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업무분석

검색결과 5,777건 처리시간 0.031초

기록물분류기준표의 단위업무 분석 - 국공립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Records Schedule's Transactions: Focused on National & Public University Libraries)

  • 김정남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6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기관 유사부서의 기록물분류기준표에 나타난 단위업무 현황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이들 유사기관 유사부서의 기록물분류기준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 분류기준표 제정팀에서 분류기준표 제정을 위하여 제시한 단위업무의 제정과정 및 제정원리를 검토하고, 59개의 국공립대학 도서관의 단위업무를 보존기간별, 유형별, 도서관 규모별, 업무기능별로 분석하였다.

기업의 업무특성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사용 성과;사회적 영향과 친분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구철모;정재은;조근식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95
    • /
    • 2007
  •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기업 조직의 사회적 네크워크를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각 커뮤니케이션 정보시스템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업무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또한 새로운 정보기술의 도입, 예를 들면, 메신저와 무선 화상통신과 같은 발전은 매체 풍부성 이론으로 아직까지 적용 검증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업무적 특성과 미디어 활용 그리고 업무성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서베이를 통하여 소중대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회귀분석으로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업무 특성은 미디어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요인이며 사회적 영향과 친분관계는 두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활용은 각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PDF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운영관리 수준 평가방안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Level of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Management)

  • 정승호;황종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47-250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운영관리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진사례, 관련 표준, 지침을 분석하여 공공부문 운영관리업무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11개 업무 분석영역을 도출하였고 각 업무영역의 평가를 위한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공공부문 운영관리 업무에 대한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모델은 특정 이슈 발생시 일부 중앙부처의 요구에 따라 공공기관들을 대상으로 행하여진 단편적인 운영수준 점검 분석 활동들이 국내 실정에 맞게 운영업무 전반에 대한 종합적, 체계적 수준평가를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게 하였으며, 기관 내부적으로도 자체평가를 통해 운영관리업무 성숙도 제고를 위한 핵심요소를 손쉽게 식별하고 효율적인 품질향상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전남대학교 기록관리의 단위업무와 조직기능 분류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Unit Task and Structural Function for Records Management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유완이;이명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9-199
    • /
    • 2013
  • 이 연구는 대학기록의 효율적 관리와 편리한 이용을 위해 구축되어 있는 기록관리체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전남대학교의 기록물 현황, 단위업무, 기능과 조직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남대학교 단위업무는 127개 처리과에 1,625개의 단위업무로 이루어진다. 교육과 관련된 단위업무가 85.91%를 차지하고 있다. 문제점으로는 단위업무 불균형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특정 분야에 단위업무가 너무 많거나 적은 것은 업무 분석 및 분류에 있어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대학기능 분류가 불균형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대학에서 연구 분야에 대한 기능 분류는 적은 반면, 행정 분야에 대한 기능 분류가 세분화 되어 있다. 조직에 대한 기능과 업무가 적절하게 편성되어야 효율적인 기록물관리가 될 것이다.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효과적인 시공업무 및 영향 분석 - 아파트 설비공사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onstruction Execution Tasks for Successful Residential Mechanical Projects)

  • 강상훈;김대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60-67
    • /
    • 2019
  • 본 연구의 주목적은 공동주택 설비 시공 단계에서 수행되는 업무들을 파악하고 성과지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시공업무를 분석하여 프로젝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국내 외 연구동향을 비롯한 선행연구와 예비 데이터 수집(pilot data), 시공업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시공업무를 크게 5개의 주요업무로 구분하고 각각을 공정관리(P'1~P'6), 시공관리(C'1~C'5), 환경관리(E'1~E'4), 품질관리(Q'1~Q'5), 안전관리(S'1~S'5)으로 명명하였다. 그 후, 각각의 주요 업무를 세분화 시켜 총 24개의 세부 시공업무로 분류하였다. 원가 및 공기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프로젝트 목표 달성에 따른 중요도를 비교하여 유의도 0.05 이하에 대해 원가뿐만 아니라 공기의 성과지표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중요 공사의 시공업무를 파악하였다.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인식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Identification of Latent Profiles in Perception of Work Environment among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이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37-243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 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국가인권위원회 2014년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9개의 지표로 구성된 직무환경 인식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잠재집단을 확인하였다. 업무시간 압박도와 업무책임감에서 낮은 인식을 보인 '낮은 업무부담 집단(24.5%)', 직장상사 지지도에 대한 인식이 낮고 성차별과 학연/지연 차별에 대한 인식이 높은 '차별 인식 집단(14.7%)', 업무자율성, 직장동료 지지도, 직장상사 지지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긍정적 인식 집단(26.8%)', 업무량, 업무시간 압박도, 업무책임감에서 높은 인식을 보인 '높은 업무부담 집단(8.5%)', 대부분의 영역에서 중간 정도의 인식을 보인 '중간 집단(25.5%)'이 그것이다. 직무만족도의 경우 긍정적 인식 집단이 가장 높고, 중간 집단, 낮은 업무부담 집단과 높은 업무부담 집단, 차별 인식 집단 순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 및 후속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업무시간 외 SNS를 통해 업무전달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Work Delivery using SNS out of Duty Hours on Job Performance)

  • 최항항;권혁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107-116
    • /
    • 2022
  • 중국 직장에서는 소위 '신형 야간근무'라 불리는 WeChat이나 QQ와 같은 SNS를 사용한 업무전달이 보편화되는 있다. 본 연구는 업무시간 외 SNS를 통한 업무전달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중국 직장인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근무시간 외에 SNS를 통해 빈번하게 업무전달 연락을 받게 되면 직무스트레스가 커지고, 일-가정 간 갈등을 심화시켜 업무에 대한 열정을 감소시켜 그 결과 직무성과 마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업무시간 외 SNS 활용이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기존연구결과와는 다른 견해를 제공해 관련 이론정립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반된 견해를 융합하는데 조절효과의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회계정보시스템 유용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Job Performance to AIS Utility Value)

  • 김동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266-272
    • /
    • 2005
  • 본 연구는 회계정보시스템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크론바흐 알파, 요인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SS 유용성과 업무성과간의 회귀분석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산분석에서 시스템 운용성과와 시스템 만족도는 유의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정보정확도와 정보시스템 만족도에 대한 투입변수는 IT능력변수에 대해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의 직무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Tasks of Record Managers in Offices of Education)

  • 이을지;이호신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1-156
    • /
    • 2016
  • 이 연구는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들의 직무를 분석하여, 그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청 기록관리 업무 환경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문헌조사와 운영규정 분석을 통해서 교육청 기록관리 업무를 5개 업무영역 24개 업무요소로 도출하였으며, 업무영역별, 업무요소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IPA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와 수행 빈도, 중요도와 난이도를 교차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의 업무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민간 조종사 전환과정 중 업무안배 능력 향상을 위한 조종역량 요인 분석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ilot Competency to Improve Work Management in the Civilian Pilot Transition Course)

  • 정진용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36-143
    • /
    • 2022
  • 조종사의 역할은 항공사의 안전에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초기 비행훈련 단계에서 군과 민간 출신별 실제 비행에 필요한 조종사 역량 습득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배경별 교육훈련의 진행상황과 효과를 분석하여 차별화된 역량기반 교육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업무안배 능력은 다른 조종역량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하여, 타 조종역량이 업무안배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군과 민간 출신에 따라 ICAO가 정의한 8개 역량 중 정기 숙련도 점검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군과 민간 출신의 평균 차이 및 두 집단의 업무안배에 미치는 조종역량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업무안배에 미치는 요인으로서 의사소통 능력과 상황인식 능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군출신의 경우는 상황인식 능력이 뛰어날수록 업무안배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민간출신의 경우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날수록 업무안배 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업무안배 교육에 출신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