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관리 계획

Search Result 28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에너지경영시스템(EMS)

  • Kim, Ha-Yeon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7
    • /
    • pp.24-27
    • /
    • 2009
  • 에너지경영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이란 최고경영자가 경영방침에 에너지관리 목표를 포함시켜 전사적인 에너지 관리를 추진하는 톱다운(Top-Down) 방식의 에너지관리시스템이다. 에너지 절감을 위해 에너지관리공단에서 도입 및 계획하고 있는 EMS에 대해 알아본다.

  • PDF

Energy Management System Design Based on Fast Simulation Using Machine Learning Model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한 고속 시뮬레이션 기반의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설계)

  • Lee, Eun-joo;Kim, Jeong-min;Ryu, Kwang-rye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13-15
    • /
    • 2016
  • 에너지 소비가 큰 건물은 내부 온/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 등의 일정 공기 질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어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 건물에서 실내 환경의 운영은 설정된 실내 환경 값을 기준을 벗어나면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단 시간에 고에너지를 투입하여 장비를 가동시키므로 에너지 소모가 크며 peak 전력이 높아 에너지 비용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온도를 포함한 환경이 변해가는 상황을 예측하고 사전에 에너지 사용 계획을 수립하여 관리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예열부하 등의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절감하려 한다. 이를 위해 실내 환경이 변화하는 것을 예측하고 후보 제어계획으로 제어를 수행할 때 소요되는 에너지가 어느 정도인지 시뮬레이션하여 제어계획의 적합도를 평가한다. 기존 EnergyPlus와 같은 시뮬레이션 도구는 모델이 복잡하여 시뮬레이션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환경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재수립되는 수많은 제어계획 데이터를 단시간에 시뮬레이션하기에 부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빠른 시뮬레이션을 위해 실제 운영 데이터와 에뮬레이션을 통해 획득한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어계획 적용 시의 미래 상황을 예측한다.

  • PDF

에너지적합형 지역개발 모형연구

  • 김상현;전원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5.05a
    • /
    • pp.179-184
    • /
    • 1995
  • 본 연구는 도시기능의 주요 요소인 주거단지 및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환경부담을 최소화 시키면서도 에너지효율을 제고 시킬수 있는 방향으로 에너지적합형 지역개발사업 모형을 개발.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의 토지이용계획에 시스템적 관점의 에너지 및 환경관리를 통합하기 위한 에너지통합계획의 기본개념,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SSD)을 위한 국내외동향 및 기술목록 사례를 소개하고, 주거단지 및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에너지이용합리화법(법률 제4426호)"에 의거한 기존의 에너지사용계획서의 보완방안 및 사례연구를 통한 에너지적합형 개발모형을 소개하고자 한다.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현상설계경기 - 종합에너지회관(에너지관리공단 새사옥)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8 s.316
    • /
    • pp.118-119
    • /
    • 1995
  • 에너지관리공단에서는 국내외 에너지ㆍ환경변화에 맞춰 화상회의 시스템 등 종합정보통신망과 최첨단 에너지 절약 기술과 기법이 망라돼 21세기 에너지 관리의 총본산으로 활용할 계획으로 새 사옥인 종합에너지회관 건립을 위한 현상설계경기를 실시, 초청 경기로 치뤄진 결과 정일(엔)종합건축안을 당선작으로 선정, 지난 6월 24일 발표했다.

  • PD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program in Korea (국내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지역별 특성 고찰)

  • Shin, Youngeun;Yoo, Kyungjin;Cho, Haey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39.1-139.1
    • /
    • 2011
  • 정부는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을 통하여 2030년까지 1차 에너지에 대해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11%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신재생에너지 지방보급 사업 등 지역 별로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투자 및 보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더불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에 맞는 신재생에너지 계획을 수립하여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지역의 경제발전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각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계획안을 검토하여 어떠한 에너지원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지 그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들 지역의 신재생에너지 계획안이 해당 지역의 신재생에너지 잠재량과 같은 지역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해당 지역의 신재생에너지 현황은 어떠한지 에너지기술연구원과 에너지관리공단의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각 지역의 신재생에너지 계획이 해당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자연자원, 인력자원, 경제적 재원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계획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지역 및 국가단위의 에너지 계획 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한민국 ESCO의 중심에 서다 - 에너지관리공단 조천행 에너지관리본부장

  • ESCO지 편집실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6
    • /
    • pp.50-53
    • /
    • 2009
  • 에너지관리공단은 우리나라의 에너지이용효율 향상과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중추적인 기관으로써 온실가스감축진단사업, 자발적협약제도, 에너지사용계획협의,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제도, 신재생에너지개발 및 보급 등 다양한 에너지 관련 사업을 펼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관련된 다양한 교육과 기술이전, 인재양성과 나아가 국민 계도와 홍보에까지 다방면으로 힘을 쓰고 있다. 이렇게 대한민국 에너지 절약의 중심에 서 있는 에너지관리공단의 조천행 에너지관리본부장을 만났다.

  • PDF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Basic Plan to Construct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National Building Energy (건물 부문의 에너지 관리체계 구축수립 기본 방안에 관한 연구)

  • Yoo, Jung-Hyun;Kim, Jong-Yeob;Hwang, Ha-Ji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4
    • /
    • pp.379-385
    • /
    • 2011
  •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 is given a sizable portion in total national energy conservation and if current trends continues, energy conservation level will rise as level of developed country. For this reason, a basic plan is proposed fo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o manage energy conservation of buildings using a link with energy information and building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questionnaire investigation conducted by building energy expert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ojects along with time schedule and demands level of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o investigate study on energy usage information and management situation the management architecture of energy supplier is also studied.

지능형 건물(IB:Intelligent Building)의 계획과 운영관리⑦

  • Lee, Sun-Hyeong;Im, Sang-Chae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44 no.12
    • /
    • pp.21-28
    • /
    • 2002
  • 건축분야에서 자원, 에너지 절약을 고려할 때 건설공사, 건물해체, 철거에 따른 에너지소비문제도 중요하지만, 계획단계와 건물의 유지, 운용 단계에서도 에너지절약 대책 또한 매우 중요하다. 건물의 방의 배치, 레이아웃, 디자인이라는 감각적인 성능 평가 뿐만 아니라 에너지, 자원절약의 관점에서도 평가도 중요하며 그 때문에 매력있는 에너지절약 시책과 실적 데이터의 정비가 필요하다.

  • PDF

에너지관리공단, 소형 열병합발전 활성화 위해 전력산업기반기금 이용, 발전차액 지원검토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31
    • /
    • pp.14-15
    • /
    • 2004
  • 현재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에특회계) 예산에 ESCO자금 지원을 별도로 반영해 지원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며 전력산업기반기금을 이용해 발전차액 지원도 검토중에 있습니다. 또 여름철에 한해 소형열병합 발전용 가스요금을 현재의 냉방용 요금 수준으로 인하할 계획이며 현재 9개 지역에 적용되고 있는 열병합용 요금 지역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