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업무 연속성

Search Result 15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BCMS-based Case Study of COVID-19 Pandemic Response : Focusing on Electric Energy Utility Company (BCMS 기반 코로나19 감염병 대응사례 연구: 전력에너지 공기업 중심)

  • Lee, Seung-Kyun;Kim, Duck-H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75-177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업무연속성계획의 가동 경험을 분석하여 체계를 개선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을 일으킨 대유행병으로,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 업무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력에너지 공기업은 위기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필수 대응 사례를 분석하여 업무연속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근무환경 분리, 핵심인력 확보, 비상대응 업무계획 수립 등 다양한 대책을 시행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력에너지 공급업무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이러한 대책들은 효과적으로 시행되었고, 감염병 재난관리에 대한 매뉴얼로 활용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Continuity Improvement of Disaster Safety-related Business for the Safety of the People (국민의 안전을 위한 재난안전관련 업무 연속성 향상에 관한 연구)

  • Cheung, Chong Soo;Choi, In-seok;Koo, Bon-k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95-29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관련 근무자의 업무연속성 향상을 저해하는 부분들을 파악하고 해결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단체의 재난안전분야 인사제도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현행 순환보직 제도와 새롭고 다양한 유형의 재난위험에 대응할 전문화된 근무자의 부족이 재난안전업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현재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기간이 짧은 순환 근무형태와 임기만료가 임박하여 전보 사실을 공지하는 문제, 그리고 비전문성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서 당 평균 재직 기간을 최소 5년 이상으로 연장하고, 정책의 지속성 및 업무 연속성을 위하여 2인 1업무제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충분한 시간을 두고 전보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비전문성에 대한 해결 방향으로는 최근 재난의 예방과 대비를 중시하는 추세를 반영하여 공공기관과 민간부문 등 다양한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한 해결방식이 필요하다. 미국, 독일, 일본 등에서 민간부문과의 협력적 재난안전관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듯이 국내에서도 의사결정체계를 민간부문과의 협력적 거버넌스체계로 전환해야한다.

  • PDF

A Basic Study for Securing the Business Continuity of Local Governments in the Event of Earthquake and Tsunami (지진 및 지진해일 발생 시 지방자치단체의 업무연속성 확보를 위한 기초 연구)

  • Shin, Hojoon;Koo, Wonhoi;Baek, Min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1 no.2
    • /
    • pp.227-234
    • /
    • 2015
  •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review was carried out on the concepts regarding the continuity of operation plan and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plan, international standard ISO22301 and common required functions for disaster response, and the business continuity guideline of local governments in Japan and establishment cases were analyzed to draw matters to be reflected for establishing the business continuity plan of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earthquake and tsunami. In conclusion, the standard guideline of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prepared for establishing the business continuity plan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foundation to establish the plan smoothly based on such guideline should be provided. Also, the business continuity plan should be prepared based on the previous established safety management plans by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business continuity plan that fits the region, proper investigations can be carried ou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rganizations, resources, facilities and environments. Lastly, detailed scenario on the scale of earthquake and tsunami occurrence and damages is prepared to establish the business continuity plan of local governments and conditions for prompt countermeasures according to the scale.

A Study on the Internalization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Capabilities of Disaster Management Manager of Generation Public Enterprise (발전공기업 재난관리담당자의 사업연속성관리 역량 내재화 방안연구)

  • Paek, Chun-moon;Cheo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69-17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발전공기업 재난관리담당자의 사업연속성관리 역량 내재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발전공기업은 2001년 전력산업구조개편특별법에 따라 한국전력공사에서 6개 회사로 분사되었다. 국가핵심기반시설인 발전공기업은 핵심업무 중단으로 인한 국민생활과 산업시설 기능 정지를 예방하기 위해 2014년 이후 사업연속성관리체계를 적용하고 있으며, ISO 22301 및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을 취득하였다. 그러나 사회적인 이슈와 국가정책 등으로 발전공기업의 강도 높은 재난관리가 요구되고 있어, 재난으로 인한 핵심업무 중단 발생의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관리를 통한 사업연속성 확보를 위해 재난관리당당자의 역량 내재화가 필요하며, 내재화의 구체적인 추진방안은 사업연속성관리요소 업무반영, 사업연속성관리를 반영한 리더 육성 및 인사제도와 연계 등이다.

  • PDF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Web Service Access Management for Supporting High Ava ilability and Business Continuity (고 가용성과 업무의 연속성 보장을 위한 지능적 웹 서비스 접속관리의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 Joong Kang-Itrun;Lee Kwang-Eo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0 no.5 s.37
    • /
    • pp.151-160
    • /
    • 2005
  • High availability and business continuity in the mission critical enterprise environment have been a matter of primary concern.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replicated servers, duplicated devices and disaster recovery sites so that these issues are accomplished. When that happens, web browser's users may be accessed web server through a specific Uniform Resource Locator. A critical issue arises if web browser's users recklessly change the URL and access into other site. In this case, data integrity between duplicated sites may not be guaranteed.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method of integrating the technologies of user authentication, certificate authority and business continuity and Propos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service access management.

  • PDF

IT 시설의 방호

  • An, Seung-Il
    • 방재와보험
    • /
    • s.116
    • /
    • pp.55-59
    • /
    • 2006
  • IT 자원을 장애없이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업무 연속성' 이라고 한다. 이 업무 연속성에선느 소방이 중요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정보기술장비의 방호를 위한 NFPA 75가 개발되었다. NFPA 75통해 얻을 수 있는 것들을 살펴보자

  • PDF

정보시스템 재해에 대비한 업무 지속성 관리

  • 김종기;김기윤;이경석;김정덕
    • Review of KIISC
    • /
    • v.11 no.1
    • /
    • pp.9-19
    • /
    • 2001
  • 정보시스템이 기업 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됨에 따라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고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기업의 활동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의 기술 및 경영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정보시스템 재해에 대한 대책에 있어서도 종래의 기술 중심으로 업무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의 수립으로 변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 활동에 치명적인 장애를 초래하는 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비상계획의 개념과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최근에 대두된 업무 지속성 관리의 측면에서 업무 지속성 계획을 수립하고 운용하는 방법론을 CCTA에서 제시한 수명주기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 PDF

A study on the Optimal Disaster Reduction Program for Industrial Disaster Early Response (산업체 재난 조기대응을 위한 최적재해경감방안 연구)

  • Lee, Keun-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211-215
    • /
    • 2010
  • 본 연구는 아직 초보수준인 국내기업의 업무연속성 유지를 위한 재해경감 활동계획 수립 및 실행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조기대응체계 구축을 통하여 어떠한 재난에도 안전을 기할 수 있는 기업 연속성 유지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국내 재난관리 표준으로 채택된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관리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고, 국내기업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실행지침을 제시하였으며, A기업을 대상으로 재해경감활동계획수립 및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관리의 가이드라인 5단계 주요 절차 중 계획수립단계의 위험 평가, 영향분석, 예방경감계획 및 대응관리계획 수립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국내 재해경감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재난대응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기술 부분도 제시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Automatic Check-In System Using SISAC Symbol (SISAC 바코드를 이용한 자동 체크인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won, Oh-Jin;Noh, Kyung-R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53-456
    • /
    • 2000
  • 연속간행물 입수에서부터 서가배가에 이르기까지 프로세스 흐름에서 체크인 업무는 연속간행물 관리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업무이다. 기존의 체크인 담당자는 자료가 입수되면 수작업을 통해 입수자료에 대한 검색을 한후 권호명을 식별해야 하는 자료검색에 대한 부담과, 유사한 서명을 지니고 있는 연속간행물에 체크인하는 오류를 범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체크인 업무의 신속성, 정확성,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SISAC 바코드를 이용한 자동체크인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Comprehensive Crisis Management System of Operational Continuity Management (운영연속성관리(OCM)관점에서 위기관리통합시스템 구축)

  • Kang, Heau-Jo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4 no.1
    • /
    • pp.127-133
    • /
    • 2010
  • The process for establishment of Operational Continuity Management Plan is organized repeatedly of Business Risk Assessment, Crisis Analysis, Business Impact Analysis, Establishing Business Recovery Strategies, Detailed Planning, Plan Execution, Test and Maintenance(Including Monitoring). Therefore, in this paper in response to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n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ocial security systems to maximize operational continuity management, crisis management and crisis management systems, building integrated systems for building technology in general and operational continuity management within an organization to understand developed to provide a framework for implementing operational continuity management in terms of crisis management has proposed to build an integrate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