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Energy Self-Sufficiency Rate through Case Analysis of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in Educational Facilities

교육시설의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사례분석을 통한 에너지자립률 평가

  • Received : 2019.11.23
  • Accepted : 2019.12.26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Under the regulation of rational energy use in public institutions, it has been mandatory for educational facilities to meet the first grade or higher since 2014. Also the regulation has forced educational facilities as public institutions to use renewable energy since September 2008. Educational facilities are required to be qualified as zero-energy buildings from 2020 under the revision of the Green Building Act.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and the renewable energy system installation for 316 educational facilities that were accredited as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from February 2015 to March 2019. Also we analyzed the energy self-sufficiency rate based on energy requirements and renewable energy output. Of the 316 facilities, 12 had 1++ and 293 had 1++ for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Among the 12 facilities which had 1+++, 11 recorded ZEB level 5 or higher, and 28 out of the 293 facilities(11%) which got received 1++ had ZEB level 5. Thus,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the ZEB certification system for educational facilities under the present conditions. Expanding the ratio of 1+++ and investing in renewable energy systems should be preceded.

교육시설은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에 따라 2014년부터 '건축물에너지효율 1등급 이상'의 의무대상건축물로 지정되었으며, 동 규정에서 정의하는 공공기관 건축물에 해당되어, 2008년 9월 신·재생에너지 의무대상 건축물로 포함되었다. 또한 2019년 4월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이 개정됨에 따라, 2020년부터 ZEB인증의 의무대상 건축물로 확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년 2월부터 2019년 5월까지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본인증을 획득한 316개의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및 "신·재생에너지시스템"설치 현황을 파악하고, 에너지 소요량 및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기준으로 에너지자립률을 분석하였다. 316개 본인증 교육시설의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에 따른 ZEB 인증등급을 추정하면 1+++ 등급 12개 시설의 경우 1곳을 제외하고 모두 ZEB 5등급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239개의 1++ 등급 시설에서 11%에 해당하는 28곳이 ZEB 5등급 수준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현 수준에서 일반 교육시설의 ZEB 인증은 무리가 있으며, 건물에너지효율 1+++등급 상향과 신·재생에너지시스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범.오병칠.신우철(2016), 서울지역 고등학교 건물의 에너지소비특성에 관한 사례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36(6), 61-69. https://doi.org/10.7836/kses.2016.36.6.061
  2. 김강식.박재완.윤종호.신우철(2011), 고등학교 시설의 에너지 소비량특성에 관한 사례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제31(5), 99-104. https://doi.org/10.7836/kses.2011.31.5.099
  3. 김진호.조수영.김창민.장향인.김선숙(2018),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현황 분석을 통한 ZEB의 설계영향인자 분석 : 교육연구시설을 대상으로,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12(4), 387-399. https://doi.org/10.12972/jkiaebs.20180033
  4. 맹준호.김성중.이승민.고현수(2018), 학교시설 현황분석을 통한 에너지절약설계 개선방향 연구,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학술지, 17(3), 1-8.
  5. 윤종호.신우철.조진일.최형주.김효중(2010), 전국초등학교 시설의 에너지 사용실태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6(9), 275-282.
  6. 윤종호.신우철.조진일.박재완.김효중(2010), 전국중학교 시설의 에너지 사용실태 분석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0(4), 45-50.
  7. 윤종호.신우철.조진일.김효중.이철성(2010), 전국고등학교 시설의 에너지 사용실태 분석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30(4), 55-62.
  8. 국토교통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별표 1]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표
  9. 산업통상자원부,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
  10. 국토교통부,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현황 ('18년 2/4분기)
  11. 국토교통부,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기준, [별표 1의 2]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