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공급체계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Planning of Urban Energy Supply Systems Including Co-generation System (도시지역 에너지 공급체계 개선방안 검토 연구)

  • Woo, Nam-Sub;Lee, Tae-Won;Kim, Yong-Ki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2009.06a
    • /
    • pp.177-18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lanning of urban energy supply systems configuration and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system using combined heat and power system. Generally the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system has been known to one of the effective way for energy saving, cost reduction and demand side management of energy. Econom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and operating characteristics for some systems were examined in terms of GER factor which represents to the ratio of gas and electricity costs. Rates of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e $CO_2$ emission were compared from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energy supply system with new district cooling system with the conventional one.

  • PDF

EMS 및 SCADA와 전력계통운용

  • 김영한;이효상
    • 전기의세계
    • /
    • v.38 no.12
    • /
    • pp.32-36
    • /
    • 1989
  • 전력계통운용에서는 EMS 및 SCADA시스템은 이제 없어서는 안될 필수 불가결한 도구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력계통 규모의 확대와 전력계통 운용기술의 발달에 발맞추어 전력계통 제어시스템에 대한 여러단계의 현대화 과정을 통하여 아시아에서는 물론 세계적으로 진보된 에너지관리시스템을 설치하였으며 SCADA와의 계층제어체계를 수립하고 또한 현재 가능한 모든 신기술의 응용소프트웨어를 갖춤으로써 고품질의 전력을 안정되게 공급하는데 이 시스템이 크게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전력계통은 점차 더 복잡 다양하게 확대되어갈 것이고 수용가는 더욱더 고품질의 전력에 대한 안정적 공급의 요구가 증대되리라 여겨짐에 따라 전려계통 제어시스템도 전기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응용 기능 즉, 전압안전도를 고려한 상정사고해석, 신속한 사고복구를 위한 인공지능 복구제어 그리고 예방제어를 위한 신기술등을 보강해 나가야함은 물론 설비 측면에서도 전기 품질에 직접 영향을 주는 기상에 관한 신속, 정확한 예측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전력계통 기상정보시스템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 PDF

The Estimation Methods of Demand for Renewable Energy Workforce (주요 국가의 신재생에너지 분야 인력수요 전망체계)

  • Lee, Youah;Lee, Dongjun;Kim, Minj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38-138
    • /
    • 2011
  • 신 재생에너지 산업의 확대를 뒷받침하고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인력의 공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신 재생에너지는 기존 에너지원과 다르게 자국 내에서 생산 및 소비가 함께 이루어진다. 따라서 신 재생에너지의 확대는 국가의 일자리 창출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인력수요 전망을 위한 방법론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 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력수요 전망을 위한 연구를 실시한 호주와 미국 사례를 고찰하여, 국내 신 재생에너지 인력수요 전망을 위한 고려요인 및 전망 방법론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국은 기존화석에너지와의 인력수요 차이를 고찰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호주는 시나리오 기법을 통하여 미래 신재생에너지 보급상황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는 인력의 수요를 예측 하였다. 두 국가의 경우 신 재생에너지 부문의 인력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호주의 경우 2008년 기준으로 10천명이던 신 재생에너지 인력수요가 2020년 24천명~30천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연평균 16.7% 증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07년 500천명의 신 재생에너지 산업 인력이 재직 중이며, 신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2030년에는 7,300천명의 인력수요가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인력수요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 사례를 살펴보면 국가는 목적에 부합하는 기준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향후 신재생에너지 인력 증가에 대비하여 관련 인력양성 정책을 올바르게 세우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외 사례 고찰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국내 신 재생에너지 인력 수요 예측 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인력수요의 예측을 위해서는 현실적인 신 재생에너지 성장 시나리오의 설정이 요구된다. 미국의 사례와 같이 신 재생에너지와 재생에너지의 인력수요 차이를 비교하는 것도 신 재생에너지 인력수요를 정량화 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인력의 범위를 직종별, 학력별로 구체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재생 인력수요 전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구체화 해야 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Battery ESS Technology and its Effects for Generation Constraint (발전제약완화용 배터리 ESS 효과 분석 및 기술 적용)

  • Jung, Solyoung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v.7 no.1
    • /
    • pp.45-50
    • /
    • 2021
  • 우리나라 서해안 및 동해안지역에는 대규모 발전단지가 집중되어 운영 중이며 이 발전단지들의 발전력을 송전하고 있는 765kV 송전선로 2 회선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송전선로의 용량부족으로 인해서 수 GW 규모의 발전력을 불시에 탈락시키도록 보호체계(SPS, Special Protection System)가 운영 중이다. 이 SPS 가 동작하여 대규모 공급능력이 불시에 상실되면 급격한 주파수 하락이 발생하게 되어 저주파수계전기(Under Frequency Relay, UFR)가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SPS 탈락 발전기의 출력을 상시에 감소시키는 제약비발전(Constraint off)을 시행하고 있다. 이 제약비발전으로 인해 매년 수천억원의 제약비용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제약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를 적용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는 "발전제약완화 에너지저장장치(이하 발전제약완화용 ESS) 사업"으로 불리며 전국 19 개 변전소에 총 1.4GW(2C-Rate)의 에너지저장장치가 설치되는 국내 최대규모의 BESS 사업이다. 향후 송전망 확충에 의해서 발전제약이 해소되는 경우 주파수 조정용, 재생에너지 변동성 완화용 등의 다목적 ESS 로 활용될 계획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발전제약완화 ESS 사업의 기술적 효과를 실효치 기반의 시뮬레이션(PSS/E v33.3)을 통해서 검토하였다.

An Establishment of Commercial Grade Item Dedication Implementing System for Operating NPPs in Korea (가동중원전의 일반규격품 품질검증 이행 체계 구축 방안)

  • Yeom, Dong Un;Chang, Hee Seung;Song, Tae Young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3 no.2
    • /
    • pp.183-190
    • /
    • 2014
  • A Commercial Grade Item Dedication(CGID) for Korean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2. The CGID implementation and strategies for Korea are established as follows: CGID policy establishment, R&D of a specific methodologies of CGID, enrollment of third party organizations for CGID work, CGID program establishment for enrolled suppliers, establishment of training courses for certification, and CGID process development for quality class Q and A.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these activities are enable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the safety of components and/or parts in nuclear power plants.

A Study on the Analysis and Methods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Energy Database (국가 건물에너지통합관리시스템의 데이터 품질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Kim, Sung-Min;Yoon, Jong-Don;Kwon, Oh-In;Shin, Sung-Eu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5 no.1
    • /
    • pp.131-144
    • /
    • 2016
  • Damage occur frequently around the world on climate change and the main caus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regulation is growing. To this end, the government has buil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national building energy. The building energy information is total 6.8 million complex.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national building energy database are matched building registers information and energy information of the supply agencies. However, the matching process has its limitations so advanced work is in progress continuously. This study analyze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national building energy database quality and limitations and deduce improvement plan to increase system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The existing database matching average rate is 85.6%. 58.2% of the total non-matching data type has no building information. To ensure the ease of new database matching and the accuracy of the existing database matching, address standarization and building properties system are needed between building information and energy information. Also, The system construction is required to include information on other energy sources like petroleum energy which has high proportion of non-urban areas and small residential areas and renewable energy which has high potential i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Development of Wide Area Electric Energy Saving Management System for SMEs (광역 중소기업 전력 저감 관리 시스템 개발)

  • Cho, Hyun-Sang;Seo, Sang-Hyun;Kim, Yo-Hee;Jang, Hong-S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80-181
    • /
    • 2011
  • 에너지 절약 최적화를 위한 녹색 기술개발은 지속가능경제와 화석연료 사용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세계적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중소기업은 다양한 품목에서 자체적인 생산활동을 수행하며 대기업 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실질적으로 공급하고 전체 근로자의 85%이상을 고용하는 등 국가적인 부가가치 창출에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인적자원과 관리 인프라의 부족과 부재로 인해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를 통한 에너지 사용 절감을 위한 최적화 활동 수행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향후 직접적인 에너지 절감을 통한 원가 경쟁력 향상은 물론 향후 탄소 거래제와 생산 공정과 결과물에 대한 정량적인 탄소배출량 관리제도의 법제화에 대비하여 이러한 제한상황에 대한 해결안 제시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해안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전력저감센터에서 개발중인 중소기업을 위한 energy saving management system (ESMS)에 대해 기술한다. ESMS는 개별 공장에서 소비되는 전체전력과 대표 부하에서의 소비전력의 전력품질과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부하특성에 맞는 전력저감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자체적인 과거 소비전력 경향과 광역 공단의 전체 소비 데이터와의 비교 데이터를 통해 자체적인 전력 소비 현황 및 절감대책을 수립하도록 지원한다.

  • PDF

A Study on Deployment and Technology For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구축 동향 및 기술 연구)

  • Jung, Nam-Joon;Yang, Il-Kwon;Song, Jea-Ju;Kim,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956_1957
    • /
    • 2009
  • 전 세계적인 에너지 확보 위기와 $CO_2$ 과다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 문제에 당면한 현재의 전력산업이 다음 세기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해 가기 위해서는 에너지 효율 향상과 신 재생에너지에 바탕을 둔 분산전원의 활성화를 통한 환경과의 조화와 더불어 미래 디지털 시대의 에너지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IT기술과 전력기술의 융합을 통한 자동화되고 지능화된 전력시스템 즉, 스마트그리드로의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의 주요 분야 중에서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는 최종 전력 소비자와 전력회사 사이의 전력서비스인프라로,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 구현에 필수적인 핵심 인프라 시스템이며, 공급-수요 상호 인지 기반 수요반응(Demand Response) 실현을 위한 중요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분산전원체계, 배전지능화시스템 등과 정보 연계 등 미래 지능형 전력망 운용을 위해 요구되는 최우선 지능화 전력망 인프라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MI 시스템의 해외 구축 동향과 관련 기술 그리고 국내 적용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R&D Trends and Technology Development Plan on Portable Fuel Cell for Future Soldier System (미래병사체계를 위한 휴대형 연료전지 기술개발 동향 및 발전방안)

  • Lee, Yu Hw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6
    • /
    • pp.618-624
    • /
    • 2020
  • A portable power supply system for soldiers must be able to supply electric energy correspon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of combat support troops, and have a carrying load 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combatant's ability to execute operations. In particular, as the total required power of combat equipment increases with the advances in the future soldier system, a portable, lightweight power supply system with high efficiency is essential. A fuel cell has a high energy-to-weight density compared to lithium batteries, which are used mainly as a military power source system. Therefore, it is capable of miniaturization and lightweight, making active R&D to a portable power supply system.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el cell applied as a portable power supply system, and the R&D trends of domestic and foreign military portable fuel cell systems wer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technology compared to the level of foreign development was analyzed. In addition,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pla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consideration factors when developing a portable fuel cell (power supply stability, portability, and cost reduction) so that it can be used when establishing a plan on the development of a portable fuel cell system for the future soldier system.

A Study on Management Performance & Logistics Role of Japanese SOGO-SHOSYA in Energy Business (에너지 자원사업에서 본 일본 종합상사의 경영성과와 국제물류기능에 대한 연구)

  • Koo, Kyoungmo;Oh, Yongsi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8 no.3
    • /
    • pp.45-72
    • /
    • 2012
  • This work uses data associated with business activity and outcome on the five main SOGO-SHOSYA and considers meaning of its outcome and logistics function in energy business field in recent 10 years. The contents of this work embody three chapters, which are an investigation on advanced research, an analysis of SOGO-SHOSYA business outcome, logistics function in its energy business field, Research method are used by statistical analysi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nalysis as well as case study. We will search for the reason that the energy business has worked well lately. There are actively securing interests of energy exploitation and longer-term investment to affiliated companies, building supply chain system with internal and external businesses. Especially, we will account for the logistics role of SOGO-SHOSYA that has newly understood the international logistics function in energy business field. SOGO-SHOSYA has coordinated organizationally from upstream to downstream in energy business, is showing its abilities in midstream related features that involve investor, organizer and analyst. SOGO-SHOSYA's building up logistics function will help supply chain in energy business for rising the competitiveness of price and quality, and support cost-reducing in activities of supply ch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