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너지공급체계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3초

지열히트펌프 활용을 통한 전력계통 부하율 향상 및 CO2 감축 (CO2 emission Reduction and Load factor improvement of Power Systems, using Geothermal Source Heat Pump)

  • 이건우;이상중;양성덕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9-354
    • /
    • 2008
  • 2008년 8월 우리나라는 온실효과로 인한 기후변화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과 효율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세계 10위의 에너지다소비 국가이자, 그 중 97% 이상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나라로서 신재생에너지설비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일반적인 건물의 난방설비로 이용되고 있는 가스와 유류설비를 지열히트펌프로 대체함으로서, 전력계통의 부하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에너지비용 절감과 온실가스의 감축방안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중국의 원자력개발 계획과 한국 원전기술 수출의 효율적 추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inese NPP Development Plan and the Efficient Overseas Marketing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Technology)

  • 김현민;황정기;김민;정희종;조충희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9-65
    • /
    • 1996
  • 중국은 향후 2020년까지 1000MW급 경수로를 중점적으로 35기이상을 건설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 잠재시장이다. 따라서 현재 1000MW급 원전기술자립을 95% 확보한 한국은 중국 및 인근 아시아지역 원전건설 시장에서 외국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주도적인 참여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원자력기반기술이 우수한 중국과 한국은 한국형표준원전(KSNP)을 기본모델로 하여 중국 및 아시아의 원전건설에 적용할 표준원전(CSNP, ASNP)을 공동개발 하기 위한 협력체계 구성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이 원자력기술 수출국으로 위치를 확고히 하고, WTO 출범에 따른 원자력시장 개방화에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원자력 선진기술을 보유하고, 건설자금조달 및 사업관리 능력과 함께 폭넓은 해외협력 관계를 갖춘 세계적인 원전공급자(Nuclear Vendor)를 육성해야 한다.

  • PDF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분산자원과 전력변환장치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독립운전 (Microgrid Island Operation Based on Power Conditioning System with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for Smart Grid)

  • 허세완;박완기;이일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5호
    • /
    • pp.1093-1101
    • /
    • 2017
  • 스마트 그리드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 요소인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는 전력의 중앙 공급방식에서 벗어나 독립된 하나의 체계를 이룬다. 본 논문은 전력변환장치(Power Conditioning System)를 기반으로 마이크로그리드를 계통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독립시키고, 신재생 에너지원과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의 분산자원(Distributed Energy Resource)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독립 상태를 유지하고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계통의 위상검출과 동기화를 통해 계통에 연계하거나 독립 시에 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계통의 정전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직접부하제어시스템의 구성 및 운용방안 (Configuration and Application Scheme of Direct Load Control System)

  • 김형중;손학식;김인수;김영준;임상국;박종배;신중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627-629
    • /
    • 2003
  • 직접부하제어사업은 전력산업구조개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공급자원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강력한 수요관리프로그램 중의 하나로 정부에서 중점 추진중인 사업이다. 이미 선진국에서도 다양한 메커니즘에 의해 Demand Response Program과 같은 부하관리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전력수급 및 전력요금 안정화를 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1년도부터 동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에 주관기관으로서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직접부하제어를 위한 시스템 구성 및 운용방안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직접부하제어시스템은 크게 2단계로 구분되어지며, 상위시스템은 에너지관리공단에 설치 운영 중인 "전력부하관리센터(LMC)"와 민간 참여에 의해 운영 예정에 있는 "부하관리사업자시스템 (LSES)"으로 구성되며, 하위시스템은 "수용가용 직접부하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접부하제어시스템의 제어명령 체계 및 계량/정산을 위한 데이터처리방식 둥을 제시하여 본 시스템의 유용성 및 발전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전력수급안정화 대국민 의식실태 여론조사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통권428호
    • /
    • pp.24-31
    • /
    • 2012
  • 55.9%, 우리나라의 최근 전력소비증가율(2002~2010년)이다. 경제협력기구(OECD) 평균인 9.1%의 5배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원가 이하인 현재의 전기요금체계와 이로 인해 사회에 만연된 전력과소비, 이에 더해 일부 지자체 및 환경단체 민원 등에 따른 발전공급력 건설 지연, 효율적 에너지 소비행태의 미 정착 등은 수년 간 전력수급에 밝혀진 적신호를 좀처럼 바꾸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전기협회는 대국민 의식실태조사를 통해 최근의 전력수급상황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인식과 정서를 파악하고, 국민들이 원하는 전력수급안정화 지표를 추출하여 정책 참고자료로 제공하는 한편, 낭비요인 없는 효율적인 전력소비의 확산 등 안정적인 전력수급정책에 기여하기 위해 대국민 여론조사(15개 광역시 20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를 시행했다.

  • PDF

석유법령 변천사(3) - 제정(1970) 이후 1975.7.25(제1차 전면개정)까지의 석유관련법령

  • 여영섭
    • 석유와에너지
    • /
    • 통권289호
    • /
    • pp.48-59
    • /
    • 2013
  • 국내 석유시장이 더욱 확대되고 대한석유공사의 민영화, 정유사업자의 복수화 등 공급체계도 다양화되면서 유통구조가 복잡해 집에 따라 "대한석유공사법", 한미석유협정 "석유운영규정" 등 각종 석유관련제도를 종합정비한 "석유사업법", 1970.1.1 제정되어 같은 해 2.7. 시행되었다. 이후 시대의 변화에 따라 세 차례의 전면개정을 포함하여 '13.6.7.까지 총 36차례의 개정이 있었다. 1975.7.25.의 1차 전면개정은 석유파동 이후 국제석유시장에의 능동적대처 및 국내석유수급 안정을 위한 내용을 반영하였고, 1995.12.29의 2차 전면개정은 석유산업의 경쟁을 촉진하고 대외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석유산업 자율화의 제도를 마련하였으며, 2004.10.22.의 제3차 전면개정은 석유대체연료의 도입과 확산을 위한 제도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번에는 1970년 제정이후 1975.7.25. 1차 전면개정까지의 기간을 중심으로 석유시장의 주요 사건을 정리하였다.

  • PDF

원자력시설의 입지접근방식에 관한 고찰

  • 유해운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643-650
    • /
    • 1997
  • 경제성장과 생활향상에 따라 증가일로에 있는 전력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원자력발전소의 증설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여 정부는 이에 대한 중장기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원전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을 처분할 시설의 입지를 위해서도 수차에 걸쳐 노력을 하여왔다. 그러나, 1970년대에 건설이 이미 완료되었거나 건설을 착수한 것 외에는 원자력시설의 입지에 지금까지 성공한 것이 없다. 입지실패의 원인 중 하나는 그간 입지정책을 추진해 오는 과정에서 입지 접근방식에 대한 검토가 부족하여 입지전략이 제대로 수립되지 않았던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원자력시설을 입지시키기 위해 널리 활용되어 온 시설입지 접근방식들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여 시설입지에 대한 반발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원자력시설의 성공적인 입지에 첩경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성공적인 시설입지를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특정 접근방식에만 주안점을 둔 전략 모색은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고 입지추진단계와 절차 및 대상 등에 따라 세 가지 접근방식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전략을 모색하여야만 시설입지에 대한 반발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시설을 성공적으로 입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특허데이터 분석을 통한 천연가스 공급용 대규모 파이프라인을 위한 자립형 고효율 부식 방지 기술의 동향평가 (Trend Evaluation of Self-sustaining, High-efficiency Corrosion Control Technology for Large-scale Pipelines Delivering Natural Gas by Analyzing Patent Data)

  • 이종원;지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730-736
    • /
    • 2019
  •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고려되고 있는 천연가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와 동시에 천연가스의 공급을 위한 대규모 파이프라인의 시장 규모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규모 파이프라인의 부식은 천연가스 운송의 효율성을 저하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천연가스 공급용 대규모 파이프라인을 위한 에너지 자립형 고효율 부식방지 기술에 대한 특허의 정량분석을 통해 관련 기술의 특허권 확보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특허 기술동향 조사에서는, 2018년 6월까지 출원, 공개 및 등록된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 특허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전문가토의를 거쳐 기술분류체계 및 분류기준을 마련하였다. 천연가스 대규모 파이프라인의 부식방지를 위한 외부전원으로 연료전지를 이용하기 위해, 1) 파이프라인의 분기 구조와 설비 설계(감압기/압축기/열교환기) 그리고 2) 고압 천연가스의 감압/예열과 가압/냉각 기술을 구비하는 에너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으로 권리화를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운영시스템 설계 (Operation System Design of Distribution Feeder with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 김성만;장영학;김경훈;김슬기;문채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183-1194
    • /
    • 2021
  • 전통적으로 전력시스템은 공급체계의 말단에 있는 소비자의 위치에서 보면 중앙집중화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최근 수 십년간 지붕형 태양광, 영농형 태양광, 소형 풍력터빈, 배터리저장장치 및 스마트 가전품과 같은 분산에너지원의 등장을 보아왔다. 분산에너지원의 등장에 따라 배전계통 운전원의 역할도 확장된다. 확장된 분산전원의 진출은 배전망이나 송전망의 전통적인 계획과 운영에 영향을 주는 전력계통의 역조류와 예측성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는 전형적인 계통계획, 정비 및 망관리, 정전할당 등 배전계통 운전원이 갖는 기능이 변경되어야 할 필요성을 증폭시킨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중 분산전원을 갖는 미래 배전운전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안된 배전시스템 모델을 HILS로 구현 및 검증하는 것이다. 시험결과를 보면 제안된 배전시스템이 정상 영역에서 운전되고 배전선로 손실이 감소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산란계사료의 에너지수준 및 단백질공급체계에 관한 연구 (Effects of Dietary Energy Levels and Protein Feeding Systems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 이규호;이상진;김삼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9-147
    • /
    • 1989
  • 본시험은 산란계사료의 에너지수준이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며 대사에너지 수준(2,900, 2,600kcal/kg)과 산란초기, 중기 및 말기의 단백질공결체계(17-17-15%, 17-15-13%, 15-15-15%, 15-15-13 %, 15-13-13%)를 달리하는 10개 처리에 백색 레그흔종 산란계 960수를 공시하며 1987년 6월 50일부터 1988년 8월 22일까지 60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산란초기 및 중기의 산란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산란말기의 산란율은 감소하였고 난중은 차이가 없었으며, 사료섭취양은 감소하였고, 사료요구율은 초기와 중기에는 개선되었으나 말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산란kg당 사료비는 초기와 중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말기에는 증가하였고. 성계생존율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산란율과 난중이 증가하였으며, 사료섭취양에는 차이가 없었고, 사료요구율은 개선되었으며 산란kg당 사료비는 증가하였으나 성계생존율은 차이가 없었다. 3. 산란전기간의 생산성을 고러해 볼 때 대기에너지수준은 2,600kcal/kg, 단백질수준은 초기, 중기 및 말기에 각각 17, 15 및 13%가 적당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