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엉덩관절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6초

태권도 돌려차기 동작의 운동학적 협응 및 제어과정 (The Process of the Kinematic Coordination and Control of Dollyochagi Motion in Taekwondo)

  • 윤창진;채원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5-104
    • /
    • 2008
  • 본 연구는 남자 중학교 초보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태권도 돌려차기 동작의 숙련정도에 따른 운동학적 협응과 제어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용된 변인은 최대합성직선속도와 각도 대 각도 도면이었다. 분석결과, 연습후기로 갈수록 인접한 분절간의 운동량 전이가 잘 이루어져 각 분절의 최대합성직선속도가 증가하였으며 무릎관절 최대굴곡 시까지는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이 동형동조 협응형태로 변해갔으며, 최대굴곡 후 타격 시까지는 모든 숙련 단계에 있어서 이형동조 협응패턴을 나타내었다. 발목관절은 무릎관절 최대굴곡 시까지 배측굴곡 상태에서 저측굴곡으로 변했으며, 최대굴곡 후 타격시점까지는 발목관절은 고정시키고, 무릎관절은 신전시키는 자유도 고정 제어기전을 나타내었다.

U-12 유소년 축구선수의 운동수행력 및 의학적 평가 (Evolution of Exercise Performance and Medical Assessments in U-12 Youth Football Players)

  • 서상원;이호성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6권5호
    • /
    • pp.665-677
    • /
    • 2017
  • 이 연구는 U-12 유소년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운동수행력과 의학적 평가를 상세히 분석한 후에 축구를 통한 운동수행력의 변화 및 의학적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소년 축구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교 선수를 유소년 축구선수 집단(Youth football players group; YFG, n=15; $11.2{\pm}0.9$ 세)과 축구를 하지 않는 건강한 일반 유소년을 통제 집단(Control group; CON, n=15; $11.5{\pm}0.6$ 세)으로 각각 분류하여 운동수행력(건강관련 체력, 운동관련 체력, 기능적 움직임 및 동적 균형) 및 의학적 평가(하지정렬, 관절가동범위 및 도수근력검사)를 측정하였다. 왕복 오래달리기, 50-m 달리기, 눈 감고 외발서기, 능동적 하지직거상, 회전 안정성 및 비주측의 종합점수는 CON과 비교해서 YFG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하지정렬에서 주측 및 비주측의 Q각, 관절가동범위에서 비주측의 발목관절 발등굽힘, 주측 및 비주측의 발목관절 발바닥굽힘, 도수근력검사에서 주측의 엉덩관절 폄 및 벌림, 무릎관절 굽힘 및 폄, 비주측의 무릎관절 굽힘 및 폄은 CON과 비교해서 YFG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U-12 유소년 축구선수는 부분적으로 운동수행력은 우수하게 나타났지만, 의학적 평가에서는 부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이 드랍랜딩점프 동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in Drop Landing Jump)

  • 홍수연;장영관;김진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23-429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진동운동(whole body vibration exercise)이 드랍랜딩점프(drop landing jump) 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으로 진동운동그룹(n=5, VEG, Vibration Exercise Group)과 단순운동그룹(n=5, OEG, Only Exercise Group)을 4주 동안 트레이닝 시킨 후 운동 전과 운동 4주 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방법 3차원 영상 데이터는 10개의 적외선카메라(Vicon, UK)를 샘플링 율, 100 Hz.를 사용하여 획득하였으며, 하지 관절의 파워는 2대의 지면반력기(AMTI, USA)를 샘플링 율 1000Hz.로 데이터를 획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무게중심의 변동성은 하강국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 점프 후 착지 시 상해위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동운동그룹은 훈련기간에 관계없이 단순운동그룹보다 점프높이가 증가하였다. 셋째, 운동그룹간의 관절파워가 4주 훈련 후 엉덩관절 P1(굴곡)과 무릎관절 P2(신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훈련기간에 따른 하지의 관절파워는 모든 국면과 운동그룹에 관계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훈련기간에 관계없이 진동과 운동을 병행한 진동운동그룹이 운동만을 수행한 단순운동그룹보다 점프높이에 증가를 가져왔으나 점프높이와 하지의 관절 파워와의 일관성 규명할 수 없었다.

무릎 과다 폄을 가진 대상자에게 비대칭 선 자세가 무릎 관절 위치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the effects of asymmetric standing posture on knee joint position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in subjects with hyper-extended knee)

  • 정성훈;하성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63-68
    • /
    • 2019
  • 무릎 과다 폄을 가진 대상자에게 비대칭적 선 자세와 같은 외부적 요소가 추가되게 되면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체중 지지가 더 증가하게 되며, 무릎 뒤쪽 구조들의 과신장이 유발된다. 이는 무릎 과다 폄 변형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앞 십자인대와 같은 무릎 주변 연부조직의 변형 및 손상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비대칭적 선 자세가 무릎 관절의 위치와 하지 근육의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33명의 자발적 참여대상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총 60개의 다리에 대하여 무릎 과다 폄군, 정상군으로 나누어 하지근육의 근 활성도 및 무릎 폄 각도를 측정하였다. 비대칭적 선 자세 시, 무릎 관절 폄 각도와 장딴지근의 근 활성도 값은 정상군과 무릎 과다 폄 군 사이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를 토대로 비대칭적인 선 자세가 무릎의 과다 폄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무릎 정렬에 이상을 가진 대상자들에게는 정상적인 정렬 회복과 함께 대칭적인 선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치료적 중재 수립에 도움을 줄 것이며, 추후 엉덩관절과 발목관절의 영향을 포함한 조사연구가 필요하겠다.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작 시 발목관절과 엉덩관절 각도 변화에 따른 넙다리네갈래근 근활성도 변화 (Changes in Muscle Acvity of the Quadriceps Femoris with Changes in the Ankle and Hip Joint Angles During a Sit-to-Stand Movement)

  • 윤상혁;이민형;김종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14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changes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quadriceps femoris with changes in the ankle and hip joint angl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sitting to standing. Method : Twenty-five healthy 20-30-year-old wo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ubjects performed standing-up movements in four positions: standard posture (hip = $90^{\circ}$/ankle = $0^{\circ}$); posture on a decline board (hip > $90^{\circ}$/ankle < $0^{\circ}$), posture on a footboard (hip > $90^{\circ}$/ankle = $0^{\circ}$); and posture on a decline board with a higher chair (hip = $90^{\circ}$/ankle < $0^{\circ}$). Then, the muscle activities of the rectus femoris,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were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Result : The muscle activities of the rectus femoris,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in the footboard appli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application of the decline board with a higher chair.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flexion of the hip joint has a greater effect than the plantar flexion of the ankle joint on the muscle activity of the quadriceps during a sit-to-stand movement.

일어서기 동작 시 시상면 골반 기울임이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의 운동형상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gittal Pelvic Tilt on Kinematic Changes of Hip and Knee Joint During Sit-to-Stand)

  • 임인혁;최보람;김현숙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37
    • /
    • 2011
  • Al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related to the body's movement from a sitting to a standing position (sit-to-stand task),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on the kinematic changes on the frontal and transverse pla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how pelvic tilt affects kinematic changes in the frontal and transverse planes in the hip and knee joints during a sit-to-stand task. For this study, 33 healthy participants (13 female) were recruited. Each participant rose from a sitting to a standing posture at his or her preferred speed for each of three different pelvic tilt trials (anterior, posterior, and neutral), and the measured angles were analyzed using a 3-D motion analysis system. A one-way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with Bonferroni's post hoc test. In addition, an independent t-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ex differences in hip and knee joint kinematic changes during the sit-to-stand tas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ip and knee joint angle in the frontal and transverse plan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t pelvic tilt postures during sitting in the pre-buttock lift-off phase (pre-LO) (p<.05). Compared to the posterior pelvic tilt posture, the anterior pelvic tilt posture involved significantly greater hip joint adduction and internal rotation, knee joint adduction, and reduced internal rotation of the knee joint. 2) Sex differences were foun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for males in the initial and maximal angles in the frontal plane of the hip and knee joint (p<.05). Females had a significantly smaller initial abduction angle of the hip joint and a significantly greater maximal angle of the hip adduction joi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ecting a sit-to-stand exercise for pelvic tilt posture should be considered to control abnormal movement in the lower extremities.

무릎 골관절염이 있는 여성 노인들에게 테이핑을 적용한 엉덩관절 벌리기 운동 홈 프로그램이 통증과 대퇴사두근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ping on a Home Program of Hip Abductor Exercise on Pain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in Elderly Women with Knee Osteoarthritis)

  • 최진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1-6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aping on a home program of hip abductor exercise on pain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during knee joint osteoarthritis. METHODS: The subjects were 24 elderly women aged over 65 years with knee joint osteoarthritis. Twenty-four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12.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he control group underwent a home program of hip abductor exercise,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taping applied to a home program of hip abductor exercise. The measurement factors were knee joint pain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Knee joint pain was measured using the VAS, while quadriceps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using the 1RM method. RESULTS: Changes in pain following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from $4.83{\pm}.72$ to $3.92{\pm}.67$ in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changes in pain following intervention were reduced significantly from $4.67{\pm}.78$ to $3.25{\pm}.45$.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pain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muscle str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as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and muscle strength between groups post intervention (p<.05). CONCLUSION: In the elderly women with knee osteoarthritis, the home program of hip abductor exercise will be a good intervention, and taping will be applied as an intervention program for better osteoarthritis.

스탠스 폭에 따른 신체 좌우 이동의 교육단서 제공을 위한 운동역학적 분석 (Kinetic Analysis for Providing Education Cues on Left and Right Maneuvers of Body by Stance Width)

  • 이동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56-56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탠스 폭에 따른 신체의 좌우방향 이동에 대한 동작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남자 대학생 7명(평균 신장 $174.9{\pm}4.8cm$, 평균 체중 $70.9{\pm}6.6kg$)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을 위해 고속카메라 9대와 지면반력기 2대가 이용되었으며, 두 가지의 스탠스 폭은 좁은 보폭(평균 42.9cm)과 넓은 보폭(평균 65cm)으로 제한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좁은 보폭이 양발이 착지 후 오른발이 이지하는 순간까지, 즉 추진 구간의 소요시간에서 유의하게 짧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둘째, 스플릿 스텝 후 오른발 이동 변위는 좁은 보폭이 유의하게 길게 나타났다. 셋째, 신체무게중심 속도는 오른 발 이지 시와 최대 속도에서 두 보폭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오른발 이지시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의 각도는 좁은 보폭의 각도가 유의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오른발 이지시 지면반력 값은 두 보폭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네발기기자세에서 어깨관절과 엉덩관절의 각도 변화에 따른 근 두께 변화 (The change of muscle thickness in accordance with angle of shoulder joint and hip joint at the Quadrupedal position)

  • 한종만;김금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34-939
    • /
    • 2014
  • 본 논문은 네발기기 자세에서 사지의 각도 변화에 따른 몸통 근육들의 두께를 알아보고 근육활성의 차이를 비교하여 네발기기에서 행하는 척추 안정화를 위한 효과적인 자세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건강한 대학생 29명으로 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배가로근과 배속빗근,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을 측정하였다. 근육의 두께측정 및 디지털 영상분석을 위한 초음파 영상 수집은 초음파 영상장치(Mylav25gold, Esaote, Italy)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왼쪽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 배가로근 간 두께 변화와 오른쪽 배가로근의 두께 변화에 각도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근육활성의 정도와 몸통 근육들을 활성화하기 위해 네발기기자세에서의 운동이 각도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인다는 것을 나타낸다.

치료적 운동이 축구 특이적 골반 앞 기울임을 가진 유소년 축구선수 엉덩관절의 관절가동범위, 도수근력, 기능적 움직임 및 방사선학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증례보고 (Effects of Therapeutic Exercise on Hip Joint Range of Motion, Manual Muscle Test, Functional Movement Screen and Radiological Evaluation in a Youth Football Player with Football-specific Anterior Pelvic Tilt: A Case Report)

  • 유동훈;서상원;이호성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85-94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rapeutic exercise on range of motion (ROM), the manual muscle test (MMT),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and radiological evaluation in a youth football player with football-specific anterior pelvic tilt (APT). METHODS: The subject of this case report was a 12-year-old youth football player, who presented with football-specific APT. Therapeutic exercise consisted of hamstring stretch, prone hip extension, abdominal crunch, bridging with isometric hip abduction, plank exercise with posterior tilt and posterior pelvic tilting exercise using a swiss-ball for 40 min/day, twice a week for 8-weeks. ROM, MMT, FMS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leg raise, rotary stability and trunk stability push-up) and radiographs (lumbar lordotic and sacral horizontal angle)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week 8 of therapeutic exercise. RESULTS: The ROM, MMT, and FMS increased and the lumbar lordotic angle and sacral horizontal angle improved after 8-weeks of therapeutic exercis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case report suggest that therapeutic exercise improves ROM, MMT and radiography associated parameters in youth football players with football-specific APT. These findings have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exercise in youth football players with football-specific A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