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효율

Search Result 8,418, Processing Time 0.071 seconds

Selective weight control using minimum power configur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최소파워구성 방법을 이용한 선택적 웨이트 컨트롤 알고리즘)

  • Park, Do-Wook;Kim, Cho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677-680
    • /
    • 2006
  • 이 논문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최소 파워 구성 방법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늘리고 지연(delay)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topology control, power-aware routing, sleep management 방법을 각각 독립적으로 연구되었는데 최소파워 구성은 위의 3가지 방법을 통합 최적화하여 에너지 효율적 사용 문제에 접근한다. 이러한 최소파워 구성 방법을 이용하여 선택적 웨이트 컨트롤(Selective weight control)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네트워크 전체 수명을 연장시키고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은 각 노드가 주기적으로 잔류에너지를 인접노드들과 공유하여 에너지 랭크(rank)값을 유지한 상태에서 최소 에너지 경로를 사용하면서 에너지가 주위 노드들보다 작아질 때는 에너지가 많은 노드가 경로에 포함이 되도록 하여 특정 노드가 에너지 고갈되지 않고 네트워크내의 각 노드가 고르게 에너지를 소모하게 한다.

  • PDF

Evaluation of Energy Self-Sufficiency Rate through Case Analysis of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in Educational Facilities (교육시설의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사례분석을 통한 에너지자립률 평가)

  • Lee, Hyun-Seung;Kim, Ji-Hyeon;Lee, Seung-Min;Meang, Joon-Ho;Shin, U-Cheul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8 no.4
    • /
    • pp.58-65
    • /
    • 2019
  • Under the regulation of rational energy use in public institutions, it has been mandatory for educational facilities to meet the first grade or higher since 2014. Also the regulation has forced educational facilities as public institutions to use renewable energy since September 2008. Educational facilities are required to be qualified as zero-energy buildings from 2020 under the revision of the Green Building Act.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and the renewable energy system installation for 316 educational facilities that were accredited as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from February 2015 to March 2019. Also we analyzed the energy self-sufficiency rate based on energy requirements and renewable energy output. Of the 316 facilities, 12 had 1++ and 293 had 1++ for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Among the 12 facilities which had 1+++, 11 recorded ZEB level 5 or higher, and 28 out of the 293 facilities(11%) which got received 1++ had ZEB level 5. Thus,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the ZEB certification system for educational facilities under the present conditions. Expanding the ratio of 1+++ and investing in renewable energy systems should be preceded.

법규 및 정책동향 - 자동차 평균에너지소비효율기준.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 및 기준의 적용 관리 등에 관한 고시(안) 입안예고

  • 한국LP가스공업협회
    • LP가스
    • /
    • v.22 no.6
    • /
    • pp.16-18
    • /
    • 2010
  • 환경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7조 및 시행령 제37조에 따라 위임된 자동차 평균에너지소비효율 및 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과 해당 기준의 적용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하기 위해 자동차평균에너지소비효율기준 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 및 기준의 적용관리 등에 관한 고시(안)을 입안예고했다. LPG자동차 관련 내용을 발췌 게재한다.

  • PDF

Enhancement of blue-green dye energy laser using an energy converter dye (에너지 전환을 이용한 청록색소레이저의 출력 증가)

  • 최영수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1.06a
    • /
    • pp.66-68
    • /
    • 1991
  • 색소레이저의 효율과 출력 증가를 위한 연구에서 보다 강력한 펌핑 광원의 개발에 주로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펌핑광의 스펙트럼 전환을 이용하여 청록색레이저의 효율과 출력에너지를 증가 시켰다. 레이저 색소 Coumarin 503을 전환색소 BBQ와 혼합하므로 160% 이상의 청록색레이저의 출력에너지 증가와 61%의 구배 효율 증가를 얻었다.

  • PDF

수송에너지 효율성 향상 기술

  • Bae, Chung-Sik;Kim, Gi-Hyeon
    • Journal of the KSME
    • /
    • v.50 no.7
    • /
    • pp.41-46
    • /
    • 2010
  • 이 글은 수송에너지 분야의 효율성 향상 기술에 대한 전망을 다룬다. 먼저 현재 자동차 산업/시장의 환경과 고효율 기술들을 소개한다. 아울러 항공과 선박 부문 기술의 현황/발전 가능성을 분석한 뒤 미래 수송에너지 시장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 방안에 대해 요약하고 있다.

  • PDF

Efficiency Analysis of Wind Energy Based on Smart Phone (스마트폰 기반의 풍력에너지 효율 분석)

  • Ryu, Chang-su;Hur, Chang-w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473-476
    • /
    • 2012
  • Energ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for human society and the history of its development and use have been part of human life. Especially as the need of eco-friendly energy development has been on the rise, the interest in alternative energy has grown consistently. This paper, so as to identify the energy output and efficiency from a micro vertical-axis wind generator. by utilizing a smart phone, presents a system to analyze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real-time energy, according to the wind velocity and the width and the material of the blade of the climate change system in the Meteorological Office.

  • PDF

Energy-Efficient Topology Construction Algorithm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에너지 효율적인 토폴로지 구성 알고리즘)

  • Roh Tae-Ho;Choi Woong-Chul;Rhee Seung-Hyong;Chung Kwang-Su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d
    • /
    • pp.40-42
    • /
    • 2006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제한된 배터리를 갖는 노드로 토폴로지를 구성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전체 네트워크의 수명을 극대화하고 라우팅에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하여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전송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노드의 고정된 전송범위로 인한 에너지 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최적의 전송범위 혹은 MST(Minimum Spanning Tree)기반으로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대안이 있지만 최적의 솔루션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단계에 따라 전송범위를 차별화시켜 라우팅을 수행하는 DR(Differential Routing)을 제안하였다. DR은 전송범위에 기반하여 최적의 토폴로지를 구성한다. 그리고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특정한 통신 패턴에 맞게 트리 구성 단계와 데이터 수집 단계의 전송범위를 차별화시켜 전송파워를 조절함으로써 전체 네트워크의 수명 극대화, 파티션 방지, 그리고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킨 알고리즘이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DR이 최적의 토폴로지를 구성하여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Hybrid Modulation for Improving Efficiency of Solar Inverter (태양광 인버터의 효율 개선을 위한 혼합 변조 기법)

  • Lim, S.K.;Lee, H.C.;Lee, S.H.;Park, S.J.;Lee, S.H.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40-41
    • /
    • 2011
  • 알려진 바와 같이 전 세계는 에너지 고갈 및 고유가 그리고 $CO_2$ 감축 등 여러 가지 에너지 문제에 직면 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대체 에너지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그중 태양광, 풍력, 조력 및 지열을 이용한 발전이 대부분의 대체 에너지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을 비롯한 대체 에너지 발전의 경우 전력변환기가 필수적이다. 이미 고정된 효율을 가지는 발전 시스템에서 최대의 효율로 발전된 전력을 변환하기 위해 전력변환기의 효율 증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기에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스위칭 방식에 있어서 혼합 변조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Method for Minimizing Data Delay in Energy Efficient Sensor MAC Protocols (데이터 전송 지연 최소화 기법)

  • 서창수;고영배;김재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715-717
    • /
    • 2004
  • 최근 무선 통신 기술과 전자 기술의 진보로 지능형 센서(Smart Sensor)를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해졌고,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는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Ad-Hoc 네트워크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는 새로운 이슈이다. 최근 센서관련 논문에서는 각 센서 노드의 제한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이 없을 경우 노드의 통신 모듈을 Sleep 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약 한다. 이를 위해서 모든 센서 노드들은 동기화를 맞추어 listen과 sleep를 주기적으로 반복해야 한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는 에너지 효율성과 데이터 전송 지연간의 반비례 관계이다. 에너지의 효율성을 위해 Sleep 시간을 길게 할수록, Sleep 시간에서 발생한 데이터의 지연 시간도 길어지게 되므로, 데이터의 지연을 고려하여 sleep 시간을 적당히 조정해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효율성을 위해 listen/sleep 주기를 사용하면서도 데이터 지연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율적 sleep 시간에 대해 논의 해 보려 한다.

  • PDF

Energy-efficient File Distribution Policy (에너지 효율적인 파일 분산배치 정책)

  • Park, Chanyoung;Lee, Jaemyoun;Kang, Ky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5-6
    • /
    • 2017
  • 본 논문은 데이터를 보다 적은 소비전력으로 보관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적인 파일 분산배치 정책을 제안한다. 이 정책은 개별 하드디스크 용량을 빠르게 가득 채우도록 분산 스토리지의 쓰기 동작을 처리하고, 가득 찬 하드디스크의 모터를 정지시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Ceph 분산 스토리지를 수정하여 제안하는 파일 분산배치 정책을 적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파일 분산배치 정책이 에너지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