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업무 프로세스

검색결과 1,180건 처리시간 0.032초

건설기업 BPM 구현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 기반의 업무지원 시스템 연계모델에 관한 연구 -공정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A study of relevant model o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business process for embodying BPM on construction company)

  • 이정우;송영웅;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13-27
    • /
    • 2009
  • 최근 건설기업은 글로벌 기업경쟁 환경과 수주경쟁 속에서 업무 효율성 증대를 위한 프로세스 경영체제에 대한 노력이 요구된다. 건설기업은 1990년 이후 프로세스 중심의 내 외부 업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세스 경영기법이 도입되었으나, 그 효과는 일부 개선된 기능획득에 머물고 있다. 또한, 업무 프로세스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업무지윈 시스템들이 개발되었으나, 기능위주의 개별적 구축과 입 출력 정보 및 데이터 흐름에 초점을 둠으로써 업무프로세스 관리와 정보기술의 지원이 분리되는 업무-IT 분리현상(Business-IT divide)이 발생되었다. 본 연구는 업무-IT 분리현상의 개선 방법론으로서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을 구현함으로서, 업무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업무지원 시스템의 연계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건설기업의 지속적인 프로세스 관리를 지원하며, 프로세스 수행시 요구되는 업무조건(참여주체, 업무정보, 업무지원 시스템의 기능)들을 연계함으로서 업무효율성 향상이 기대된다. 이를 위해 업무-IT분리현상으로 인해 건설기업의 업무 수행상 발생되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연계모델의 개념과 아키텍처를 구성하였다. 연계모델의 구현을 위해 공정관리 업무의 전체 종 단간 업무프로세스를 분석하여 BPA(Business Process Architecture)를 작성하였으며, 각 업무 프로세스의 업무조건들을 상세분석하여, 건설기업의 주요 13개 업무지원 시스템의 주요기능과 연계하였다. 연계된 내용을 바탕으로 PDCA분석과 CRUD분석을 통해 업무 프로세스 기반 업무지윈 시스템 연계모델을 개발하였다.

프랜차이즈 업종의 기업간 협업 프로세스 표준모델개발 (Development of Process Model for Business Collaboration of Franchise Industry)

  • 박승규;문신명;배승호;홍정완;임춘성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780-791
    • /
    • 2003
  • 최근 다양한 업무형태가 등장함에 따라 특정업종이나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간 비즈니스에 대란 정보시스템 구현 및 업무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을 통한 혁신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체계의 도입 및 구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기업이 해당 업무의 정보시스템 구현과 업무의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현행 업무프로세스에 대한 표준화가 중요란 사항이나, 현재 기업간 업무에 대해서는 이를 뒷받침 해줄 수 있는 프로세스 및 데이터의 분류와 분석을 위한 통합화, 표준화 작업이 부족한 상태이며, 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업종별 핵심 기능 프로세스에 대란 표준화와 개발 분야도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보편적으로 기업간 업무가 많이 발생하는 유통 분야의 경우 이러한 업종내 업무프로세스의 표준을 체계화 하는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최근 매우 활성화 되고있는 프랜차이즈 산업의 경우 프랜차이즈 비즈니스의 특성상 경영효율을 높이기 위해 본사의 관리 통제 하에 운영되고 있으며, 상품도 본사에 의해 통일적, 정형적으로 기획되는 둥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특유의 경영 특질을 갖고 있다. 그러나 업무에 대란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프랜차이즈를 운영한다면 본사차원에서는 오히려 인원과 경비만 늘어 프랜차이즈의 가장 큰 장점인 다점화의 장점이 없어지게 되고, 프랜차이즈 사업을 하고자하는 가맹점 입장에서도 프로세스의 차이와 비표준에서 오는 혼란인 많아 이를 쉽고, 체계적으로 접근 딸 수 잇는 표준 프로세스 작업의 필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편적으로 기업간 업무가 많이 발생하는 유통 분야의 프랜차이즈 산업을 대상으로 기업정보시스템 구현 및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기업간 프로세스 협업(collaboration) 부분의 데이터 및 서식, 이를 취급하는 기능과 프로세스에 대란 분석을 통해 업무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론과 관련한 모델링 지침 및 메타모델을 이용한 표준 업무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여 기업간 업무 프로세스 표준화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에 대한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개인학습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PSP 방법론 활용 (Application of the PSP methodology to personal learning process)

  • 김태일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8-283
    • /
    • 2007
  • 최근 I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조직의 업무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세스 개선 연구와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프로세스 개선 활동이 기대만큼의 성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조직의 프로세스 개선 노력이 개인의 업무 수행 역량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조직의 성과는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개인의 성과로부터 기인한다. 그러므로 조직의 업무 프로세스 개선노력이 보다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개인의 업무 프로세스 개선 노력이 병행되어야 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학습 체계와 성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개발자의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개선하기 위한 PSP 방법론(Personal Software Process)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PSP 방법론을 활용하여 일반 사무 근로자의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 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대학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개인 학습 프로세스 개선 방법과 성과 측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제약이론을 활용한 업무프로세스의 효율적 실행 방법 (Efficient Execution Method for Business Process Management using TOC Concepts)

  • 이승현;배혜림;원형준;김훈태;강석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80
    • /
    • 2005
  • 업무프로세스관리(BPM) 시스템은 업무프로세스의 효율적인 실행, 통제 및 관리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서, 복잡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그러나, 상용시스템은 주로 프로세스의 자동화에 초점을 두고 있어 프로세스와 업무참여자 관점에서 효율적인 관리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BPM 시스템은 프로세스 참여자와 전체 프로세스 효율성 향상의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업무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업무참여자의 업무부하를 고려하여 전체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방식으로서, 프로세스 참여자원 가운데 가장 큰 제약요소를 집중관리한다. 이러한 방식은 경영혁신이론으로 알려진 제약이론(Theory of Constraints)의 DBR (Drum-Buffer-Rope)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DBR 방법론을 활용하기 위해 우선, 업무프로세스와 DBR의 주적용모델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업무프로세스에 적합한 드럼, 버퍼, 로프를 개발한다. 이를 토대로, 업무참여자의 업무부하와 프로세스 인스턴스 발생 패턴을 통제하는 BPM만의 DBR 방법론(BP-DBR, Business Process-DBR)을 제안한다. BP-DBR은 업무참여자의 업무환경과 전체프로세스의 효율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기대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기존 BPM의 프로세스 관리방법과 제안한 방법의 효과를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비교한다.

  • PDF

업무 환경의 디지털 전환에서 업무 특성, IT 특성, 조직 특성이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rocess, IT,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n Business Process Virtualizability)

  • 풍일척;권순동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119-142
    • /
    • 2022
  • 조직은 물리적 환경에서의 업무 처리를 정보시스템과 인공지능 기반의 가상적 업무 처리로 디지털 전환함으로써 업무수행에 따른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경쟁력을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업무 환경의 디지털 전환은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많은 조직이 원격근무를 실시하면서 급진전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급격한 업무 환경의 디지털 전환이 가져온 성과인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은 가상환경에서의 업무처리의 적합성이나 수월성과 같은 결과적 품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가상화 이론에 근거하여 업무 특성과 IT 특성과 조직 특성이 업무 프로세스 가성성에 미치는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가상 환경에서 원격근무를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첫째, 업무 특성 측면에서 감각적 요구는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관계적 요구, 동기화 요구, 식별제어 요구는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IT 특성 측면에서 표현력과 도달력은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직 특성 측면에서 근무 자율성은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평가 불공정성은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IT의 표현력과 도달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직무 자율성은 다음이며, 감각적 요구는 영향이 가장 낮음을 규명함으로써 업무 프로세스 가상화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맵을 이용한 시스템 요구 분석 방안 연구 (Requirements Analysis based on Business Process Knowledge for Requirements Engineering)

  • 나정은;송주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07-210
    • /
    • 2004
  • Waterfall 모델에서의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요구 사항을 정의하고, 이것이 다음 단계의 input 이 되어 개발자에 의해 작업이 진행되는 개발 양식을 따른다. 시스템 요구 사항을 정의할 때에, 프로세스 관점에서 사용자 업무를 이해하고, 이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시스템과의 관계를 정의하여 요구 사항으로 함께 정의한다면, 단순한 시스템의 기능을 정의하여 개발하는 것 보다 시스템의 사용 목적을 이해하고 개발하게 됨으로써, 더 만족도 높은 시스템으로 개발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스 관점에서 이해하고 정의하는 시스템의 요구 사항은 시스템 보수 작업(Maintenance)시에도 시스템의 상황이 현재 업무 프로세스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파악하기 용이하고, 테스트 단계에서도 테스트 조건이나 테스트 시나리오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새로운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에게도 시스템 개발 요구 사항에서 정의된 업무 프로세스 맵(Map)이 관련 업무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재 활용 될 수도 있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에서 사용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맵핑(Mapping) 기술을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에 적용하여, 요구 분석 단계에서 사용하는 분석 도구로서의 응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건설기업의 전략지원을 위한 BPM 우선적용 프로세스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How to Decide the Priority on Selecting Business Process for BPM to Attain Strategic Goal of Construction Company)

  • 이두희;송영웅;임형철;박태근;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6-28
    • /
    • 2010
  • 건설 산업은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수주중심의 산업적 특성상 정형화된 프로세스로 구축하여 운영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에 건설기업의 동적인 업무 변화 특성 수용과 업무개선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의 도입이 대형 건설업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BPM의 특성과 기업의 고유 전략이 상이하기 때문에 일괄적인 적용은 어렵다. 이에 건설 산업의 특성과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기업이 추구하는 비전과 목표에 부합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우선 선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고찰을 통하여 BPM 우선 적용 대상 프로세스 선정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건설기업 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해서 건설기업의 BPA를 구축하였다. 국내 건설기업의 전략목표 우선순위 파악을 통하여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도출된 수익성과 성장성의 관점에서 핵심 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또한 BPM 적용대상 프로세스 평가 기준을 6가지로 제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핵심 업무 프로세스를 평가하여 BPM 우선 적용 대상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건설분야 BPR 수행을 위한 프로세스 모형화 기법 연구 (A Study of Process Modeling Method for Construction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 곽중민;박서영;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80-88
    • /
    • 2010
  • 국내외 건설분야에서는 건설CALS 구축 등의 건설정보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이러한 건설정보화는 전산시스템 구축 자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반면, 건설업무의 업무프로세스 재설계 등의 분야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건설업무 절차구성을 위한 체계화된 프로세스 개념을 도입한 전산화 방법론 및 특화된 프로세스 모형화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BPR의 건설분야 적용성 확보 및 정보화기술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건설업무 프로세스의 구축을 위한 건설업무 BPR 방법론과 업무프로세스 모형화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제시된 모형화기법은 웹기반의 프로세스 모형화시스템으로 개발하여 실제 프로젝트의 적용을 통해 활용성을 검증한다.

기술연재(2)-고객관계관리(CRM) 특강

  • 한재홍;전용준
    • 디지털콘텐츠
    • /
    • 10호통권77호
    • /
    • pp.62-69
    • /
    • 1999
  • 업무 프로세스와 조직이 변하기 전에는 고객관계관리(CRM)는 실질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RM은 도구라기보다는 새로운 업무 수행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떤 식으로 업무 프로세스와 조직이 변화해야 할 것인가? 이번 호에서 생각해보는 주제는 CRM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와 조직의 변화이다.

  • PDF

BPM에서의 업무효율성 향상을 위한 포괄적 접근법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for Enhancing Business Process Efficiency)

  • 이승현;조남욱;배혜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3-87
    • /
    • 2007
  • 세계 주요 기업들을 중심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보다 표준화하고, 명확화하려는 움직임이 어느 때보다 두드러지고 있다. BPM은 이러한 시도를 구현할 수 있는 적합한 도구로서 주목받고 있다. 최근 BPM으로 구현된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 효율성을 크게 프로세스 엔진과 업무담당자 관점에서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프로세스 엔진 관점에서는, 엔진이 사용자에게 업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달하는지 바라본다. 업무담당자 관점에서는, 전달된 업무를 각 업무담당자가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각 단계에서만 효율성을 고려해왔던 과거 연구와는 달리, 두 단계에서 모두 효율적일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며, 이를 실험을 통해 유효성을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