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소비

Search Result 2,38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컨테이너터미널의 에너지 소비 패턴 분석

  • Son, Ho-Seong;Choe, Y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10a
    • /
    • pp.7-8
    • /
    • 2009
  •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시스템은 유류 및 전기 에너지를 주로 소모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컨테이너의 작업량에 따라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에서 하역작업시 장비별로 소비하는 에너지소비 패턴분석을 하고자 한다. 에너지소비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하역장비별 에너지 소모량과 영역별 컨테이너 처리량을 상호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의 월별 소비패턴에서 정상적인 에너지 소비패턴과 비정상적인 에너지 소비패턴을 분류하는 방법을 도출하고 정상적인 에너지소비 패턴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컨테이너터미널의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 관리방안

  • Choe, Yong-Seok;Son, Ho-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59-61
    • /
    • 2010
  •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장비의 에너지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컨테이너터미널의 하역장비는 전기에너지와 유류에너지 소비 패턴의 차이가 있으며, 이를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하역장비의 상호작용에 의한 대기현상을 발생과정을 분석하여 에너지 소비가 많은 애로공정을 도출하였으며, 하역장비 애로공정의 발생지점을 분석하였다. 에너지 소비 관리방안으로 처리량과 에너지 소비 상관계수 비교, 처리물량 변화 패턴 추적 관리, 하역장비 부족에 의한 에너지 소비 애로공정 관리 등의 3가지를 제시하였다.

  • PDF

Report - 산업부문 에너지 소비 및 에너지원단위 추이 분석

  • Park, Gwang-Su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4
    • /
    • pp.50-67
    • /
    • 2010
  • 최근 한국의 에너지 소비를 살펴보면 산업부문 에너지 소비가 다른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에너지 소비 구조는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 비중이 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높다. 그 증가 요인은 무엇일까? 산업부문 에너지 소비 행태를 분석해 그 주요 원인을 살펴보았다.

  • PDF

Energy requirement of Korean households from 1995 to 2010: An input-output analysis- (한국 가정부문의 직간접 에너지소비: 산업연관분석)

  • Park, Hi-Ch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2 no.3
    • /
    • pp.547-580
    • /
    • 2013
  • As energy conservation can be realized through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goods and services consumed, there is a need to assess indirect and total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The Korean household sector was responsible for more than 55% of Korea's total energy consumption in the 1995 to 2010 period. More than 69% of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was indirect. Thus, not only direct but also indirect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should be the target of energy conservation. Electricity consumption became in 2009 the main source of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in Korea. Households consume more and more electricity intensive goods and services, a sign of increasing living standards. Decrease in energy intensities of products consumed by Korean households contributed greatly to reduce the increase in the total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However, switching took place towards more energy intensive products, thus the structure effect was negative. It is necessary to direct consumption and production towards much less energy intensive goods and services a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or its growth rat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readjust low energy and electricity prices to cost-reflective prices levels as these low prices are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consumption of more energy intensive products. This study differentiates prices of oil products and electricity between households and industries, as to allow more accurate estimation.

Decomposition of Direct and Indirect Energy Consumption Growth in Korea from 1990 to 2000 (한국 가정부문 직간접 에너지소비의 증가요인 분석: 1990~2000)

  • Park, Hi-Ch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5 no.3
    • /
    • pp.531-553
    • /
    • 2006
  • As energy conservation can be realized through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goods and services consumed, there is a need to assess indirect and total household energy requirements. The Korean household sector was responsible for about 55% of the country's primary energy requirement in the period from 1990 to 2000. And more than 60% of household energy requirement was indirect. Thus, indirect and total rather than direct household energy requirements should be the target of energy conservation policies. Increases i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were responsible for a relatively high growth of energy consumption. Switching to consumption of less energy intensive products and decrease in energy intensities of products contributed substantially to reduce the increase in total household energy requirement.

  • PDF

Effect of Automotive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자동차의 에너지절약효과 분석)

  • 임기추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8 no.1
    • /
    • pp.1-6
    • /
    • 1999
  • 사울 지역을 대상으로 TDM 수단의 도입 및 연비 향상대책 등에 의한 에너지절약 효과를 분석한 결과, 승용차의 경우 1) 함께타기 촉진에 의한 승차율이 2% 정도 향상될 경우 서울여객 소비의 3.3%(전국여객 소비의 1.0%), 2) 버스전용차개선제 등의 TDM 수단이 도입.시행에 따라 서울여객 소비의 2.6%(전국여객 소비의 0.8%), 3) 2000년까지 자동차 연비목표치가 달성되면 서울여객 소비의 3.2%(전국여객 소비의 0.9% 상당) 감소하는 등, 이들 모든 시책이 도입되는 경우 서울 여객 소비기준 약 9.1%의 에너지 절약 효과가 기대된다. 화물차의 경우에는 1) 공동배송에 의한 수송 효율화에 따라 적재율이 10% 향상되면 서울화물 소비의 8.9%(전국화물 소비의 1.6%), 2) 또 수송효율에 의한 실차율이 2% 향상되면 서울화물 소비의 1.8%(전국화물 소비의 0.3%), 3) 2000년까지 자동차 연비가 5% 향상되면 서울화물 소비의 1.4%(전국화물 소비의 0.4%) 감소하는 것을 합하면 약 12.1%의 에너지절약효과가 기대된다.

  • PDF

Balancing Routing Energy Consumption in Wireless Ad-hoc Network Environments (무선 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균형화된 라우팅 에너지 소비 기법)

  • 강용혁;엄영익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10A
    • /
    • pp.1671-1683
    • /
    • 2001
  • 무선 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호스트의 에너지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무선 ad-hoc 네트워크에서는 이동 호스트들이 라우팅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네트워크 구조와 노드들의 위치에 따라 각 노드들의 라우팅 역할수해에 필요한 에너지의 양에 차이가 있게 된다. 즉, 메시지가 자주 전송되는 경로에 있는 노드들은 라우팅 역할을 수행하면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고, 메시지가 적게 전송되는 경로에 있는 노드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가 적은 노드의 라우팅 역할을 에너지가 많은 노드로 전이시켜 에너지가 적은 노드의 라우팅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제안 기법에서는 특정 노드의 라우팅 역할을 다른 노드로 전이할 때 부가적인 지역 메시지의 송수신이 필요하게 되어 전이 프로토콜에 참여하는 노드들의 에너지 소비가 전체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기법은 전체 시스템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에너지 양을 균등화시킴으로서 라우팅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가 많은 노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노드들이 라우팅에 오랫동안 참여할 수 있게 하고 시스템의 성능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 PDF

Dynamic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에너지소비와 경제성장의 동태적 인과관계)

  • Mo, Soowon;Kim, Changbeom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2 no.2
    • /
    • pp.327-346
    • /
    • 2003
  • Unlike previous studie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this paper analyses the dynamic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using the dynamic vector using Johansen's multiple cointegration procedure, dynamic vector error-correction model and impulse response function.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while the energy consumption to a shock in income responds positively, the income responds positively to the shocks in energy consumption in the first place and then the responses become negative. We also find that the impact of energy consumption shock on the income is short-lived and causes higher inflationary pressure.

  • PDF

Energy-Efficient Operation Simulation of Factory HVAC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 기반 공장 HVAC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화 운영 시뮬레이션)

  • Seok-Ju Lee;Van Quan Dao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2
    • /
    • pp.47-54
    • /
    • 2024
  • The global decrease in traditional energy resources has prompted increasing energy demand, necessitating efforts to replace and optimize energy sources. This study focuses on enhancing energy efficiency in manufacturing plants, known for their high energy consumption. Through simulations and analyses, the study proposes a temperature-based control system for HVAC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operations, utiliz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predict and optimize factory temperatu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is approach, particularly the prediction-based free cooling algorithm, can achieve over 10% energy savings compared to existing systems. This paper presents that implementing an efficient HVAC control system can significantly reduce overall factory energy consumption, with plans to apply it to real factorie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Bottom-up model for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by Use (생활행위 분류에 의한 가정부문 용도별 에너지소비 분석모형 개발)

  • Lim, Ki Cho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2 no.1
    • /
    • pp.38-43
    • /
    • 2013
  • There was a dire need to compile data about energy consumption data by use to analyze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patterns relating to changes in lifestyles, or changes in life behavior. Accordingly, bottom-up model for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by residential use was developed by life behavior classification in an attempt to analyze energy consumption. This paper multiplied each appliance's running times by each appliance by life behavior and built a residential bottoms-up model to figure out the energy consumption of each household. The uses by life behavior were broken down into lighting, heating, cooling, entertainment, obtaining information, hygiene, and coo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