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수지

Search Result 526,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Spatial Estimation of Satellite-based Evapotranspiration by Energy Balance (에너지 수지에 의한 인공위성 데이터 기반 공간 증발산량 산정)

  • Hwang, Kyo-Taek;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85-1590
    • /
    • 2010
  • 토양으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과 식물에서 일어나는 증산을 모두 포함하는 증발산은 일반적으로 연구된 물리식과 경험식 등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lysimeter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 특성에 맞게 검증하는 방법을쓰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어느 한 점에만 국한되어 적용되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이 있으며 외부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 증발산의 특성상 이를 일반화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해 원격탐사 (Remote Sensing)를 이용하여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증발산량을 공간적으로 산정하고자 한다. 증발산량은 크게 물수지, 에너지수지 방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수지 방법을 기반으로 한 원격 이미지 처리 모형을 이용하여 에너지 수지식의 각 항을 이루는 순복사 에너지, 토양열 플럭스, 현열 플럭스와 함께 증발산을 나타내는 잠열 플럭스를 통합적으로 처리하여 산정, 이를 지도로 나타내고 기본적인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작성된 지도는 유역 내 토지 피복, 식생 분포, 고도 등 외부 인자들의 변화에 따라 증발산량이 공간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볼 때 유용하게 쓰일 것이며, 다른 증발산 지도와의 비교를 통해 연구지역에서의 시간 변동성을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organic waste-to-energy incentive system(II): material and energy balance of biogasification (유기성폐자원에너지 인센티브제도 도입방안 연구(II): 바이오가스화 물질·에너지수지)

  • Moon, Hee-Sung;Kwon, Jun-Hwa;Lee, Won-Seok;Lee, Dong-Ji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9 no.4
    • /
    • pp.77-86
    • /
    • 2021
  • In this study, to use as basic data for the organic waste resource energy incentive system, the energy efficiency is evaluated through the mass balance and energy balance calculation results of the anaerobic digester where food waste, food waste leachate and various organic wastes are treated. As a result of the mass balance analysis for 11 biogasification facilities, it was confirmed that 21.1% of process water and 25.7% of tap water were input in large amounts, excluding organic waste. Accordingly, it accounted for 87.6% of the total effluent of linked treated water.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15.7% of the total input volume is converted to biogas and the average total solids (TS) is 22%, an average material conversion rate of 75%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energy balance analysis, the energy conversion rate was confirmed to be 78.5% on average by analyzing the biogas calorific value compared to the potential energy of the influent. The average biogas production efficiency including external energy sources for biogas production was 69.4%, and the biogas plant efficiency to which unused effluent energy was applied was 58.9% on average.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 자어의 에너지 수지에 대한 먹이 영향 연구

  • 이선식;손규희;한경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07-308
    • /
    • 2001
  • 자치어 시기의 먹이 상태는 중요한 성장요인이며, 새로운 대체먹이를 찾고자 하는 노력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계속되고 있다. 에너지 수지 모델식에서의 어류의 먹이섭이율, 성장률, 동화효율 등을 통하여 효율적인 먹이 개발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Warren and Davis, 1967) 따라서, 본 실험은 자치어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rtemia와 Tigriopus japonicus를 먹이생물로 하여 에너지 수지모델식의 각 요소들을 측정해보고 각각의 생태 효율을 알아봄으로써 대체먹이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략)

  • PDF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수문정보 추출

  • 채효석;김성준;고덕구
    • Water for future
    • /
    • v.37 no.3
    • /
    • pp.44-49
    • /
    • 2004
  • 지표 수문학(surface hydrology)은 강수에 의한 수자원의 발생, 육지나 하천, 그리고 해양에서 발생하는 증발이나 유출 등에 의한 수자원의 손실과 저수지나 댐에서 수위 상승, 토양수분이나 적설의 증가, 그리고 지하수면의 상승 등에 의한 저류량의 증가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는 과학이다. 수자원의 발생이나 손실, 그리고 저류량의 증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질량보존의 법칙과 같은 단순한 물수지 방정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지표면에서 발생되는 증발이나 식물에 의해서 발생되는 증산 등과 같은 증발산 작용은 에너지를 수반하기 때문에 수문학적인 수지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물수지와 에너지수지를 동시에 이용해야 한다.(중략)

  • PDF

감성돔 치어의 사료 종류별 성장 및 에너지 수지

  • 박헌우;김태우;박기영;김강웅;서영석;김진각;최명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97-198
    • /
    • 2003
  • 해양동물의 성장, 호흡 및 동화효율 등의 생태ㆍ생리적 연구는 에너지 흐름의 역학적 구조를 이해하고 생태계의 기능을 파악하는데 있어 유용한 수단이 된다. 생태계는 복잡한 먹이사슬과 같은 영양학적 구조와 집단간 에너지 흐름의 양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복잡한 먹이망 속에서 그 물질의 전환에 따른 에너지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 에너지 수지를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Klekowski and Ducan, 1975). (중략)

  • PDF

Evaluation of Hydrometeorological Components Simulated by Water and Energy Balance Analysis (물수지와 에너지수지 해석에 따른 수문기상성분 평가)

  • Ji, Hee Sook;Lee, Byong Ju;Nam, Kyung Yeub;Lee, Chul Kyu;Jung, Hyun So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
    • /
    • pp.25-35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OPLATS land surface model performance through comparison of results of water and energy balance analysis. The study area is selected Nakdong river basin and high resolution hydrometeorological components of which spatio-temporal resolution is 1 hr and 1 km are simulated during 2003 to 2013. The simulated daily and monthly depth of flows are well fitted with the observed one on Andong and Hapcheon dam basin. In results of diurnally analysis of energy components, change pattern throughout the day of net radiation, latent heat, sensible heat, and ground heat under energy balance analysis have higher accuracy than ones under water balance analysis at C3 and C4 sites. Especially, root mean square errors of net radiation and latent heat at C4 site are shown very low as 22.18 $W/m^2$ and 7.27 $W/m^2$, respectively. Mean soil moisture and evapotranspiration in summer and winter are simulated as 36.80%, 33.08% and 222.40 mm, 59.95 mm, respectively. From this result, when we need high resolution hydrometeorological components, energy balance analysis is more reasonable than water balance analysis. And this results will be used for monitor and forecast of weather disaster like flood and draught using spatial hydrometeorological information.

Optimization of Ion exchange Catalyst for Free Fatty Acid in used oil (폐유지로부터 이온교환수지 촉매에 의한 유리지방산 전환 최적화)

  • Chang, Duk-Rye;Kim, Min-K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260-262
    • /
    • 2008
  • 최근 고유가의 지속과 국제적인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환경친화적인 대체연료의 개발이 시급한 가운데 재생가능한 동식물성 유지로부터 생산되는 바이오 디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원 재활용 및 에너지 생산관점에서 폐유지로부터 바이오디젤 원료로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폐유지로부터 바이오디젤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폐유지내 함유되어 있는 유리지방산을 전처리공정에서 산촉매에 의한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전환제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폐유지내 함유된 유리지방산 전환제거에 효과적인 불균일계 이온교환수지 촉매를 이용하여 공정변수 즉 사용된 촉매의 양, 반응온도, 유리지방산 농도에 따른 유리지방산 전환제거특성을 조사해 보았다. 또한 각각의 반응조건에서 속도상수를 계산하여 이온교환수지 촉매를 사용한 유리지방산 전환 제거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 값을 구하였다.

  • PDF

Comparison of Daily Soil Water Contents between Energy BalanceWater Budget Approach and TDR (에너지와 물수지 연계방법과 TDR로부터 얻어진 매일 토양 함수량의 비교)

  • 임창수
    • Water for future
    • /
    • v.29 no.4
    • /
    • pp.119-129
    • /
    • 1996
  • The daily soil water contents were obtained from the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method and energy balance-water budget approach with eddy correlation at the two small semiarid watersheds of Lucky Hills and Kendall during the summer rainy period. There was a comparison of daily soil water content measured and estimated from these two different approaches. The comparison is valuable to evaluate the accuracy of current soil water content measuring system using TDR and energy balance-water budget approach using eddy correlation method at small watersheed scal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regressions of these two methods of measuring soil water content was explained by determi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methods.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soil water content measured from TDR method was responsible for 58% and 63% of the variations estimated from energy balance-water budget approach with eddy correlation at Lucky Hills and Kendall, respectively. The scatter plots and th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wo different approaches for soil water content measurement at small watershed scale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