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스트라디올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6초

Toxicogenomic Analysis of Bacteria and Medaka Fish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Toxic Chemicals

  • 구만복
    • 한국생물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2006년도 Principles and Practice of Microarray for Biomedical Researchers
    • /
    • pp.116-123
    • /
    • 2006
  • 생물체의 cDNA를 유리기판위에 고밀도로 첨착 시킨 유전자 칩과 정량적인 방법으로 개별 유전자 발현을 진단 가능한 Real- time PCR (실시간 고분자중합연쇄반응 기술) 기법은 첨단 의학분야와 신약개발 및 독성유전체 연구분야에 활발히 도입되고 있는 기술이다. 본 발표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유전자칩 에서 얻어진 유전자 발현패턴분석에 기반한 바이오마커 선정 및 real time PCR에 의한 확증 관련 기술 과 유전자칩에서 얻어지는 수많은 데이터를 재정렬 및 다양한 분석기법과 display기술을 활용하여 광범위한 화학물질에 대한 독성효과 분석을 가능하게 해주며, 특정 독성물질에 대한 관련유전자 그룹 발견 및 독성영향에 따른 분류방법에 관한 결과를 발표할 것이다. 또한 바이오마커 활용의 하나로 박테리아세포 기반 바이오센서 제작및 세포칩 개발등에 대한 결과도 추가될 것이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non-model organism(유전체정보가 확보되지 않은 생물체)인 송사리를 이용하여 새로운 2K 유전자칩을 개발하고, 여기서 각종 화학물질에 대하여 얻어진 수많은 유전자칩 분석 데이타를 활용하여 각각의 화학물질이 보여주는 독성효과를 매우 효과적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display기술을 개발, 적용함으로써 유전자칩 발현에 기반한 화학물질 독성 screening 및 specificity discrimination을 가능케 하는 예가 발표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송사리 유전자칩은 간조직의 RNA를 직접 cDNA화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전체 송사리의 유전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아 비용 및 효율에서 전체 송사리의 유전정보를 얻는 비용과 노력을 취하지 않고 간에서 발생하는 독성학적 영향 및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정밀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얻어 낸다. 현재 2000여개의 cDNA유전자중 50%이상의 유전자가 17베타에스트라디올, 페놀, 노닐페놀, 비스페놀, 감마레이조사, 잔류약품중 이보프란, 다이클로펜악, 농약중의 파라???R, 돌연변이 유발물질 중의 이티비알, 금속류중의 카드뮴을 통해 발현양상과 특정 캐미칼별 발현 특이성이 조사되었고, 이들 유전자는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염기서열이 분석되었으며, 미국 NCBI의 유전자 은행과의 비교를 통해 일부유전자는 새로운 유전자로 밝혀지고 있다. 또한 이 발표에서는 소염진통제계열 의약품인 dichlofenac 이 송사리의 각종 조직에 미치는 독성영향을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대표적 스트레스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예가 발표될 것이다.

  • PDF

포화컬럼실험에서 산화공정을 적용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제거 및 은나노물질의 거동 연구 (Mobility of silver nanoparticles (AgNPs) and oxidative degradation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by saturated column experiments)

  • 김예진;허지용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99-505
    • /
    • 2018
  • We applied column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te and transport of silver nanoparticles(AgNPs) in fully saturated conditions of porous media. These colum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mphasize oxidation method with $H_2O_2$ concentration and acidic conditions. The mobility of AgNPs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ionic strength that the surface charge of AgNPs(zeta potential) was neutralized with the presence of positive ions of $Na^+$. Additionally, it was also affected due to that not only more increased aggregated size of AgNPs and surface charge of quartz sand. The decreased breakthrough curves(BTCs) of bisphenol-A(BPA) and $17{\alpha}$-ethynylestradiol(EE2) were removed approximately 35.3 and 40%. This is due to that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EDCs) were removed with the release of $OH{\cdot}$ radicals by the fenton-like mechanisms from acidic and fenton-like reagent presenting. This results considered that higher input AgNPs with acidic conditions is proved to realistic in-situ oxidation method. Overall,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a set of column experiments employed with adjusting pH and $H_2O_2$ concentration in proved to be effective method having potential ability of in-situ degradation for removing organic contaminants such as BPA and EE2.

바위수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및 에스트라디올 활성 평가 (Inhibitory Effect of Osteoclastogenesis and Estradiol Activity of Myelophycus simplex Extract)

  • 하현주;임형진;김민경;박선경;노문철;정선희;이승재;이상훈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80
    • /
    • 2020
  • In the present study, the estrogenic activity and anti-osteoclastogenic activity of the Myelophycus simplex extract were evaluated using T47D-Kbluc cells and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Ms).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estrogenic activity in the T47D-Kbluc cell line, the Myelophycus simplex extract showed increased estrogenic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ssociation with its concentration. To confirm the regulatory effect of the Myelophycus simplex extract on the estrogen-responsive gene, the Myelophycus simplex extract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estradiol: the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 1 (ESR1)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 2 (ESR2) was increased. Furthermore, the Myelophycus simplex extract exhibited an inhibitory effe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conclusion, these Myelophycus simplex extracts might be regarded as candidates for further studies 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products or medicine to prevent or avoid postmenopausal symptoms for women.

축산물 중 잔류 성장보조제 분석을 위한 액체크로마토그라피-질량분석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Analytic Methods for Veterinary Drug Residue in Animal Products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이수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07-11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동물식품 내 잔류하는 동물의약품 중 성장보조제인 에스트라디올(Estradiol-17��),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에 대한 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물질은 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분리하였고, electrospray ionization(ESI) 과정을 거쳐 질량분석기에 주입되어 multiple reaction monitoring(MRM) 모드로 검출하였다. 개발된 분석법은 CODEX CAC/GL 71-2009에 근거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고, 분석의 실효성 허용범위를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국내 유통되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에 대해 확립된 분석법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실제시료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분석법이 국내 유통 축산물에서 확인되고 있는 성장보조제 일부에 대해 신속하고 신뢰성 높은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를 통해 확립된 분석법을 기반으로 분석대상 성장보조제의 범위를 확장하고, 이를 모두 포함시켜 동시분석법을 확립한다면 활용성이 높은 분석법이 완성될 것으로 확신한다.

에스트라디올 유도체의 합성, 표지 및 체내동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Labeling and Its Biodistribution of Estradiol Derivatives)

  • 김상욱;양승대;서용섭;전권수;안순혁;임수정;최창운;임상무;김영순;유국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03-409
    • /
    • 2000
  • 목적: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불균질 분포와 시간 변화에 따른 수용체 상태의 변화 때문에 조직검사를 통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생화학적 측정은 유방암을 진단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개선하고 좀더 나은 유방암의 진단을 위하여 E-$[^{123}I]$IVE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의 영상을 얻기에 적합한 방사성 추적자를 개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여러 가지 에스트라디올 유도체 중에서 $17{\alpha}$-ethynyl estradiol로부터 $17{\alpha}-[^{123}I]$iodovinyl estradiol ($[^{123}I]$IVE)을 합성하였다. E-$[^{123}I]$IVE는 peracetic acid와 $[^{123}I]$NaI를 이용하여 합성하였고, Z-$[^{123}I]$IVE는 chloramine-T/HCl과 $[^{123}I]$NaI로 합성하였다. 표지수율은 TLC-scanner를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방사 화학적 순도는 HPLC로 측정하였다. E-$[^{123}I]$IVE의 체내 동태 연구는 immature female Fisher rate를 사용해 60분, 120분 그리고 300분에 측정하였다. 결과: E-$[^{123}I]$IVE와 Z-$[^{123}I]$IVE의 표지수율은 각각 92%와 94%이었고, 정제 후 방사 화학적 순도는 98% 이상이었다. E-$[^{123}I]$IVE의 최고섭취는 uterus에서 주사 120분 후에 관찰되었다(3.11%ID/g).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E-$[^{123}I]$IVE는 유방암환자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존재를 평가하는 진단시약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LED 조명의 색이 평사 사육 갈색 산란계의 산란성적, 계란 품질 및 혈액과 난관 내 번식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 Light Colors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Reproductive Hormone Concentrations of Plasma and Oviduct in Brown Laying Hens Housed on Floor)

  • 김희나;고한서;장현수;강유현;서지수;강환구;오상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45-252
    • /
    • 2018
  • 본 연구는 LED 조명의 색(파장)이 평사에서 사육하는 갈색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의 품질, 난황 콜레스테롤, 혈액 및 난관 $17{\beta}$-에스트라디올과 프로게스테론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각각 적색, 청색, 녹색, 백색의 LED 조명색으로 총 4처리를 두었고, 47주령 갈색 산란계 144수를 처리당 4반복(칸), 반복당 9수로 배치한 후 6주간 시험을 진행하였다. 파장이 긴 적색 조명 그룹의 산란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 그룹의 혈중 $17{\beta}$-에스트라디올의 분비 농도도 가장 높았다. 반면 파장이 짧은 녹색 조명 그룹의 산란율이 가장 낮았으나, 난중은 가장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ED 조명의 색은 난각 색, 난각 강도, 호우 유닛(HU)과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광원으로서 LED 조명의 경우 조명의 색(파장)이 산란 및 번식대사에 비슷하게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미 충분한 성 성숙이 완료되고, 산란율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주령에도 광 자극이 산란 및 번식 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산란성적, 계란 품질, 번식 호르몬 분비를 고려할 때, 평사에서 사육하는 47주령의 갈색 산란계에 적색 LED 조명이 가장 유리하다는 점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난소적출로 유발된 랫트 갱년기 장애에 대한 가감귀비온담탕의 생리활성 효과 평가 (Anti-climacterium Effects of Gagamguibiondam-tang in Ovariectomized Rats)

  • 한상겸;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8-44
    • /
    • 2017
  • 목 적: 이 연구에서는 한의학에서 다양한 부인과 질환에 사용되어온 전통 복합 처방인 귀비탕과 가미온담탕을 합방, 가감한 가감귀비온담탕 열수 추출물의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를 심혈관 장애, 비만, 고지혈증, 골다공증, 장기 지방축적 및 신경정신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사람의 갱년기 장애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난소적출(Ovariectomized, OVX) 랫트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방 법: 난소적출수술 28일 후부터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수율 : 22.03%)을 각각 100, 50 및 25 mg/ml의 농도로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체중 kg 당 5 ml의 용량(500, 250 및 125 mg/kg)으로 매일 1회씩 84일(12주 : 3개월)간 경구 투여한 다음, 항비만효과, 항자궁위축효과 및 골다공증 억제 효과의 3가지 생리활성 효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항비만 효과 및 항자궁위축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체중 및 증체량, 혈청중 에스트라디올 함량, 복부 축적 지방 및 자궁의 중량의 변화와 복부 축적 지방의 두께 및 평균 지방세포 직경, 자궁 전체, 상피 및 점막의 두께와 점막내 자궁샘이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를 각각 평가하였다. 또한 골다공증 개선효과, 즉 골 보호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퇴골, 경골 및 요추골의 습, 건조 및 탄화 중량, 골밀도, 골강도, 혈중 osteocalcin 및 bone specific alkaline phosphatase(bALP) 함량, 골량 및 구조와 골흡수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군(5개군; 군당 8마리의 랫트 사용) 거짓수술 대조군(거짓수술 후, 증류수 투여 대조군) 난소적출 대조군(난소적출 수술 후, 증류수 투여 대조군) GGOT500(난소적출 수술 후,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500 mg/kg 투여 고용량 실험군) GGOT250(난소적출 수술 후,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250 mg/kg 투여 중간용량 실험군) GGOT125(난소적출 수술 후,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125 mg/kg 투여 저용량 실험군) 결 과: 난소적출 대조군에서는 거짓수술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체중 및 증체량, 사료 및 물 섭취량, 축적 복부 지방 중량, 혈청 중 osteocalcin 함량의 증가가 자궁, 대퇴골, 경골 및 L5 중량과 혈중 bALP 및 에스트라디올 함량의 감소와 함께 인정되었으며, 현저한 복벽 축적 지방 두께의 증가 및 자궁의 위축, 대퇴골, 경골 및 L4의 골량 및 구조의 감소 소견이 골 흡수 지표(Ocn 및 OS/BS)의 현저한 증가와 함께 조직병리학적 및 조직형태계측학적으로 인정되었다. 즉, 전형적인 에스트로겐 결핍성 갱년기 장애가 난소적출에 의해 유발되었다. 한편 이러한 난소적출에 의한 에스트로겐 결핍성 폐경기 관련 갱년기 장애 소견이,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500, 250 및 125 mg/kg의 84일에 걸친 연속 경구 투여에 의해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가감귀비온담탕 500, 250 및 125 mg/kg의 경구투여는 난소적출 랫트에서 에스트로겐 결핍성 폐경기 관련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를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감귀비온담탕은 효과적인 갱년기 장애 개선제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에스트로겐 결핍성 비만 및 골다공증의 개선에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가감귀비온담탕은 총 18종의 약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수많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이후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의 검색과 더불어 다양한 방면으로 기전적인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멸종위기 종인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동면 여부에 따른 기초 번식생리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Changes in the Basic Reproductive Physiology of the Endangered Reeves' Turtle (Mauremys reevesii) Based on Hibernation or Nonhibernation)

  • 정유정;김일훈;구교성;송재영;강신근;박대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77-985
    • /
    • 2016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II급 종인 남생이의 복원을 위하여 개체증식 프로그램들을 개발해왔지만, 남생이의 번식생리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0월 사이에 동면을 한 개체와 동면을 하지 않은 개체를 이용하여 성호르몬, 여포와 알의 수와 크기, 암 수간의 행동상호작용의 계절적 변화를 연구하였다. 비록 동면 여부에 따라 다소의 편차는 있었지만, 암컷의 혈청 에스트라디올 농도는 7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10월에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수컷의 테스토스테론의 농도는 8-9월에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3월에 가장 낮았다. 동면을 한 암컷들은 5월초에서 7월 중순 사이에 완전히 발달한 알을 가지고 있었으며, 산란은 6월 초순부터 7월 하순 사이에 이루어졌다. 반면, 동면을 하지 않은 암컷들은 이른 4월부터 이른 6월 사이와 8월 중순에서 11월 하순 사이에 알을 가지고 있었으며, 산란은 6월초, 10월 중순, 2월 초에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동면이 여포와 알의 정상적인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행동연구에서 암 수간의 구애행동을 포함하는 행동상호작용은 8월 하순부터 증가되어 10-11월에 최대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남생이의 짝짓기 기간이 성호르몬의 증가와 직접 연계되어 있지만, 여포와 알의 발달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멸종위기종인 남생이의 성공적인 번식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란산 흑석류 농축액과 그 제품의 성분 및 함유된 Phyto 에스트로겐류에 관한 연구 (Proximate Compositions and Selected Phytoestrogens of Iranian Black Pomegranate Extract and Its Products)

  • 최원균;정교순;조규성;황명오;유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9-125
    • /
    • 2002
  • 천연 호르몬 보충 제제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이란산 흑석류 과즙 농축액과 이를 이용한 제품의 화학성분들을 분석하였다. 석류 농축액의 일반성분은 수분 39.3%, 조지방 0.4%, 조단백질 0.9%, 조회분 1.4%, 그리고 탄수화물은 42.0%이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글루탐산이 1310.0ppm, 아스파르트산이 896.2ppm, 아르기닌이 877.7ppm, 페닐알라닌이 57.5ppm순으로 무기 성분들은 철분 6640.0ppm, 염소 3464.0ppm, 칼륨 2550.8ppm, 인 150.0ppm, 칼슘 80.0ppm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은 5가지의 수용성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비타민 C(20mg/100g)를 제외한 나머지 비타민들이 아주 적은 양이 있었다.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8.3%)와 stearic acid(69.4%)로 전체 지방산의 약 60~80%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6종의 Phyto 및 에스트로겐류가 들어 있었으며 각각 daidzein 23.72ppm, quercetin 9,75ppm, catechin 1.48ppm, genistein 0.29ppm, 2,3-di-MeO-estradiol이 0.04ppm, 그리고 17$\beta$-에스트라디올이 0.15ppm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석류 농축액으로 제조한 제품 포에버 120과 칡과 대두 isoflavon 농축분말과 비교하였다.

당귀(Angelica gigas N.)와 토사자(Cuscuta chinensis Lam.)를 포함하는 생약 복합 추출물의 폐경 동물모델에서의 갱년기 증상 완화 효과 (Effects of Herbal Mixture Extracts Containing Angelica gigas Nakai and Cuscuta chinensis Lam. on Menopausal Symptoms in Ovariectomized Rats)

  • 김수지;장병현;장서혁;강희;박기문;안덕균;김수현;김선미;서대방;신송석;박계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083-1089
    • /
    • 2016
  • 대부분의 여성은 폐경 이후 신체적 변화를 겪게 된다. 폐경의 증상으로는 홍조, 발한, 몸무게의 증가와 질 건조증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폐경기 증상 완화에 효능이 있는 열 가지 종류의 생약을 조합하여 만든 혼합 추출물이 동물의 폐경 모델인 난소절제(ovariectomized, OVX) 레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구투여를 통해 각각 500 mg/kg/d, 1,000 mg/kg/d 농도의 열수 추출물(자음미단)을 8주간 섭취시켰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에스트라디올($50{\mu}g/mL$)을 사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자음미단이 난소절제 레트에서 몸무게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간에서의 지방 함량 증가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자음미단의 섭취는 페경 후 증가하는 혈액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치도 감소시켰다. 또한, 자음미단은 질의 무게를 증가시켰으며, 특히 질 내벽의 상피세포의 두께에 영향을 주었다. 자음미단의 1,000 mg/kg/d의 농도에서는 에스트로디올과 유사한 정도의 내벽 두께를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자음미단이 폐경기 여성의 증상인 비만, 대사질환 및 질 건조증의 증상을 완화해줄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