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저장 장치

Search Result 74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초전도 에너지저장장치(SMES)의 해외 기술개발 동향

  • 나완수;류강식;홍계원
    • 전기의세계
    • /
    • v.45 no.1
    • /
    • pp.20-27
    • /
    • 1996
  • 본 고에서는 최근 초전도에너지저장장치의 연구개발의 방향이 상기와 같이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금까지 해외에서의 연구개발에 대하여 정리하여 보고 또 최근의 연구개발동향에 대하여 미국의 경우를 위주로 하여 알아보므로서 우리나라에서의 SMES 연구개발 방향설정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200kVA Hybrid UPS (200kVA급 하이브리드형 무정전전원장치 개발)

  • Kim, Ji-Su;Lim, Seung-Beom;Lee, Won-Il;Kim, Ki-Beom;Kim, Eun-D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85-86
    • /
    • 2014
  • 본 논문은 에너지저장 기능을 갖는 200kVA급 무정전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무정전전원장치(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기능을 수행하다 첨두부하시 또는 전력 부족시 에너지 저장 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제안된 시스템의 유효성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한다.

  • PDF

A Study on Output Variation of Energy Storage System connected to Distribution System under Closed Loop Operation (배전계통의 루프 운전 시 연계된 에너지저장장치의 출력변동에 관한 연구)

  • Oh, Joon-Seok;Jeong, Ui-Yong;Ma, Seong-Duc;Park, Jong-Ho;Park, Min-Su;Kim, Jae-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91-192
    • /
    • 2015
  • 국내 배전계통은 일반적으로 수지상 계통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배전선로 내 과부하 해소 및 배전계통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시 개방점과 구분 개폐기를 통해 루프계통으로 운전하는 경우가 있다. 이 과정은 신속한 고장 구간 분리 및 무정전 절체를 위해 루프계통 운전 시 흐르는 루프조류 등을 정확히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특히 배전계통 내에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등의 분산전원이 다수 도입된 이후로, 배전계통이 기존의 단방향에서 양방향 전력공급의 특징을 갖게 됨으로 인해 기존의 루프계통 운전에 대한 판단에 추가적인 과정을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배전계통 내 에너지저장장치가 연계된 경우, 루프계통 운전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의 출력변동에 대한 판단을 PSCAD/EMTDC로 모델링하여 수행한다.

  • PDF

DC line voltage simulator for charging/discharging control of regenerative energy storage system in DC railway (직류지하철 회생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제어를 위한 가선전압 모의장치)

  • Cho, Han-Jin;Kim, Jong-Yoon;Cho, Kee-Hyun;Yu, Dong-Hwan;Won, Chung-Yuen;Lee, B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7.11a
    • /
    • pp.209-21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회생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충/방전 제어를 위한 가선전압 모의 장치를 제안한다. 제안된 시뮬레이터는 실측된 가선전압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실측 가선전압과 동일한 전압패턴으로 모사한다. 이러한 전압패턴은 회생에너지가 포함된 가선전압이며 이를 토대로 에너지 저장시스템에 연계시켜 충/방전 제어를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안된 시뮬레이터는 AC/DC 컨버터 타입으로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Novel High Frequency Linked Photovoltaic Powe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Battery Storages (에너지 저장장치를 갖는 새로운 고주파 링크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 Yoo, Cheol-Hee;Ji, Sang-Keun;Park, Jung-Pil;Jung, Nam-Sung;Roh, Chung-Wook;Hong, Sung-Soo;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188-189
    • /
    • 2010
  • 기존의 에너지 저장장치를 갖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모듈의 높은 개방전압으로 인하여 별도의 양방향 컨버터를 이용하여 배터리에 에너지를 충방전 해왔다. 이러한 시스템은 구조상 다수의 반도체 소자의 사용으로 인한 제작단가 상승 및 전기적 절연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에너지 저장장치를 갖는 고주파 링크 방식의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안하며, 제안된 시스템의 이론적 분석을 수행하고, PSIM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한 모의 실험을 통해 그 우수성을 검증한다.

  • PDF

Implementation and Experiment of 3kW Supercapacitor Energy Storage System for Smoothing a Fluctuating Wind Power (풍력발전의 출력변동 완화를 위한 3kW 수퍼커패시터 에너지 저장장치 구현 및 실험)

  • Lee, Wujong;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497-49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풍력발전의 불규칙한 출력을 안정화하기 위해 수퍼커패시터의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계통으로 유입되는 전력을 완화시키는 제어에 대하여 서술한다. 풍력발전은 친환경 에너지원이지만, 바람에 의해 출력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단점이 있다. 5kW 소규모 풍력발전 시뮬레이터와 3kW 수퍼커패시터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단주기의 불규칙한 출력을 완화시켜 계통으로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한다. 풍력발전 시뮬레이터의 불규칙한 출력을 100%에서 30%로 감소시켰으며, 제안한 불규칙한 출력 완화 방법의 타당성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ESS-based Clean Energy, Smart Home IoT Platform (ESS기반 클린에너지, 스마트홈 IoT 플랫폼 연구)

  • Kim, Hee-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3 no.1
    • /
    • pp.147-152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mand management and energy saving plan of the apartment house based on the ESS (: Energy Storage System), which is the main equipment in the field of electric power energy efficiency, and suggests standardization for various technical factors and operation. It contributes to the spread of ESS industry. In addition, to create ESS market for apartment houses and smart homes, housing IoT technology is used to integrate apartment houses with smart home-based ESS and it is possible to achieve use efficiency and economic feasibility of power users, We will study a business model that can reconsider the acceptability of power users.

A Study on the dynamic voltage restorer using hybrid capacitor (하이브리드 커패시터를 적용한 순간전압강하 보상장치에 관한 연구)

  • Seo, Ansik;Maeng, Jucheol;Yoon, Jungra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11a
    • /
    • pp.75-76
    • /
    • 2013
  • 최근 산업 및 경제의 급속한 발전으로 컴퓨터를 비롯한 전기 및 전자 장비, 통신기기, 반도체 장비 등 전기적 외란에 민감한 부하 설비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전력 품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 이유는 정밀 부하 장비들이 전압의 순간적 변동에 대하여 민감하여 이 문제로 인하여 파생되는 경제적 피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순간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로 전기 이중 층 커패시터 (EDLC: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를 에너지 저장장치로 사용한 순간전압강하 보상장치 (DVR: Dynamic Voltage Restorer) 시스템이 개발 되어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순간전압강하 보상장치에 사용되는 DVR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에너지 저장장치인 EDLC 보다 동일 사이즈 대비 에너지 밀도가 높은 하이브리드 커패시터를 적용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500kVA 3-Level Hybrid UPS (500kVA급 3-Level 하이브리드 무정전전원장치 개발)

  • Byeon, Yong-Seop;Kim, Ji-Su;Lim, Seung-Beom;Cho,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197-198
    • /
    • 2015
  • 본 논문은 에너지저장(ESS : Energy Storage System) 기능을 갖는 500kVA급 3-Level 하이브리드 무정전전원장치(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 무정전 전원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다 전력 부족시 또는 첨두부하시 에너지저장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내용이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시스템의 우수성을 검증한다.

  • PDF

Hybrid Type High-Voltage Power Supply for Fluoroscopy X-Ray System (X선 투시촬영장치를 위한 하이브리드 고전압 전원장치)

  • Seo, Young-Min;Hong, Soon-Ch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11a
    • /
    • pp.77-78
    • /
    • 2013
  • 진단용 X선 투시촬영장치는 고전압발생장치를 필요로 하며, 이에 대용량 전원설비를 갖춘 X선 고전압 발생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X선 투시촬영장치는 단시간 고출력의 촬영과 장시간 저출력의 투시가 가능해야 하므로 고용량의 상용 AC 전원을 사용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EDLC를 에너지 저장장치로 사용하여 저용량의 AC전원만으로 투시 및 촬영이 가능한 X선 투시촬영장치용 고전압발생장치를 제안한다. 에너지 저장장치를 기반으로 한 32[kW]급의 X선 투시촬영장치용 고전압발생장치를 구성하고 시뮬레이션 통하여 제안한 고전압발생장치의 효용성을 입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