬널이 차실과 연성이 되는 경우, 루프의 진동은 차실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루프 하단에 존재하는 갭과 내장판을 통하여 차실 소음에 영향을 미친다. 루프와 내장재 사이에 있는 갭의 매질은 주로 공기 도는 흡음재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음향 구조 연성계를 이론적으로 해석 가능한 1차원 모델로 근사화하여 갭의 간격, 갭의 매질 특성, 내장재의 물성치 등의 변화에 따른 공동 내의 음향 응답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위 결과를 에어갭을 고려한 3차원 차실 모델에 적용하고, 1/2 차실 모델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에어갭과 내장재의 효과를 검증한다.

  • PDF

A Survey on Acoustic Air-Gap Attacks (음향 Air-Gap 공격의 최신 동향과 실용성에 대한 연구)

  • Gun-Hee Cho;Yeonjoo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218-219
    • /
    • 2023
  • 본 논문은 에어갭 (물리적 분리된 네트워크 환경) 공격 벡터 중 음향 신호를 중점적으로 다루며, 음향 신호 공격 벡터에 대한 연구 동향과 실제 사용 가능성을 조사한다. 연구 결과, 에어갭 공격은 높은 수준의 스텔스와 무결성이 필요하며, 환경적 제약과 사회적 요소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실제 공격에는 다단계 프로세스와 통합된 모듈이 필요하며,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공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제한적인 공격이 실제로 가능하더라도, 공격 성공 시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본 논문은 에어갭 보안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공격을 무력화 할 수 있는 높은 보안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연구와 대응책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Forced Acoustic Response Analysis of an Acoustic Cavity with a Double Air-gap Resonator for Reducing Passenger Compartment Noises (차실 소음 저감을 위한 복층 에어갭 공명기가 설치된 음향 공동의 강제 음향 응답 해석)

  • Kang, Sang-Woo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3 no.6
    • /
    • pp.163-169
    • /
    • 2005
  • A theoretical formulation on the forced acoustic response of an enclosed cavity having a double air-gap resonator on one of boundary panels of the cavity is developed in the paper. The double gap resonator consists of two air-gaps and two partition sheets as in the author's previous papers. This paper reveals that the double gap resonator reduces the level of a target noise peak by splitting the peak as two small peaks, and that it is more effective when it is designed so that the upper gap thickness is larger than the lower gap thickness under the constraint that the entire gap thickness is fixed as a constant value. Finally, verification experiments show that the theoretical formulation and analysis results are valid by comparing theoretical results with experimental ones.

The Usability Test of Manufactured Rounded Extension in Proton Therapy (자체 제작한 양성자 치료용 Rounded Extension의 유용성 평가)

  • Park, Ji-Yeon;Jang, Yo-Jong;Kang, Dong-Yun;Yeom, Du-Seok;Choi, Gye-Suk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 /
    • v.24 no.2
    • /
    • pp.149-155
    • /
    • 2012
  • Purpose: Long Extension (LE) is used in proton therapy for lung and abdomen. However, it has limitations in surface area, produces collision in posterior oblique beam which creates limitations in various gantry angles in planning therapy and increases air gap (distance between patient and compensato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ability of manufactured Rounded Extension (RE) in comparison to LE to use the most suitable extension in prot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o compare structural features of LE and RE. This study investigated usable gantry angle for snout sizes 100, 180 and 250 and CT scanned Humanoid phantom. And it compared the air gap in posterior oblique direction. Results: The structural features of two extensions are as follow. Because of the existence of supporting bar, the width of LE was 40 cm and RE was 50 cm.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usable gantry angle for snout sizes 100, 180 and 250 are as follow. LE is ${\pm}36$ (average) at 180 degree and RE is ${\pm}70$ (average). And also, the air gap of RE is decreased by 11.3 cm in average at the same gantry angle. Conclusion: Manufactured RE for proton therapy has several benefits than LE. Its therapy surface area is wider and range of usable gantry angle is also wider. Also, the air gap at the posterior oblique beam has decreased. Therefore the usability of RE in proton therapy of lung and abdomen will be increased compared to LE. However, the air gap of proton therapy at the lateral direction may be increased, so there may be need for make up to decrease air gap at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future.

  • PDF

Nois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a Double Air-gap Resonator (이중 에어갭 공명기의 소음 저감 특성)

  • 강상욱;이장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11a
    • /
    • pp.202-207
    • /
    • 2003
  • In the paper, the nois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a double-gap resonator, which is installed inside an enclosed cavity and is composed of two air-gaps and two partition sheets, are introduced by theoretical analyses and experimets. Analysis for a simple, theoretical model reveals that the double-gap resonator is more effective than the single-gap resonator that consists of an air-gap and a partition sheet, in that the former requires a smaller space than the latter. Furthermore, this theoretical conclusion is verified by comparison experiments using an actually manufactured enclosed cavity, of which the boundary surfaces are made of thick, stiff panels that can be assumed as rigid walls.

  • PDF

Nois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a High-performance Air-gap Resonator (고효율 에어갭 공명기의 소음 저감 특성)

  • Kang, Sang-Wook;Lee, Jang-Moo;Lim, Won-Si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8 no.2
    • /
    • pp.118-124
    • /
    • 2004
  •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demonstrate the nois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an air-gap resonator, which is composed of an air gap and a partition sheet. By means of installing the air-gap resonator in an enclosed cavity, acoustic resonanc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using a small space. In particular, it is revealed from a simple, one-dimensional model that the air-gap resonator serves as the Helmholtz resonator that generally absorbs acoustic resonance energy at its resonance frequency. As a result, the air-8ap resonator also has a resonance frequency, which can be predicted with a simple frequency equation derived in the paper. Finally, verification experiments show that the air-gap resonator can be effectively designed by predicting a reasonable gap thickness using the simple frequency-equation.

Magnetic saturation property of magnetic core materials as a function of permanent magnet (영구자석에 따른 자심 재료의 자기 포화 특성 변화)

  • Kim, Hyun-Sik;Huh, Jeong-Seob;An, Yong-Woon;Kim, Jong-Ryung;Oh, Young-Woo;Park, Hy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5b
    • /
    • pp.165-168
    • /
    • 2004
  • Bias magnet에 의한 평면자심재료의 전자기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E형 코어 사이에서 영구자석의 유무 및 위치 등의 gap 형성 조건에 따른 측성변화를 관찰하였다. 영구자석과 air Gap이 평면코어에 삽입 될 경우 높은 포화 전류값을 가지는데 이는 자기저항이 자성체에 비해서 상당히 높은 에어 갭의 존재로 인해 외부 인가 전류가 증가되어도 자성체에서 생성되는 자속이 대부분 에어갭 내에서 소비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Bias magnet 역할을 하는 영구자석을 자심재료에 가하게 되면 Bias에 의한 역자장과 자성체에서 발생하는 자장이 서로 상쇄되어 포화 전류는 증가하게 된다. 또한, Bias magnet로 영구자석을 삽입하연 공진주파수는 고주파 대역으로 이동하므로 대전류 고주파 특성이 요구되는 응용장치에 적용가능하다.

  • PDF

Effect of Non-ionic Additive on Morphology and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Polysulfone Hollow Fiber Membrane (비이온계 첨가제에 의한 폴리술폰계 중공사 막의 모폴로지 조절과 기체투과 특성)

  • Lee, Hye Jin;Koh, Mi Jin;Kim, Duek Ju;Nam, Sang Yong
    • Membrane Journal
    • /
    • v.22 no.3
    • /
    • pp.224-233
    • /
    • 2012
  • To improve permeation performance of gas separation membrane, polysulfone hollow fiber membrane was prepared by wet-dry phase inversion method using Triton X-100 as non-ionic additive. And variation of gas permeation behavior by additive was investigated. Various spinning conditions such as air gap, concentration of polymer, dope tank temperature were controlled and these effects were studied. The morphology and gas permeation property of hollow fiber membranes were investiga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bubble flow meter respectively. We confirmed that the membranes added with Triton X-100 had a smooth external skin at various air gap length conditions. The macrovoids of these hollow fiber membranes were more developed with increase of air-gap from 4 to 90 cm and that induced higher permeance. The permeance of polysulfone membranes has the higher value at comparatively lower concentration polymer (30 wt% polysulfone) and lower concentration of additive (15 wt% Triton X-100). When temperature in dope tank was controlled, the membranes prepared at $100^{\circ}C$ showed low permeance because of volatilization of additive and solvent.

Manufacture of Low-Speed Type Inductive Coupler Using Nano-Crystalline Alloy (나노결정 합금재료를 이용한 저속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제조)

  • Kim, Hyun-Sik;Kim, Jong-Ryung;Lee, Jun-Hui;Lee, Hae-Yeon;Huh, Jung-Sub;Oh, Young-Woo;Byun, Woo-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228-228
    • /
    • 2007
  • 전력선 통신용 비접촉식 커플러는 고속형(2~30 MHz)과 저속형(100~450KHz)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고속형은 현재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모델이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저속형은 시작품수준으로 제조되어 있으나 신호전송 특성의 향상절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전력선 통신용 커플러는 전력선 또는 모뎀으로 통신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전력선 통신을 위한 핵심부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00~450 KHz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저속형 비접촉식 커플러를 제조하기 위해, 권선조건, 대전류형 자심재료의 모의 해석, 노이즈 필터조건, 임피던스 매칭, 하우징방법 등의 각 공정 변수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자심재료의 모의해석에서 자심재료의 높이와 전력선 도체 단면적 변화는 자심재료의 전류포화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유효길이와 에어-갭 크기가 증가할수록 전류포화특성은 향상되는데, 자심재료의 내경이 64 mm일 때 자심재료의 폭((외경-내경)/2)은 15 mm 이상이어야 하고, 에어-갭은 약 $600\;{\mu}m$ 정도의 에어-갭을 형성시켜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속용 비접촉식 커플러 제조조건 실험에서 내경${\times}$외경${\times}$높이가 $64{\times}94{\times}140mm$인 자심재료를 이용하여 권선 수와 에어-갭을 각각 3회, $400{\sim}600\;{\mu}m$ 삽입했을 때,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저역 통과 필터를 출력부에 내장하여 통신신호 이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300 A급 지중선용 저속형 비접촉식 커플러는 내경${\times}$외경${\times}$높이가 $58{\times}1144{\times}158mm$이고, 100~450 KHz 통신대역에서 약$7{\pm}2dB$의 삽입손실을 나타내었다.

  • PDF

Bonding Wafer Inspection Using Laser Beam Transmission Modeling (레이저빔 투과 모델링을 이용한 본딩 웨이퍼 검사)

  • Lim, Young-Hwan;Yang, Si-Eun;Jang, Dong-Young;Hong, Suk-Ki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8.06a
    • /
    • pp.555-55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빔 투과를 이용한 본딩 웨이퍼 검사 방법을 제안하고 검사 장치를 설계 구현하였다. 1064nm 파장에서의 정상웨이퍼를 일정한 비율로 투과 하였다. 본딩 불량으로 인한 웨이퍼의 기공은 두께에 따라 투과율이 현저하게 변화하여 기공 부분을 검출하였다. 이러한 기공은 두께의 변화가 있으며 광량의 변화하는 부분이 에어갭으로 인식 카메라로 쉽게 구분이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