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업무 상황인식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 Study on The Operational Impact of Abnormal Vessel in VTS Operator (이상거동선박이 해상교통관제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황인식과 관제 업무부하와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Son, Chul;Kim, Hee Sung;Kim, Chol-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7-18
    • /
    • 2019
  • 해상교통관제 업무의 최적화를 위하여 요구되는 인적요소 분야 중 관제사의 상황인식(SA: Situation Awareness)와 관제 업무부하(Workload)와의 관계성을 확인하는 것이 해상교통 분야에서는 중요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관제사의 상황인식과 업무부하를 상황인식평가기술(SART)과 다차원 작업부하 지표(NASA-TLX)를 실제적으로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개념들에 대한 이해와 시스템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해상교통관제사 전문성 제고방안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인지작업분석을 활용한 해상교통관제의 기능 개선

  • Kim, Ju-Seong;Kim, Gye-Su;Jeong, Jung-Sik;Park, Gye-G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98-400
    • /
    • 2013
  • 해상교통관제(VTS; Vessel Traffic Service)는 IMO RESOLUTION A.857(20) on Guidelines for Vessel Traffic Service와 해사안전법 제36조, 개항질서법 제 28조에 의거 해상운송에서의 위험을 감소하고 해상교통질서확립과 안전확보를 위하여 전세계 주요항만 및 수역에서 이용되고 있다. 최근 해상교통관제 분야에 인적요인을 도입하여 사고예방 및 감소를 도모하고 있으나 해상교통관제의 특수한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관제와 해상교통관제사의 특수한 업무상황을 고려하여 직무를 분석하고 인간공학적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사전해상상황인식을 위한 관제업무의 예측모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인 관제업무 분석의 프레임을 제공하고 관제사들이 효율적으로 관제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실무적 업무프로세스를 제시한다.

  • PDF

Suggesting Operational Architecture on Situation Awareness for Enhancing Communication (상황인식 업무를 대상으로 의사소통을 증가시키는 운영구조에 대한 연구)

  • Seo, Hyung-Jun;Jung, Koo-D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433-437
    • /
    • 2003
  • 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뿐만이 아니라 BPR, 예산측정, 효과도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하기 위한 구조가 제안되었으며 그러한 구조를 위한 프레임워크들이 전사적 차원에서 개발되고 있다. 또한, 여러가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특수한 목적에 따라 구조의 테일러링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미 국방성 구조 프레임워크와 프레임워크의 테일러링한 방법들을 살펴보고 장단점을 분석한 후 상황인식을 위한 한국형 운용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운용구조는 군의 운용현황을 가장 잘 알고 있는 현 업무자가 업무를 분석하고 구조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체계를 개발하는 업체나 체계구조를 작성하는 체계전문가와의 군의 사용자들간에 의사소통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을 전군적인 차원에서 상황을 인식하는 업무에 적용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판단하여 보았으며 제안하는 방법에 대한 분석은 미 카네기 멜론 대학에서 제안한 ATAM(Architecture Tradeoff Analysis Method)에 따라 분석하였다.

  • PDF

A Collaboration RBAC Model in Ubiquitous Workspace (유비쿼터스 업무공간의 협업 RBAC모델 설계)

  • Lee Soo-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c
    • /
    • pp.271-273
    • /
    • 2006
  • 유비쿼터스 인프라의 발달로 인한 업무 환경의 활발한 변화는, 다양한 (이동성) 단말과 끊김 없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기업 내외부의 응용을 활용하며, 효율적인 상황인식에 따른, 실시간적 업무공간을 지원 받을 것이다. 이는 인증과 인가의 분리 구조로서, 기업 내부의 접근제어 미들웨어와 기업 외부의 서비스 프로바이더 간의 분산 환경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는 도메인 상호간 안전한 상호운용성이 선결되어야 한다. 즉 유비쿼터스 업무공간의 협업 서비스를 위한 접근제어모델은, 상황인식과 실시간 정책변경의 처리가 다중도메인간의 안전한 연동과 함께 요구된다. 본 논문은 메타정책(Metapolicies) 기반으로 도메인 내부와 외부도메인의 접근제어를 구분하여 보호한, 다중도메인 관계의 동적 협업 RBAC모델을 제안한다.

  • PDF

Context Aware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Considering Surrounding Users (주변사용자를 고려한 상황인식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

  • Jo, Min-Ji;Park, 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85-88
    • /
    • 2011
  • 모바일 환경으로 업무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요구사항인 탈 사무실화, 기기의 다양성, 실시간성을 만족하면서 보안성을 유지하기 위해 context aware RBAC 모델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상황인식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은 주변 사용자에 대한 고려가 없고 사용자의 단독적인 정보 유출이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용자간의 관계를 고려한 상황인식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에서는 기존의 기법에서 고려하지 않은 주변 사용자의 역할 및 관련된 사용자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위치와 시간만으로 제어되지 않는 정보에 대한 유출을 방지한다. 이 모델을 적용할 경우 주변사용자의 권한에 의해 사용자의 권한이 통제되므로 문서에 대한 내부자의 편법적인 사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문서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문서에 대한 권한을 모두 부여할 경우와 동일한 업무 효율성을 가지면서 필요하지 않은 시간에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방지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ilot Competency to Improve Work Management in the Civilian Pilot Transition Course (민간 조종사 전환과정 중 업무안배 능력 향상을 위한 조종역량 요인 분석연구)

  • Jung, Jin-Yong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6 no.3
    • /
    • pp.136-143
    • /
    • 2022
  • The pilot's role is absolutely critical to the safety of an airline. It can be predic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cquisition of pilot competency required in actual flight at the initial flight training stage. In this study, the progress and effects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each background are analyzed, and differentiated competency-based training is to be studied. By sampling a sample of civil airline pilots, we are trying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regular proficiency check among the eight competencies defined by ICAO according to military and civil backgrounds. Accordingly,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rom the military and civilian origin, to confirm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piloting competency between the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it will be helpful to design future training courses.

관제교신 효율향상에 대한 고찰

  • Park, Seong-U;Kim, Seong-Gon;Kim, Jon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200-202
    • /
    • 2010
  • VTS 업무와 관련 관제교신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관제교신의 효율향상 필요성은 대원칙(간단 명료 정확) 개념 이상의 구체적 논의나 연구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제교신의 잘못으로 인한 관제업무의 효율저하 및 이로 인한 사고 위험성을 살펴보고, 관제교신의 실패 원인을 현장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교신 분석을 통해서 개선방안을 찾아보고 교신업무 요령 또는 지침 마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Operational Impact of Abnormal Aircraft in ATC Operations (Focusing on Situation Awareness and Workload) (비정상 항공기가 항공교통관제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상황인식과 업무부하를 중심으로))

  • Jeon, Jeong-Dae;Lee, Young-Heok;Choi, Yun-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17 no.3
    • /
    • pp.32-39
    • /
    • 2009
  • Due to the lack of navigable airspace caused by worldwide air traffic increases, air traffic control(ATC) services are becoming more complex, which results in the increase of aircraft accidents. To cope with these challenges, major aviation institutes abroad are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regarding the human factors affecting controllers but as of late, no such specialized activities have been found in Korea. Due to the dynamic attributes of ATC operations, management of controller's situation awareness(SA) and workload, and knowledge on the impact of abnormal aircraft to controllers are very important. Furthermore, using actual flight data of each country will lead to valuable results, because individually, it has different airspace characteristics and air traffic volumes. This study assumed that air traffic difficulties would affect the controller's SA and workload. To testify the above hypothesis, the abnormal air traffic situations are simulated by using ATC simulator.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raffic situations containing abnormal aircraft on the controller's SA and workload, it led to demand increase and supply decrease in SA, and increased mental demand, temporal demand, effort and mean workload score in the workload.

  • PDF

Real-time Text Analysis with Dialogue State Tracking and Summarizing to Assist Emergency Call Reporting (긴급 신고 접수 지원을 위한 대화 상태 추적 및 요약 기반 실시간 텍스트 분석)

  • Oh, Kyo-Joong;Kim, Jinwon;Kim, Ilhoon;Lim, Chae-Gyun;Choi, Ho-J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16-21
    • /
    • 2021
  • 소방 본부의 119 종합상황실에서는 24시간 국민의 안전을 위해 긴급 신고를 접수한다. 수보사 분들은 24시간 교대 근무를 하며 신고 전화에 접수 및 응대 뿐만 아니라 출동, 지휘, 관제 업무를 함께 수행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 같은 수보사의 업무 지원을 위해 우리가 구축한 음성 인식과 결합된 실시간 텍스트 분석 시스템에 대해서 소개하고, 출동 지령서 자동 작성을 위한 키워드 검출 및 대화 요약 및 개체명 인식에 기반한 대화 상태 추척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대화 요약 기술은 음성 인식 결과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중요한 키워드의 검출 및 지령서 자동 작성을 위한 후처리를 수행하며, 문장 수준에서 개체명 인식 및 관계 분석을 통한 목적 대화의 대화 상태 추적을 수행한다. 이 같은 응용 시스템은 딥러닝 및 기계학습 기반의 자연어 처리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 수준이 되었음을 보여주며, 긴급한 상황에서 많은 신고 전화를 접수하는 수보사의 업무 효율 증진 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신속한 위치 파악으로 신고자를 도와주어 국민안전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un Space or workplace? The Role of Humor in Navigating Work-personal Space in South Korean Organizations (일탈적 행위, 유머: 한국 기업 구성원의 일과 개인 공간의 지각)

  • Kim, HeeSun;Woo, Sung 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9
    • /
    • pp.666-683
    • /
    • 2021
  • Organizational humor is generally perceived as a phenomenon that helps to develop happy feelings and positive workspace. While humor may affect organizational members in diverse ways, the ambiguous nature of humor may create uncertainty and unexpected outcomes. In particular, humor used by and between organizational members in diverse organizational situations (including physical office context and work hours) may influence individual's perception of space. Findings suggest that humor interaction acts as a form of deviant behavior that diverts from work. This momentary non-work event (humor) may serve as a ritual to influence individual's perception of space, from work to personal domain, and vice versa. The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municators may also be influenced by humor. This shift in the nature of interaction (from work to non-work) may lead to blurring boundaries of work and work experiences. Therefore, organizational humor may provide insights into how workers interact, perceive, and manage work and personal space within organizational contex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