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얼굴분석

Search Result 90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Face Recognition using Haralick Facet Function Model (Haralick의 면함수 모델을 이용한 얼굴인식)

  • 이민규;김희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380-382
    • /
    • 2000
  • 본 논문은 얼굴인식을 위한 특징으로 Haralick의 면함수 모델을 이용한 방법을 제시한다. 얼굴인식 시스템에서의 큰 제약조건 중 하나인 조명에 대해 향상된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일반영상의 에지추출에 주로 사용되었던 면함수를 적합시켜 얼굴인식을 위한 입력으로 사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기존의 얼굴인식 기법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전체적인 인식률과 수행 시간이 향상되었고, 특히 조명 변화에 대해 조명 변화 보정을 위한 별도의 전처리 없이도 좋은 인식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제안된 방법에 신경망을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 PDF

딥러닝 기반 얼굴인식 모델에 대한 변조 영역 제한 기만공격

  • Ryu, Gwonsang;Park, Hosung;Choi, Daeseon
    • Review of KIISC
    • /
    • v.29 no.3
    • /
    • pp.44-50
    • /
    • 2019
  • 최근 딥러닝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놀라운 성능을 보여주고 있어 많은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다. 얼굴인식 또한 딥러닝 기술을 접목하여 높은 수준으로 얼굴인식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딥러닝 기술은 원본 이미지를 최소한으로 변조시켜 딥러닝 모델의 오인식을 발생시키는 적대적 예제에 취약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 얼굴인식 시스템에 대해 적대적 예제를 이용하여 기만공격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제 얼굴에 분장할 수 있는 영역을 고려하여 설정된 변조 영역에 따른 기만공격 성능을 분석한다.

SVM Kernel Design Using Local Feature Analysis (지역특징분석을 이용한 SVM 커널 디자인)

  • Lee, Il-Yong;Ahn, Jung-H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1 no.1
    • /
    • pp.17-2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implement a kernel for the support vector machine(SV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face recognition. Local feature analysis(LFA) has been well known for its good performance. SVM kernel plays a limited role of mapping low dimensional face features to high dimensional feature space but the proposed kernel using LFA is designed for face recognition purpose. Because of the novel method that local fac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raining set and combined into the kernel, this method is expected to apply to various object recognition/detection task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s its improved performance.

An Emo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Facial Expression and Speech Signal (얼굴표정과 음성을 이용한 감정인식)

  • 고현주;이대종;전명근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6
    • /
    • pp.799-807
    • /
    • 2004
  • In this paper, we deal with an emo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facial images and speech signal. Six basic human emotions including happiness, sadness, anger, surprise, fear and dislike are investigated. Emotion recognition using the facial expression is performed by using a multi-resolution analysis based on the discrete wavelet transform. And then, the feature vectors are extracted from the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emotion recognition from speech signal method has a structure of performing the recognition algorithm independently for each wavelet subband and then the final recognition is obtained from a multi-decision making scheme.

School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Hong Ik University (균일분포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얼굴인식 시스템)

  • 조성원;박준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7.11a
    • /
    • pp.171-175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LVQ(Learning Vector Quentization) 신경회로망의 새로운 가중치 초기화법을 제안하고 이를 얼굴인식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초기가중치를 패턴 결정 경계면 주변에 설정함으로써 인식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얼굴인식의 특징 추출 방법으로서는 주성분 분석, 모멘트, 푸리에 기술자, 모멘트+주성분 분석 및 푸리에 기술자+주성분 분석 등을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인식부의 LVQ 신경회로망에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의 방법과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초기가중치를 최초 패턴으로 가지는 경우, 평균값을 취하는 경우, 랜덤하게 사용하는 경우 등에 비해서 우수한 인식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n the reliability of PCA-based face recognition (PCA를 이용한 얼굴인식 기법의 신뢰도에 관한 분석)

  • Cho, Hyun-Jong;Kang, Min-Koo;Moon, Seung-B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101-102
    • /
    • 2008
  • 얼굴인식 분야에서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기반 알고리즘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높은 인식률로 인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조명이나 얼굴 포즈 변화에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다[1].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PCA를 다른 얼굴인식 알고리즘과 결합함으로서 조명과 포즈 변화에 강인한 얼굴인식을 위만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PCA기반 얼굴인식에서 조명이 다양하게 변할 때 이에 따른 인식률의 변화와, 인식이 실패했을 경우에 인식 대상이 유사도 상위후보군에 들어가는지를 조사함으로서 PCA기반 알고리즘의 신뢰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Yale Face Database H와 Extended Yale Face Database B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약 93%의 인식 성공률을 확인했으며, 7%의 인식 실패한 영상의 경우 그 인식하고자 했던 얼굴이 유사도를 기준으로 정렬된 학습 영상에서 상위 후보군에 속한다는 실험 결과를 얻음으로서 PCA기반 얼굴 인식 알고리즘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Fusion Algorithms Using PCA and LDA for Face Verification (얼굴인증을 위한 PCA와 LDA 융합 알고리즘 구현 잊 성능 비교 분석)

  • 정장현;구은경;강행봉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718-720
    • /
    • 2004
  • 얼굴 인증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성분 분석(PCA . 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은 정면 얼굴과 같은 특징 패턴에 대해서 비교적 높은 성능을 보인다. 인식률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어 클래스를 잘 축약하여 표현하기에 유용하다. 하지만 조명이나 표정의 변화에 대해서는 성능을 보장할 수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성분이 다른 클래스간의 분리가 수월하도록 선형판별분석(LDA Linear Discriminant Analysis)을 사용한다 LDA는 데이터의 양이 적을 때는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PCA와 LDA를 융합한 기술을 사용하면 더 나은 성능을 얻을 수 있는데 Min, Max, Mean, Append, Majority voting방법 등이 이에 해당된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제한적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실험에 그쳐 실험 결과의 객관성이 부족했다. 본 논문에서는 정형화된 환경에서 여러 가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실험함으로써 Min, Max, Mean 융합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융합 알고리즘이 언제나 좋은 성능을 내는 것은 아니지만 얼굴영상에서 조명이나 표정 등이 변화함에 상관없이 일정 수준의 인증율을 보장하고 있다.

  • PDF

Performance Enhancement of Face Detection Algorithm using FLD (FLD를 이용한 얼굴 검출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

  • Nam, Mi-Young;Kim, Kwang-Bae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4 no.6
    • /
    • pp.783-788
    • /
    • 2004
  • Many reported methods assume that the faces in an image or an image sequence have been identified and localization. Face detection from image is a challenging task because of the variability in scale, location, orientation and pose. The difficulties in visual detection and recognition are caused by the variations in viewpoint, viewing distance, illumin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icient linear discriminant for multi-view face detection and face location. We define the training data by using the Fisher`s linear discriminant in an efficient learning method. Face detection is very difficult because it is influenced by the poses of the human face and changes in illumination. This idea can solve the multi-view and scale face detection problems. In this paper, we extract the face using the Fisher`s linear discriminant that has hierarchical models invariant size and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face and non-face for efficient Fisher`s linear discriminant.

Face and Its Components Extraction of Animation Characters Based on Dominant Colors (주색상 기반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얼굴과 구성요소 검출)

  • Jang, Seok-Woo;Shin, Hyun-Min;Kim, Gye-Y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10
    • /
    • pp.93-100
    • /
    • 2011
  •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extracting information of face and facial components in animation characters have been increasing since they can effectively express the emotion and personality of character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ethod to extract face and facial components of animation characters by defining a mesh model adequate for characters and by using dominant colors. The suggested algorithm first generates a mesh model for animation characters, and extracts dominant colors for face and facial components by adapting the mesh model to the face of a model character. Then, using the dominant colors, we extract candidate areas of the face and facial components from input images and verify if the extracted areas are real face or facial components by means of color similarity measur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can reliably detect face and facial components of animation characters.

Detection and Recovery of Occluded Face Images Based on Correlation (상관관계에 기반한 가려진 얼굴 영상 검출 및 복원)

  • Lee, Ji-Eun;Kwak, No-J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8 no.5
    • /
    • pp.72-83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and recover the occluded parts of face images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pairs of pixels. In a training stag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every pairs of pixels are calculated using the occlusion-free face images. Once a new occluded face image is shown, the occluded area is detected and recovered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btained in the training stage.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based on PCA.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detects and recovers occluded area with much smaller noises than the conventional PCA based method. Moreover, recovered images by the proposed method were more smooth with reduced blurring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