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ynthesis, Labeling and Its Biodistribution of Estradiol Derivatives

에스트라디올 유도체의 합성, 표지 및 체내동태에 관한 연구

  • 김상욱 (원자력병원 싸이클로트론 응용연구실) ;
  • 양승대 (원자력병원 싸이클로트론 응용연구실) ;
  • 서용섭 (원자력병원 싸이클로트론 응용연구실) ;
  • 전권수 (원자력병원 싸이클로트론 응용연구실) ;
  • 안순혁 (원자력병원 싸이클로트론 응용연구실) ;
  • 임수정 (원자력병원 싸이클로트론 응용연구실) ;
  • 최창운 (원자력병원 싸이클로트론 응용연구실) ;
  • 임상무 (원자력병원 싸이클로트론 응용연구실) ;
  • 김영순 (동국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 유국현 (동국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Published : 2000.10.30

Abstract

Objectives: Due to the heterogeneous receptor distribution and changes of receptor status over time, the biochemical measurement of estrogen receptor status of biopsy specimens is not sufficient to diagnose breast cancer. As a result, I-123 labeled estradiols have been applied for the diagn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itable radioligand for imaging estrogen receptor-positive human breast tumors. Methods: Among the various estradiol derivatives, $17{\alpha}-[^{123}I]$iodovinyl estradiol ($[^{123}I]$IVE) has been prepared from $17{\alpha}$-ethynyl estradiol. Labeling of $E-17{\alpha}-[^{123}I]$iodovinyl estradiol (E-$[^{123}I]$IVE) was carried out using peracetic acid with $[^{123}I]NaI\;and\;Z-[^{123}I]IVE$ labelling was archived using chloamine-T/HCl solution with $[^{123}I]$NaI. Labeling yield was determined by silica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and radiochemical purity was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biodistribution of E-$[^{123}I]$IVE was measured in immature female rats at 60 min, 120 min and 300 min after injection. Results: The labeling yield of two isomers was 92% and 94% ($E-[^{123}I]IVE\;and\;Z-[^{123}I]IVE$, respectively). The radiochemical purity was more than 98% after purification. The highest uptake was observed at 120 min in uterus (3.11% ID/g for E-$[^{123}I]$IV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E-$[^{123}I]$IVE as an imaging agent for the evaluation of the evaluation of the presence of estrogen receptor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목적: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불균질 분포와 시간 변화에 따른 수용체 상태의 변화 때문에 조직검사를 통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생화학적 측정은 유방암을 진단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개선하고 좀더 나은 유방암의 진단을 위하여 E-$[^{123}I]$IVE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의 영상을 얻기에 적합한 방사성 추적자를 개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여러 가지 에스트라디올 유도체 중에서 $17{\alpha}$-ethynyl estradiol로부터 $17{\alpha}-[^{123}I]$iodovinyl estradiol ($[^{123}I]$IVE)을 합성하였다. E-$[^{123}I]$IVE는 peracetic acid와 $[^{123}I]$NaI를 이용하여 합성하였고, Z-$[^{123}I]$IVE는 chloramine-T/HCl과 $[^{123}I]$NaI로 합성하였다. 표지수율은 TLC-scanner를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방사 화학적 순도는 HPLC로 측정하였다. E-$[^{123}I]$IVE의 체내 동태 연구는 immature female Fisher rate를 사용해 60분, 120분 그리고 300분에 측정하였다. 결과: E-$[^{123}I]$IVE와 Z-$[^{123}I]$IVE의 표지수율은 각각 92%와 94%이었고, 정제 후 방사 화학적 순도는 98% 이상이었다. E-$[^{123}I]$IVE의 최고섭취는 uterus에서 주사 120분 후에 관찰되었다(3.11%ID/g).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E-$[^{123}I]$IVE는 유방암환자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존재를 평가하는 진단시약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