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너지공급체계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5초

도시지역 에너지 공급체계 개선방안 검토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Urban Energy Supply Systems Including Co-generation System)

  • 우남섭;이태원;김용기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7-18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lanning of urban energy supply systems configuration and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system using combined heat and power system. Generally the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system has been known to one of the effective way for energy saving, cost reduction and demand side management of energy. Econom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and operating characteristics for some systems were examined in terms of GER factor which represents to the ratio of gas and electricity costs. Rates of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e $CO_2$ emission were compared from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energy supply system with new district cooling system with the conventional one.

  • PDF

EMS 및 SCADA와 전력계통운용

  • 김영한;이효상
    • 전기의세계
    • /
    • 제38권12호
    • /
    • pp.32-36
    • /
    • 1989
  • 전력계통운용에서는 EMS 및 SCADA시스템은 이제 없어서는 안될 필수 불가결한 도구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력계통 규모의 확대와 전력계통 운용기술의 발달에 발맞추어 전력계통 제어시스템에 대한 여러단계의 현대화 과정을 통하여 아시아에서는 물론 세계적으로 진보된 에너지관리시스템을 설치하였으며 SCADA와의 계층제어체계를 수립하고 또한 현재 가능한 모든 신기술의 응용소프트웨어를 갖춤으로써 고품질의 전력을 안정되게 공급하는데 이 시스템이 크게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전력계통은 점차 더 복잡 다양하게 확대되어갈 것이고 수용가는 더욱더 고품질의 전력에 대한 안정적 공급의 요구가 증대되리라 여겨짐에 따라 전려계통 제어시스템도 전기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응용 기능 즉, 전압안전도를 고려한 상정사고해석, 신속한 사고복구를 위한 인공지능 복구제어 그리고 예방제어를 위한 신기술등을 보강해 나가야함은 물론 설비 측면에서도 전기 품질에 직접 영향을 주는 기상에 관한 신속, 정확한 예측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전력계통 기상정보시스템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 PDF

주요 국가의 신재생에너지 분야 인력수요 전망체계 (The Estimation Methods of Demand for Renewable Energy Workforce)

  • 이유아;이동준;김민지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38-138
    • /
    • 2011
  • 신 재생에너지 산업의 확대를 뒷받침하고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인력의 공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신 재생에너지는 기존 에너지원과 다르게 자국 내에서 생산 및 소비가 함께 이루어진다. 따라서 신 재생에너지의 확대는 국가의 일자리 창출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인력수요 전망을 위한 방법론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 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력수요 전망을 위한 연구를 실시한 호주와 미국 사례를 고찰하여, 국내 신 재생에너지 인력수요 전망을 위한 고려요인 및 전망 방법론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국은 기존화석에너지와의 인력수요 차이를 고찰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호주는 시나리오 기법을 통하여 미래 신재생에너지 보급상황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는 인력의 수요를 예측 하였다. 두 국가의 경우 신 재생에너지 부문의 인력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호주의 경우 2008년 기준으로 10천명이던 신 재생에너지 인력수요가 2020년 24천명~30천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연평균 16.7% 증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07년 500천명의 신 재생에너지 산업 인력이 재직 중이며, 신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2030년에는 7,300천명의 인력수요가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인력수요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 사례를 살펴보면 국가는 목적에 부합하는 기준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향후 신재생에너지 인력 증가에 대비하여 관련 인력양성 정책을 올바르게 세우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외 사례 고찰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국내 신 재생에너지 인력 수요 예측 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인력수요의 예측을 위해서는 현실적인 신 재생에너지 성장 시나리오의 설정이 요구된다. 미국의 사례와 같이 신 재생에너지와 재생에너지의 인력수요 차이를 비교하는 것도 신 재생에너지 인력수요를 정량화 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인력의 범위를 직종별, 학력별로 구체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재생 인력수요 전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구체화 해야 할 것이다.

  • PDF

발전제약완화용 배터리 ESS 효과 분석 및 기술 적용 (Analysis of Battery ESS Technology and its Effects for Generation Constraint)

  • 정솔영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7권1호
    • /
    • pp.45-50
    • /
    • 2021
  • 우리나라 서해안 및 동해안지역에는 대규모 발전단지가 집중되어 운영 중이며 이 발전단지들의 발전력을 송전하고 있는 765kV 송전선로 2 회선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송전선로의 용량부족으로 인해서 수 GW 규모의 발전력을 불시에 탈락시키도록 보호체계(SPS, Special Protection System)가 운영 중이다. 이 SPS 가 동작하여 대규모 공급능력이 불시에 상실되면 급격한 주파수 하락이 발생하게 되어 저주파수계전기(Under Frequency Relay, UFR)가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SPS 탈락 발전기의 출력을 상시에 감소시키는 제약비발전(Constraint off)을 시행하고 있다. 이 제약비발전으로 인해 매년 수천억원의 제약비용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제약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를 적용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는 "발전제약완화 에너지저장장치(이하 발전제약완화용 ESS) 사업"으로 불리며 전국 19 개 변전소에 총 1.4GW(2C-Rate)의 에너지저장장치가 설치되는 국내 최대규모의 BESS 사업이다. 향후 송전망 확충에 의해서 발전제약이 해소되는 경우 주파수 조정용, 재생에너지 변동성 완화용 등의 다목적 ESS 로 활용될 계획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발전제약완화 ESS 사업의 기술적 효과를 실효치 기반의 시뮬레이션(PSS/E v33.3)을 통해서 검토하였다.

가동중원전의 일반규격품 품질검증 이행 체계 구축 방안 (An Establishment of Commercial Grade Item Dedication Implementing System for Operating NPPs in Korea)

  • 염동운;장희승;송태영
    • 에너지공학
    • /
    • 제23권2호
    • /
    • pp.183-190
    • /
    • 2014
  • 국내 가동중원전은 2012년 이후 일반규격품 품질검증 이행 체계 구축을 위해 정책 수립 및 기술 개발, 일반규격품 품질검증 전문기관 양성, 국내 원전 공급사들의 일반규격품 품질검증프로그램 보유 추진 및 원자력 산업계의 전문인력 양성 등을 적극 추진 중에 있다. 아울러 미국 전력연구소(EPRI)의 관련 기술기준을 기반으로 일반규격품 품질검증프로그램 도입 초기에 개발된 안전성(Q) 등급 품목 품질검증 프로세스를 개선하였고, 국내 원전 고유의 원자력 품질등급 체계인 안전성영향(A) 등급 품목을 위해 안전성등급 품목과 차별화시킨 별도의 검증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결과적으로, 위와 같은 노력을 통해 국내 가동중원전의 일반규격품 품질검증 이행 체계가 구축될 경우, 원전에서 사용하는 기자재의 신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 건물에너지통합관리시스템의 데이터 품질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Methods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Energy Database)

  • 김성민;윤종돈;권오인;신성은
    • 에너지공학
    • /
    • 제25권1호
    • /
    • pp.131-144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인 지구온난화 피해가 심각해지면서 주요원인인 온실가스에 대한 배출 규제가 확대되고 있다. 그 중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5%를 차지하는 건물분야에 대해 정부에서는 2020년까지 BAU 대비 26.9%까지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건물부문의 에너지 수요를 원천적으로 저감하는 녹색건축물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녹색건축물 활성화의 상세 이행계획 수립 및 관리, 그리고 시행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건물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 및 관련 통계 자료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전국 680만동의 건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하지만 현재 구축된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의 Database는 건축물대장 정보와 공급기관의 에너지정보를 매칭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수동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문제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Database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고도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과제는 현재 가동 중인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의 Database를 분석하여, 시스템의 한계 및 개선방안 도출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및 활용성을 증대 시키고자 하였다. 구축된 Database 분석 결과 건축물 정보와 에너지정보가 매칭된 유효데이터는 평균 85.6%이고, 미매칭된 데이터는 평균 14.4%로 나타났다. 미매칭된 데이터는 다시 건물 특성에 따른 미매칭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건축물 정보가 없는 경우가 전체의 58.2%에 달했다. 따라서 향후 신규 구축 data의 매칭 작업 용이성 및 현재 Database에 대한 정확성 확보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정보와 에너지정보 간의 주소 표준화 및 속성정보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도시지역 및 영세한 주거지역에서 사용비중이 높은 석유류 에너지원 및 향후 발전 가능성 및 활용 가능성이 높은 신재생 에너지와 같이 다른 에너지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광역 중소기업 전력 저감 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ide Area Electric Energy Saving Management System for SMEs)

  • 조현상;서상현;김요희;장홍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80-181
    • /
    • 2011
  • 에너지 절약 최적화를 위한 녹색 기술개발은 지속가능경제와 화석연료 사용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세계적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중소기업은 다양한 품목에서 자체적인 생산활동을 수행하며 대기업 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실질적으로 공급하고 전체 근로자의 85%이상을 고용하는 등 국가적인 부가가치 창출에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인적자원과 관리 인프라의 부족과 부재로 인해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를 통한 에너지 사용 절감을 위한 최적화 활동 수행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향후 직접적인 에너지 절감을 통한 원가 경쟁력 향상은 물론 향후 탄소 거래제와 생산 공정과 결과물에 대한 정량적인 탄소배출량 관리제도의 법제화에 대비하여 이러한 제한상황에 대한 해결안 제시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해안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전력저감센터에서 개발중인 중소기업을 위한 energy saving management system (ESMS)에 대해 기술한다. ESMS는 개별 공장에서 소비되는 전체전력과 대표 부하에서의 소비전력의 전력품질과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부하특성에 맞는 전력저감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자체적인 과거 소비전력 경향과 광역 공단의 전체 소비 데이터와의 비교 데이터를 통해 자체적인 전력 소비 현황 및 절감대책을 수립하도록 지원한다.

  • PDF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구축 동향 및 기술 연구 (A Study on Deployment and Technology For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 정남준;양일권;송재주;김영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956_1957
    • /
    • 2009
  • 전 세계적인 에너지 확보 위기와 $CO_2$ 과다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 문제에 당면한 현재의 전력산업이 다음 세기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해 가기 위해서는 에너지 효율 향상과 신 재생에너지에 바탕을 둔 분산전원의 활성화를 통한 환경과의 조화와 더불어 미래 디지털 시대의 에너지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IT기술과 전력기술의 융합을 통한 자동화되고 지능화된 전력시스템 즉, 스마트그리드로의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의 주요 분야 중에서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는 최종 전력 소비자와 전력회사 사이의 전력서비스인프라로,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 구현에 필수적인 핵심 인프라 시스템이며, 공급-수요 상호 인지 기반 수요반응(Demand Response) 실현을 위한 중요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분산전원체계, 배전지능화시스템 등과 정보 연계 등 미래 지능형 전력망 운용을 위해 요구되는 최우선 지능화 전력망 인프라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MI 시스템의 해외 구축 동향과 관련 기술 그리고 국내 적용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미래병사체계를 위한 휴대형 연료전지 기술개발 동향 및 발전방안 (R&D Trends and Technology Development Plan on Portable Fuel Cell for Future Soldier System)

  • 이유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18-624
    • /
    • 2020
  • 병사용 휴대형 전원은 전투원의 작전 수행 능력을 해치지 않는 범위의 휴대 하중을 지님과 동시에 전투장비의 소비전력에 대응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미래병사체계의 경우 전투장비의 고성능화에 따라 장비의 총 요구전력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경량 고효율 특성을 가지는 휴대형 전원 개발이 필수적이다. 연료전지는 군용 전원으로 주로 적용되던 종래의 리튬 전지에 비해 중량 대비 에너지밀도가 높아 경량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형 전원 시스템으로 활발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형 전원으로 적용되는 연료전지의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외 군용 휴대형 연료전지 개발 현황을 조사한 후, 국외 선진 기술국의 개발 수준 대비 국내 기술 현황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미래병사체계용 전원으로의 적용을 위한 휴대형 연료전지 개발 시 고려해야할 주요 요소를 전력 공급 안정성, 휴대 용이성, 비용 절감 세 가지로 분류하고, 이와 관련된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연료전지 기반 개인병사 체계용 휴대형 전원 기술 발전방안 수립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에너지 자원사업에서 본 일본 종합상사의 경영성과와 국제물류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Performance & Logistics Role of Japanese SOGO-SHOSYA in Energy Business)

  • 구경모;오용식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5-7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 일본의 5대 종합상사의 경영활동과 경영성과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자원사업에서 나타난 경영성과의 의의 그리고 에너지 자원사업에 있어서의 국제물류기능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으로는 선행연구 분석, 종합상사의 경영성과 분석, 에너지 자원사업의 국제물류기능에 대한 분석으로 구성된다. 분석방법으로는 회계 및 재무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과 조직분석, 사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일본 종합상사가 2000년대 10년간 에너지 자원사업에서 성공적으로 높은 매출 성장과 순이익을 달성한 사실을 밝힌다. 종합상사의 에너지 자원사업부문의 성공은 자원보유국에 대한 적극적 개발권익 확보와 국내외 관련회사에 대한 장기적 투자, 관련회사간의 공급연쇄체계 구축이라는 기업노력에서 성공 이유를 찾을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에너지 자원사업의 수직적 통합에서 국제물류기능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국제물류의 사업투자에 힘을 쏟는 종합상사의 역할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종합상사는 에너지 자원사업의 하류영역에서 상류영역에 이르는 비즈니스를 유기적으로 조직화하여 왔고, 최근 중류영역에서도 종합상사의 조직화기능, 투자사업기능, 정보 분석 및 제공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다. 종합상사의 국제물류기능의 강화는 에너지 자원의 생산, 물류, 유통판매에 이르는 비용을 통제할 수 있어 상품의 가격과 품질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