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너지절약 설계요소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51초

초등학생의 에너지 절약 실천을 위한 교육용 Game Design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Game Design for Practicing Energy Sav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현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4-20
    • /
    • 2019
  • 에너지 절약은 자원의 부족 및 한정성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증가 하고 있는데 반해 교육 현장에서 에너지 절약에 대한 학습 현황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초등교육에서 에너지 절약에 관한 교육은 실천으로 연결되지 못하여 교육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도구로 여러 가지가 활용되고 있지만 해외 산업분야에서 에너지 절약을 위한 게임화 전략의 성공 사례가 다수 소개 되고 있음에 착안하여 에너지 관련 교육을 게임을 통해 할 수 있도록 게임 디자인을 제안한다. 에너지 절약은 실천을 하지 않으면 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에 교실에서의 지식 전달 위주의 학습보다 게임을 도구로 활용한 학습이 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 된다. 에너지 절약 교육용 게임을 디자인하기 위해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교육용 게임의 재미 요소인 미션수행 요소, 점수 획득 요소, 시간제한 요소, 캐릭터 요소를 활용하여 교육용 디펜스 게임을 디자인하였다.

시간변수를 가진 건물에너지 절약 설계요소의 디자인 결정을 위한 확률분포 결정모델 (Random Distribution based Decision Model of Design Factor having Time Variable in Building Energy Conservation Design)

  • 우세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1-31
    • /
    • 2010
  • 최근 변화되고 있는 건축설계 기술들 가운데 설계자들의 경험에 의존하고 있는 설계요소들의 설계 값 결정과정들을 논리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있다. 이러한 연구들 중의 한 부분인 본 연구는 건물에너지 절약설계와 관련된 설계요소들 중에서 시간적 변화에 따라 설계 값들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진 설계요소들을 대상으로 논리적으로 설계 값을 결정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현실세계를 확률분포로 해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시뮬레이션 기법을 토대로 논리적으로 설계 값을 결정할 수 있는 결정 모델의 구조를 본 연구를 통해서 설정하였다. 이러한 결정 모델의 적용 가능성과 검정을 위해서 시간변수를 가진 설계요소들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실외 기후요소들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건축전기설비분야의 에너지절약 요소기술 설계편람 개발 (A Study on Approach Method for Standardization of Contruction Specifications and Design Criteria based on Energy Performance of Electrical Installations in Buildings)

  • 김세동;이광식;박원주;최은혁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7-390
    • /
    • 2009
  • 앞으로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성능중심의 건설기술기준 적용이 필요하다. 성능중심의 건설기준을 개발하고, 성능계약제도 도입방안을 구축함으로써 시설물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생애주기비용 (LCC)을 절감하며, 설계 및 시공자의 기술개발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전기설비분야를 중심으로 에너지절약 요소기술을 발굴하고, 설계기준에 기술하기 곤란한 사항, 기술자가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들을 도출하여 실무에 쉽게 활용하도록 설계편람을 작성하는데 있다.

  • PDF

홈 에너지 관리를 위한 모바일 SNS 설계 (A Design of Mobile SNS for Managing Home-Energy)

  • 조희승;이정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54-1157
    • /
    • 2011
  • 최근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들은 정보수집 및 의사소통, 혹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제공을 통해 사용자에게 유용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기반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 그룹간의 경쟁심을 유발할 수 있는 모바일 SNS를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소셜미디어의 기능 블럭을 토대로 에너지 관리를 위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에너지 절약을 유도할 수 있는 모니터링 요소를 추출하여 그룹 간에 에너지 소비량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SNS를 설계한다. 이는 단순한 정보의 확산 및 수집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SNS가 아닌, 장기적인 경제효과와 에너지 절약이라는 공익성까지 갖춘 새로운 목적의 SNS 개발을 의미한다.

ESCO Column 1 - 그린 빌딩 설계기법과 기술 - 친환경 건축의 바른 길

  • 최영호
    • ESCO지
    • /
    • 통권64호
    • /
    • pp.14-17
    • /
    • 2010
  • 친환경 건축물은 자연친화적인 건물을 실현해 사용에너지를 최소화하고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너지사용을 먼저 줄인 후 그 다음 신재생에너지로 필요한 에너지를 충당해야 한다는 것. 때문에 친환경 건축 설계기법으로 최적향 선택과 에너지효율화를 높일 수 있는 외피시스템, 고성능 단열재, 고 단열 창호, 폐열회수환기시스템 등이 거론되고 있다. 친환경 건축의 바른 길을 위해 숙지해야 할 요소를 짚어보았다.

  • PDF

자연채광 이용에 따른 조명에너지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ghting Energy Prediction by Using Daylight during Daytime)

  • 정유근;김정태
    • 태양에너지
    • /
    • 제11권2호
    • /
    • pp.9-19
    • /
    • 1991
  • 주된 사용시간이 주간인 사무소 건물에서 주광의 이용에 따른 연간 에너지 절약효과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주광의 효과적인 이용은 작업자의 쾌적감과 만족감을 증가시키면서 수적으로 작업성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주광의 이용여부는 건축설계의 기본요소들이 검토되는 초기설계단계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설계단계에서 주광의 이용에 따른 연간 조명에너지 절약률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평가도구로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노모그래프는 편측창 모델사무실을 대상으로 인공조명기구의 소등률과 조절방식에 따라 연간 조명에너지량을 예측할 수 있다. 이 노모그래프는 디자인 초기단계에서 유용한 자연채광 설계도구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친환경 병영시설 모델개발을 위한 설계요소 분석 (A Study on Design Technologies for Sustainable Army Barracks)

  • 박찬혁;조우석;강윤도;김병선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56-262
    • /
    • 2009
  • Purpose of this study is embody the environmental-friendly military facility model that applied renewable energy, passive design method and high efficiency equipment. In the introduction of this study, defined problem of existing military facility and classification of military facility are performed. Also, environmental friendly military facility is defined through classified by scale and building equipment method. In the renewable energy chapter, photovoltaic system and wind turbine system are considered And then, LED light, photovoltaic panel, motor, inverter are analyzed in the high efficiency equipment chapter.

  • PDF

학교시설 제로에너지인증제 시행에 따른 요소별 자립률 분석 (An Analysis of the Self-reliance Rate by Elemen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Zero Energy Certification System in School Facilities)

  • 맹준호;김성중;이승민;고현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1호
    • /
    • pp.19-28
    • /
    • 2021
  • 국토교통부는 신(新)기후체제 출범에 따라 건물부분의 에너지절약 및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앞당기기 위해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2014년 ZEB 조기활성화 방안을 발표 하였으며, 2016년 1월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을 개정하고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2020년부터 공공부문을 시작으로 2025년 까지 민간부문 까지 단계적 제로에너건축물을 확산시키기 위한 계획을 수립 시행중에 있다. 2020년부터 공공부분에 속하는 학교시설은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대상에 포함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시행에 따른 에너지요소별 자립률을 분석하고자 한다.

에너지 절약형 건축물 설계를 위한 대학 강의동 형태별 에너지 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An Energy Performance Comparison of University Lecture Facilities for Energy Saving Building Design)

  • 김태훈;서지효;추승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1호
    • /
    • pp.105-112
    • /
    • 2018
  •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are growing, and the importance of buildings with high energy consumption has been emphasized. In Korea,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been promoting the mandatory zero energy building since 2020, and guidelines related to the zero energy building have been developed. In addition, based on the "Energy-saving Design Criteria for Buildings" of the "Green Building Promotion Act" in Korea, the standards for energy-saving design are specified and the energy saving plan is written. Besides, the 'Energy-saving construction standards for eco-friendly houses' also specify insulation, machinery, equipment, and sunshade. Also, there is little consideration about the cost such as construction cost and material cost which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construction stage.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analysis of building type and energy performance versus materials for energy saving building design considering energy performance in planning aspect of initial design stage. In this study, because the variables can not be neglected in this study, it is selected as the lecture facility of the 'K' university campus building which can consider the remaining factors except the passive design element as the control variable, Energy performance analysis.

펌프 위치 선정 (배관내 압력분포)

  • 정진문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61호
    • /
    • pp.23-29
    • /
    • 1995
  • 열원기기와 공조기등을 연결하는 물배관식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며, 이는 배관의 기능 및 용도에 따른 각종 설계요소를 비롯하여 에너지 절약 측면 또는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배려등에 의하여 결정되어지고 있다. 그러면 강제순환 배관계통에서 장치내의 펌프위치는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한사례를 통하여 펌프가 열원기기의 전$\cdot$후에 설치되었을때 배관내의 압력분포도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가 간과하기 쉬운 펌프 위치선정에 대한 주의점 및 배관내의 압력분포에 대한 유의사항등을 알아 보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