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너지트랩 효과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Charge Trap Flash 메모리 소자 프로그램 동작 시 전하수송 메커니즘

  • 유주태;김동훈;김태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73-273
    • /
    • 2011
  •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플로팅 게이트를 이용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비례축소에 의해 발생하는 단 채널 효과, 펀치스루 효과 및 소자간 커플링 현상과 같은 문제로 소자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silicon nitride와 같은 절연체를 전자의 트랩층으로 사용하는 charge trap flash (CTF) 메모리 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CTF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 되었지만, 수치 해석 모델을 사용하여 메모리 소자의 전하수송 메커니즘을 분석한 연구는 매우 적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 해석 모델을 적용하여 개발한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CTF 메모리 소자의 프로그램 동작 시 전하수송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시뮬레이터에 사용된 모델은 연속방정식, 포아송 방정식과 Shockley-Read-Hall 재결합 모델을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CTF 소자 프로그램 동작 시 트랩 층으로 주입되는 전자의 양은 Wentzel-Kramers-Brillouin 근사 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트랩 층에 트랩 되었던 전자의 방출 모델은 이온화 과정을 사용하였다. 게이트와 트랩 층 사이의 터널링은 Fowler-Nordheim (FN) tunneling 모델, Direct tunneling 모델, Modified FN tunneling 모델을 적용하였다. FN tunneling 만을 적용했을때 보다 세가지 모델을 적용했을 때가 더 실험치와의 오차가 적었다. 그 이유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인가된 전계에 의해 Bottom Oxide 층의 에너지 밴드 구조가 변화하여 세가지 tunneling 모델의 구역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계산된 결과의 전류-전압 곡선을 통해 CTF 메모리 소자의 프로그램 동작 특성을 관찰하였다. 트랩 층의 전도대역과 트랩 층 내부에 분포하는 전자의 양을 시간에 따라 계산하여 트랩 밀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정 값에 수렴하고 많은 전하가 트랩 될 수록 전하 주입이 줄어듬을 관찰 하였다. 이와 같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CTF 메모리의 트랩층에서 전하의 이동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하여 CTF 소자가 가진 문제점 해결에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폐열활용 공정개선 에너지절감효과 톡톡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ESCO지
    • /
    • 통권21호
    • /
    • pp.20-23
    • /
    • 2003
  • 목포 대불공단에 위치한 케이씨㈜(구, 한국화학)는 작년 10월부터,올 1월까지 응축수회수시스템, 감압 및 트랩개선, 보일러 공기예열기 설치 등 공정개선 ESCO사업을 시행해 연간 약 3억9천만원에 달하는 에너지비용을 절약하고 있다. 자금력과 전문인력확보가 어려운 중소기업에 있어서 ESCO사업은 자금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ESCO의 우수한 맨파워를 활용함으로써 전문기술력을 제공받는 효과가 기대된다.

  • PDF

색소흡착산화아연에 대한 표면광기전력의 분광학적 연구 (Surface Photovoltage Spectroscopy on Dyed Zinc Oxide)

  • 김영순;성용길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51-258
    • /
    • 1984
  • 색소를 흡착시킨 산화아연의 표면상태를 광기전력측정법을 이용하여 색소증감기구 및 바인더(binder)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화아연의 에너지트랩준위는 1.12eV이며, 색소흡착에 의해 0.99eV로 에너지준위가 낮아짐을 알았다. 바인더효과는 표면광기전력의 효율을 커지게 하나 에너지트랩준위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다. 또한 색소증감기구로 흡착력이 강한 산형색소는 전자 이동(electron transfer)이며, 산화아연 고유흡수광에 減感작용이 있는 나트륨염형색소는 에너지이동(energy transfer)로써 추측된다. 근적외부인 1,100~1,350nm에 걸쳐 광기전력감도가 나타나므로 적외선에 의한 전자사진용 畵像材料로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에너지 트래핑 효과를 이용한 세라믹 필터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ceramic filter using energy trapping effect)

  • 박기엽;김원석;송준태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8권2호
    • /
    • pp.144-150
    • /
    • 1995
  • Ceramic filter using energy trapping effect is used bandpass filter at high frequency. In this paper, the resonant points of the symmetrical modes and antisymmetrical modes were theoretically analyed and synthesized these modes in order to know the filter characteristics. We simulated them using the computer and also fabricated the ceramic filter using PZT-4 piezoelectric plate made by Valpey Fisher Co., The 1.5[.mu.m] - thick platinum electrode were deposited on the ceramic plates with the various mas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ated filters were measured using the spectrum analyzer. Experimental data we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results. The maximum-pass frequencies coinsided exactly. The bandwidths of the fabricated filters were slightly different betwee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We found that these phenomenon were caused by the stray capacitance between the two neighbor electrodes..

  • PDF

터널 장벽의 구조적 변화에 따른 CTF 메모리 소자의 프로그램 동작 특성

  • 김동훈;유주형;김태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54-254
    • /
    • 2010
  • 기존의 부유게이트를 이용한 플래시 메모리는 소자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CTF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CTF 메모리 소자는 기존의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 비해 쓰고 지우는 속도가 빠르고, 데이터의 저장 기간이 길며, 쓰고 지우는 동작에 의한 전계 스트레스에 잘 견뎌내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터널 장벽의 두께와 종류를 변화시킨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하기 위한 연구들은 많이 있었지만, 터널 장벽의 적층구조 변화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 장벽의 적층구조 변화에 따른 CTF 메모리 소자의 프로그램 동작 특성 변화에 대해 관찰하였다. 기존의 단일 산화막 (silicon oxide; O) 대신 산화막과 higk-k 물질인 질화막 (silicon nitride; N)을 조합하여 ON, NON, ONO로 터널 장벽의 여러 가지 적층 구조를 가진 소자를 설계하여 각 소자의 프로그램 동작 특성을 조사하였다. CTF 메모리 소자의 프로그램 동작 특성을 거리와 시간에 따른 연속방정식, Shockley-Read-Hall 유사 트랩 포획 방정식 및 푸아송 방정식을 유한차분법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으로 분석하였다. WKB 근사를 이용하여 인가된 전계의 크기에 따라 터널링 현상에 의해 트랩층으로 주입하는 전자의 양을 계산하였다. 또한, 터널 장벽의 적층구조 변화에 따른 트랩층의 전도대역과 트랩층 내부에 분포하는 전자의 양을 시간에 따라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에서 터널 장벽의 적층구조 변화가 CTF 메모리 소자의 프로그램 동작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소자의 프로그램 동작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CTF 메모리 소자에 적합한 터널 장벽의 구조를 알 수 있었다. 기존의 단일 산화막보다 얇아진 산화막의 두께와 낮은 질화막의 에너지 장벽 높이로 전자의 터널링 현상이 더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ON 구조로 터널 장벽을 적층한 CTF 메모리 소자의 프로그램 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터널 장벽의 구조적 변화가 전자의 터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프로그램 동작 속도가 빠른 CTF 메모리 소자의 최적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

에너지트랩 효과를 이용한 단일전극 세라믹 필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ne-Strip Electrode Ceramic Filter Using the Energy Trapping Effect)

  • 송준태;정인영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0권1호
    • /
    • pp.73-81
    • /
    • 1991
  • In order to simulate the ceramic filter in the state of the one-strip electrode, the theory has been analyzed and a computer program has been developed using the energy trapping effect. The ceramic filters were fabricated using the PZT-4 specimen. The necessary condition that the ceramic filter has the energy trapping effect is that the electroded portion frequency should be smaller than the unelectroded portion frequency when the wave number is zero. Each of the average differences of the resonant point and bandwidth between by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and by experiment results was 5.6[%] and 3.72[%]. It is considered that the one-strip ceramic filter having a desired characteristics and the lowest difference can be fabricated easily by means of the simulation developed in this paper and the fabrication methods.

  • PDF

전기적 스트레스에 의한 MILC poly-Si TFT 특성변화 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son of the Changes of MILC Poly-Si TFT's Characteristics by Electrical Stress)

  • 김기범;김태경;이병일;주승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12호
    • /
    • pp.29-34
    • /
    • 2000
  •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에 의해 제작된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의 전기적 스트레스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MILC로 제작된 TFT에 전기적 스트레스가 인가될 때, off-state 전류가 100배에서 10000배까지 감소한다. 그러나 전기적 스트레스를 인가한 소자를 관상로에서 열처리를 할 경우 열처리온도가 증가할 수록 off-state 전류가 다시 증가했다. 열처리온도에 따른 off-state 전류의 의존성으로부터 MILC 다결정 실리콘 박막내 트랩준위의 활성화에너지(0.34eV)를 얻어냈다.

  • PDF

폐금속을 이용한 바이오매스의 고효율 가스화 및 타르 발생량 저감 (Hight Efficiency Gasification of Biomass and Tar Reduction by Waste Metal)

  • 성호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9.2-179.2
    • /
    • 2011
  • 바이오매스 가스화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해결과제는 고발열량의 합성가스 제조, 냉가스 효율의 향상, 타르 발생량 저감 및 제거이다. 가스화 효율 향상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 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타르 발생량 저감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타르는 분자량이 큰 방향적 탄화수소로 응축되면 점성이 높아 배관폐쇄, 정제설비의 압력손실 증가로 인해 운전정지 및 가스화율 저하의 원인이 된다. 가스화로에서 타르 발생량을 저감시키는 방법 중에는 Ni계 촉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카본 누적에 의한 활성저하, 알칼리금속에 의한 응집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철산화물은 합성가스 중의 C2-C3계의 타르를 분해하는데 효과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벽돌, 염색슬러지 회재 등에는 철산화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에 착안하여 폐기물중의 폐금속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가스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점토광물계 폐기물인 적벽돌 파쇄물($SiO_2$ 67.2%, $Al_2O_3$ 19.7%, $Fe_2O_3$ 8.7%, $K_2O$ 2.0%, $TiO_2$ 1.2%, MgO 0.7%)을 전처리 한 후 유동매체로하여 우드펠렛을 가스화한 결과, 가스 생성량이 증가하고, 타르 및 탄화수소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타르는 후단의 타르 트랩에서 타르가 거의 검출이 되지 않았다. 전처리를 하지 않은 적벽돌 파쇄물은 반응시간이 경과한 후에 가스화율이 증가함에 따라 철화합이 가스화로내에서 환원되어 타르를 분해하는데에는 어느 정도의 반응시간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딥러닝을 이용한 가전제품 분류 시스템 구현 (Realization of home appliance classificat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 손창우;이상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718-1724
    • /
    • 2017
  • 최근 IoT기반으로 가전제품을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는 스마트 플러그가 활성화 되고 있다. 이를 통해 상시 실시간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을 통한 소비자의 에너지 절약 유도를 하고, 소비자 설정 기반의 알람 기능을 통해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효과를 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 벽 전원 콘센트에서 나오는 교류 전류를 측정한다. 이때, 가전제품마다의 전류 패턴을 분류하고 어떤 제품이 동작하는지 판단을 위해 딥러닝(Deep learning)으로 실험하였다. 전류 패턴의 학습으로 제품의 종류에 따른 인식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교차 검증 방법과 붓스트랩(Bootstrap) 검증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Cost function과 학습 성공률(Accuracy)이 Train 데이터와 Test 데이터가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Oxygen이 주입된 $p^+$-InGaAs층에서의 compensation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InGaAs layer implanted with oxygen)

  • 시상기;김성준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43-347
    • /
    • 1997
  • 전기적 고립(isolation)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InGaAs층에 oxygen을 이온 주입하 여 annealing 온도에 따른 compensation mechnism을 조사하였다. $500^{\circ}C$이하에서는 전도도 가 손상에 관련된 트랩들에 의해 지배되며 500~$600^{\circ}C$영역에서는 oxygen의 활성화로 acceptor를 compensate시키는 화학적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600^{\circ}C$에서 type conversion(p $\longrightarrow$n-type)이 일어났다. 이는 annealing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oxygen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생성된 donor로 작용하는 결함들의 증가에 기인하며, 이때 면 저항의 활성화 에너지는 24.2meV로 shallow donor로 작용하는 In interstitial과 같은 native defect들이 형성되기 때 문이라 생각된다. Type conversion이 일어난 $600^{\circ}C$ 이상의 영역에서는 이온 주입에 의해 형 성된 interstitial Be의 재활성화로 인해 n형 전도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