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방출율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Development of Fatigue Performance Model of Asphalt Concrete using Dissipate Energy

  • Kim, Nak-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3
    • /
    • pp.39-43
    • /
    • 2010
  •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echanistic performance predictive model for fatigue cracking of asphalt-aggregate mixtures. Controlled-stress diametral fatigue tests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fatigue cracking of asphalt-aggregate mixtures.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for fatigue cracking was developed using the internal damage ratio (IDR) growth method. In the IDR growth method, the general concepts of the dissipated energy, the reference tensile strain, the threshold tensile strain, and the strain shift factor were introduced. The source of the dissipated energy in the fatigue test is from the intrinsic viscoelastic material property of an asphalt concrete mixture and the damage growth within the asphalt concrete specimen. In controlled-stress mode test, the dissipated energy is gradually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load applications.

Low I-coating with Ag thin film for display unit (Ag 박막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저방출 코팅)

  • 이장훈;손영배;유광림;황보창권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2a
    • /
    • pp.262-263
    • /
    • 2001
  • 저방출 코팅(low-e coating)이란 열 방출에 해당하는 적외선 파장이 가능한 작게 투과하도록 기판 위에 박막을 증착하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유리 기판 위에 저방출 코팅을 하는 것은 냉방시설을 갖춘 건축물 내부에서 에너지 절약과 쾌적한 환경을 구현하거나 자동차 내부의 빠른 온도상승을 저하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 조정 장치의 적외선 파장이 디스플레이의 광원에서 나올 수 있는 동일 파장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도록 적외선 영역의 투과율은 낮추고 가시광선 영역의 투과율은 높이는 설계를 하고 최적화 하였다. (중략)

  • PDF

Optical Gain of AIGaN/GaN DH at Room-Temperature (실온에서 AIGaN/GaN DH의 광학이득)

  • ;;H. Amano;I. Akasaki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11a
    • /
    • pp.97-97
    • /
    • 1994
  • Wide gap 반도체 중 하나인 GaN 에너지갭이 실온에서 3.4eV 이고 직접천이형 에너지대 구조를 가지므로 청색 및 자외영역의 파장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와 바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작에유용한 재료이다. GaN계 III족 질화물반도체가 다파장용 광원으로서 유망함을 보인 것은 1970년대 초방의기초적 연구이다. 이로부터 약 25년이 경고한 현재 청색발광다이오드가 실용화당계에 이르게 되었지만 아직까지 전류주입에 의한 레이저발진은 보고되고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ALGaN/GaN이중이종접합(DH) 구조의 광여기에 의한 유도방출과 광학적 이득을 측정하므로서 전류주입에의한 레이저발진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유기금속기상에피텍셜(MOVPE)법으로 성장한 ALGaN/GaN DH구조의 표면에 수직으로 펄스발진 질소레이저(파장:337.1nm, 주기:10Hz, 폭: 8nsec) 빔의 공출력밀도를 변화시키어 조사하고 시료의단면 혹은 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입상광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방출에 의한 발광피크보다 낮은 에너지에서 발광강도가 큰 유도방출에 의한 피크가 370nm의 파장에서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실온에서 유동방출에 필요한 입사공밀도의 임계치는 약 89㎾/$\textrm{cm}^2$이었다. 이는 GaN 단독층에 대한 유동방출의 임계치 700㎾/$\textrm{cm}^2$ 에 비하여 약 1/8정도 낮은 것이며, 이를 전류밀도로 환산하면 약 27㎄/$\textrm{cm}^2$ 정도로서 전류주입에 의하여서도 레이저발진을 실현할 수 있는 현실적인 값이다. 한편 광여기 방법으로 측정한 광학적 이득은 입사광의 밀도가 각각 100㎾/$\textrm{cm}^2$과 200㎾/$\textrm{cm}^2$일 때 34$cm^{-1}$ / 과 160 $cm^{-1}$ / 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GaN의밴드단 부근의 파장영역에서 AIGaN 흔정의 굴절율이 GaN의 굴절율보다 작으므로 DH구조의 채택의 의한 광의 몰입이 가능하여 임계치가 저하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광학적 이득의 존재는 이 구조에 의한 극단파장 반도체 레이저다이오드의 실현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 PDF

Microcracking of Motor Case with Fiberite 934/T300 Laminates under fatigue Loads (피로하중을 받는 Fiberite 934/T300 복합재료로 만들어진 연소관의 미세균열 연구)

  • 김형원;김성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 no.1
    • /
    • pp.82-88
    • /
    • 1997
  • The goal is to assess the effect of fatigue loading on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ite 934/T300 laminates of pressure vessel using the recent variational mechanics analysis. This analysis has been useful in providing fracture mechanics interpretation of matrix microcracking in cross-ply laminates. This paper describes using the new energy release rate analysis for a fracture mechanics based interpretation of microcrack formation during fatigue loading. The master plot by modified Paris-law gives a complete characterization of a material system's resistance to microcrack formation.

  • PDF

Ablation Effects of Er:YAG Laser at Various Energy Levels, Different Repetition Rates and Irradiation Time on Enamel (Er:YAG 레이저를 법랑질에 조사 시 에너지수준, 조사반복율 및 조사시간에 따른 삭제효과)

  • Lee, Sae-Yong;Kim, Ki-Su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4
    • /
    • pp.395-406
    • /
    • 2001
  • 지난 수십년동안, 다양한 레이저기기를 이용하여 치아 경조직에 대한 응용 실험을 수행되었다. 그러나, 발생한 주요한 문제는 열발생과 플라즈마 형성과 같은 부작용이 지속된다는 점이었다. 실망스러운 실험결과에 따라 치아 삭제에 대한 레이저의 응용에 대한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된 얼비움레이저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에너지 수준과 다양한 펄스빈도에서 법랑질의 삭제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레이저기기는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2.94{\mu}m$ 펄스를 $250{\mu}s$ 방출하는 얼비움야그레이저 기기이다. 기기의 에너지는 20 mJ에서 350 mJ까지 다양하게 방출하며, 최대 출력은 3.5 W이다. 22개의 치아를 에폭시 레진에 포매하고 경화하였다. 치아의 법랑질을 회전 다이아몬드 칼을 흐르는 물과 함께 사용하여 협측 또는 설측으로 평탄하게 삭제하였다. 제작된 법랑질표면은 6개의 구획으로 구분하여 에너지 수준과 펄스빈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표본 수는 132개이며, 삭제율을 조사하기 위한 모든 표본은 22개의 실험 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에너지 수준간에는 유의한 삭제율의 차이가 있었다. 2. 40 및 80 mJ로 조사한 경우에는 펄스빈도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120 mJ의 출력으로 동일한 에너지를 조사한 경우에는 20 Hz가 40 또는 80 mJ로 조사한 경우 보다 가장 삭제효과가 높았다. 3. 연속조사 한 경우 조사시간 경과에 따라 법랑질의 삭제율은 증가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으로 법랑질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에너지와 펄스의 레이저를 사용해야 하며, 또한 항상 정확한 초점거리를 유지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Initiation of Slip on Frictional Fractures (마찰 전단면의 전단거동과 에너지방출률)

  • Park, Chi-Hyu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0 no.5
    • /
    • pp.344-351
    • /
    • 2010
  • Slip along a frictional fracture can be approached as initiation and propagation of a mode II crack along its own plane. Fracture mechanics theories predict that under pure mode II loading initiation will occur when the energy release rate of the fracture attains a critical value ($G_{IIC}$), which is generally taken as a material property. For the past few years the rock mechanics group at Purdue University h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dependence of $G_{IIC}$ on normal stress and on the frictional characteristics of a fracture. A number of experiments has been conducted first on acrylic, a material that, using photoelastic methods, allows visualization of the stress field ahead of the fracture tip; and later on gypsum, a rock model material with relatively low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other frictional materials with higher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Direct shear tests have been conducted on specimens made with cement paste. New observations together with previous experiments indicate that $G_{IIC}$ can only be considered a material property when the peak friction angle of the discontinuity is similar to the residual friction angle; otherwise the critical energy release rate increases with normal stress.

Strain Energy Release Rate of Carbon/Epoxy Composite Material under Mixed Mode Delamination (혼합모우드 층간분리하에 있는 탄소/에폭시 복합재료의 변형에너지 방출율)

  • Yum, Y.J.;You, H.
    • Composites Research
    • /
    • v.12 no.3
    • /
    • pp.66-74
    • /
    • 1999
  • A modified mixed mode bending 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ixed mode delamination for carbon/epoxy composite material. Various mixed mode ratios could be produced by changing the applied load position on the loading lever and the bending load position on the specimen. The modified mixed mode bending test was analyzed to obtain strain energy release rates using beam theory, compliance method and finite element method, This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 which confirmed the validity of this test.

  • PDF

The Energy Release Rate of the Two Dimensional Cracked Body Under Thermal Stresses, Body Forces and Crack-Face Tractions (열응력, 내력 및 균열 경계하중을 고려한 2차원 균열문제의 에너지방출율)

  • 이태원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7 no.9
    • /
    • pp.2172-2180
    • /
    • 1993
  • Under general loadings, including body forces, crack-face tractions and thermal loading, the energy release rate equation for a two-dimensional cracked body is presented. Defining the virtual crack extension as the variation of the geometry, the equation is directly derived by a shape design sensitivity of the potential energy. Although the form of the derived energy release rate equation is different from other researchers's results, the three example show that the former is exactly the same as the latter. However, the final integral equation do not involve the derivative of the displacement on the crack surface and crack tip region, thereby improving the numerical accuracy in the computation of the energy relase rate. Moreover, as it was derived from the governing equation including non-linear elasticity without special assumptions, the energy release rate of a elasto-plastic fracture can be obtained and any numerical stress analysis method can be applied.

주요 양전자 방출 핵종의 생성반응 단면적 평가

  • ;Zhuang Youxi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157-162
    • /
    • 1998
  • 양전자 단층 촬영장치(PET)에 사용되는 주요 양전자 방출 핵종들의 생성 단면적을 평가하였다. 평가한 생성 반응들은 $^{14}$ N(p,$\alpha$)$^{11}$ C,$^{16}$ O(p,$\alpha$)$^{13}$N, $^{14}$ N(d,n)$^{15}$ O,$^{18}$ O(p,n)$^{18}$ F,$^{20}$ Ne(d,$\alpha$)$_{18}$ F 이며, 입사 입자의 에너지 범위는 반응 문턱 에너지부터 약 150 MeV까지이다. 또한 하전입자 범 모니터용 표준 단면적으로서 $^{27}$ Al에 d 및 $^3$He, $\alpha$가 반응하여 $^{22}$ Na가 생성되는 반응의 단면적들을 입사 에너지 약 120 MeV까지 평가하였다. 실험치를 fitting하게나 ALICE95 코드를 이용하여 이론적 계산을 수행하였는데, 평가 단면적의 표준 편차는 10-30%이다 이들 평가 단면적들은 가속기를 이용한 PET용 핵종의 생산율 계산 및 빔 모니터의 표준 단면적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nergy Distribution of Ion and Electron by Field Emission and Proppagation in a Diod Device) (전계에 의한 이온 및 전자의 방출과 전파에 따른 에너지 분포)

  • 조광섭;최은하;강승언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8.02a
    • /
    • pp.164-164
    • /
    • 1998
  • 전채 방출에 의한 이온 몇 전자는 현마갱 몇 마이크로 천자소짜 ( (micro-electronic device)둥에 용용봐 어 왔다. 또한 이 온 몇 천짜의 C Cathod- Anode의 Diode구조에셔의 운동역학이 주요한 환심사이다. 현미 청과 같이 접속율 요하는 장쳐들에셔는 이들의 에녀지 분포가 접속도에 칙첩영향을 주는 Chromatic Abberation을 컬갱하게된다. 그라고 Diode 에셔의 이온 몇 천짜의 운동 또한 에너져훈포에 대한 이혜률 근거로 한 다. 본 연구에셔는 전계에 의한 이온 및 전자의 방출구조(mechanism)률 소채한다. 또한 방출극 표면에셔의 이온 몇 전짜가 갖는 에너져 환포와 양극구조에셔 뱀이 천봐하는 과청에셔의 에너져 환포의 특생용 환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