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얼굴검출

Search Result 88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Multiple Feature Representation for Efficient Cascaded Face Detection (효과적인 계단식 얼굴 검출을 위한 다중 특징 추출)

  • 소형준;남미영;이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742-744
    • /
    • 2004
  • 본 논문은 복잡한 배경에서의 얼굴 검출에 있어서 다중 특징 추출 데이터로 학습한 계단식 분류기에 의한 방법을 제안한다 얼굴 검출에서 얼굴의 패턴은 상당히 다양한 영상 표현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하나의 특징 추출 방법은 사람의 얼굴을 모델링 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얼굴의 전체적인 지역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Subregion과, 얼굴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좀 더 세밀하고 다양한 속성들을 나타내는 Haar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하여 다중으로 특징을 추출하여 효과적인 모델링을 시도하였다. 특징을 추출한 얼굴과 비얼굴의 패턴(pattern)을 구분하기 위해서 패턴들의 통계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각 추출방법에 맞게 학습된 Bayesian 분류기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였으며 비얼굴은 얼굴과 유사한 비얼굴(face-like nonface) 패턴들을 사용하여 모델링 하였다. 제안한 얼굴 검출 방식의 성능은 MIT-CMU 시험 영상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한 가지 특징 추출을 사용하는 것 보다 두 가지 특징 추출을 병행한 계단식 구성이 더 정확한 검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Dection Method of Human Face and Facial Components Using Adaptive Color Value and Partial Template Matching (적응적 칼라 정보와 부분 템플릿매칭에 의한 얼굴영역 및 기관 검출)

  • 이미애;류지헌;박기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262-264
    • /
    • 2003
  • 얼굴영상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선 먼저 입력영상에서 얼굴영역과 얼굴을 구성하는 각 기관을 검출하는 전처리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의 크기와 얼굴의 회전, 조영의 변화가 어느 정도 허용되고 피부색 배경이 얼굴에 병합된 경우에도 얼굴영역과 얼굴기관(눈, 입)을 강건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입력영상에 따른 적응적 칼라 색상정보와 얼굴기관의 부분 템플릿매칭을 조합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변환된 HSV 칼라 좌표계상의 대역적 피부색상 정보와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적응적 피부색상 정보로 얼굴영역을 검출한 뒤, 얼굴영역 안에서 입술색상 정보로 도출된 입술영역의 X축 기울기를 이용해 회전얼굴을 보정하고, 양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부분 템플릿을 이용해 눈을 검출한다.

  • PDF

Eye Detection Based on Texture Information (텍스처 기반의 눈 검출 기법)

  • Park, Chan-Woo;Park, Hyun;Moon, You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315-318
    • /
    • 2007
  • 자동 얼굴 인식, 표정 인식과 같은 얼굴 영상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분야는 일반적으로 입력 얼굴 영상에 대한 정규화가 필요하다. 사람의 얼굴은 표정, 조명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변화가 있어 입력 영상 마다 정확한 대표 특징 점을 찾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특히 감고 있는 눈이나 작은 눈 등은 검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얼굴 관련 연구에서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변화에 강건한 눈 검출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눈의 텍스처 정보를 이용한 눈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얼굴 영역에서 눈의 텍스처가 갖는 특성을 정의하고 두 가지 형태의 Eye 필터를 정의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Adaboost 기반의 얼굴 영역 검출 단계, 조명 정규화 단계, Eye 필터를 이용한 눈 후보 영역 검출 단계, 눈 위치 점 검출 단계 등 총 4단계로 구성된다. 실험 결과들은 제안된 방법이 얼굴의 자세, 표정, 조명 상태 등에 강건한 검출 결과를 보여주며 감은 눈 영상에서도 강건한 결과를 보여준다.

  • PDF

Android-based Face detection using OpenCV (안드로이드 기반의 휴대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얼굴 검출)

  • Koo, Mose;Kim,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1077-107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현재 활발히 연구 중에 있는 얼굴 인식의 전 과정인 얼굴 검출단계를 OpenCV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휴대용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얼굴 및 눈 영역을 검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수행하였다. 얼굴 검출 및 눈 검출 기술은 OpenCV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얼굴 인식을 위해 이미지에서 얼굴의 특징을 찾는 기법 중 하나인 Haar-like Feature을 이용한 검출 방식을 사용하였다. 얼굴 검출 및 눈 검출에 대해 스마트폰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구현 결과를 평가하였다.

Real-Time Automatic Human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System Using Skin Colors of Face, Face Feature Vectors and Facial Angle Informations (얼굴피부색, 얼굴특징벡터 및 안면각 정보를 이용한 실시간 자동얼굴검출 및 인식시스템)

  • Kim, Yeong-Il;Lee, Eung-Ju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4
    • /
    • pp.491-500
    • /
    • 200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system by using skin color informations, geometrical feature vectors of face, and facial angle informations from color face image. The proposed algorithm improved face region extraction efficiency by using skin color informations on the HSI color coordinate and face edge information. And also, it improved face recognition efficiency by using geometrical feature vectors of face and facial angles from the extracted face region image. In the experiment,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more improved recognition efficiency as well as face region extraction efficiency than conventional methods.

A New Face Detection Method using Combined Features of Color and Edge under the illumination Variance (컬러와 에지정보를 결합한 조명변화에 강인한 얼굴영역 검출방법)

  • 지은미;윤호섭;이상호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9 no.11
    • /
    • pp.809-817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a new face detection method that is a pre-processing algorithm for on-line face recognition. To complement the weakness of using only edge or rotor features from previous face detection method, we propose the two types of face detection method. The one is a combined method with edge and color features and the other is a center area color sampling method. To prevent connecting the people's face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which have same colors, we propose a new adaptive edge detection algorithm firstly. The adaptive edge detection algorithm is robust to illumination variance so that it extracts lots of edges and breakouts edges steadily in border between background and face areas. Because of strong edge detection, face area appears one or multi regions. We can merge these isolated regions using color information and get the final face area as a MBR (Minimum Bounding Rectangle) form. If the size of final face area is under or upper threshold, color sampling method in center area from input image is used to detect new face area.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we have experimented with 2,100 face images. A high face detection rate of 96.3% has been obtained.

A Study on Face Detection for Still Images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SVM을 이용한 정지영상에서의 얼굴 검출에 관한 연구)

  • 김정동;김기완;김익훈;김중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46-54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SVM에 기반 하여 template matching 기법을 도입한 얼굴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얼굴의 기하학적 특징에 기반 해 얼굴일 확률이 낮은 경우 비 얼굴로 인식하는 방법으로 SVM의 적용 횟수를 줄여 검출속도를 향상 시켰다. 그리고 single response criterion을 적용하여 얼굴을 중복검출하거나 얼굴 영역 내에서 얼굴을 찾는 경우를 제거하여 속도를 개선하였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for Robust Eye Detection Algorithm under Environmental Changes (환경변화에 강인한 눈 검출 알고리즘 성능향상 연구)

  • Ha, Jin-gwan;Moon, Hyeon-j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0
    • /
    • pp.271-276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robust face and eye detection algorithm under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lighting and pose variations. Generally, the eye detection process is performed followed by face detection and variations in pose and lighting affects the detection performance. Therefore, we have explored face detection based on Modified Census Transform algorithm. The eye has dominant features in face area and is sensitive to lighting condition and eye glasses, etc. To address these issues, we propose a robust eye detection method based on Gabor transformation and 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algorithms. Proposed algorithm presents 27.4ms in detection speed with 98.4% correct detection rate, and 36.3ms face detection speed with 96.4% correct detection rate for eye detection performance.

Inclined Face Detection using JointBoost algorithm (Joint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울어진 얼굴 검출)

  • Jung, Youn-Ho;Song, Young-Mo;Ko, Yun-H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5
    • /
    • pp.606-614
    • /
    • 2012
  • Face detection using AdaBoost algorithm is one of the fastest and the most robust face detection algorithm so many improvements or extensions of this method have been proposed. However, almost all previous approaches deal with only frontal face and suffer from limited discriminant capability for inclined face because these methods apply the same features for both frontal and inclined face. Also conventional approaches for detecting inclined face which apply frontal face detecting method to inclined input image or make different detectors for each angle require heavy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show low detection rat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method for detecting inclined face using JointBoost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computational and sample complexity is reduced by finding common features that can be shared across the classe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detection rate of the proposed method is at least 2%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AdaBoost method under the learning condition with the same iteration number. Also the proposed method not only detects the existence of a face but also gives information about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detected face.

A study on face area detection using face features (얼굴 특징을 이용한 얼굴영역 검출에 관한 연구)

  • Park, Byung-Joon;Kim, Wan-Tae;Kim, Hyun-Sik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3 no.3
    • /
    • pp.206-211
    • /
    • 2020
  • It is Face recognition is a very important process in image monitoring and it is a form of biometric technology. The recognition process involves many variables and is highly complex, so the software development has only begun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hardware. Face detection technology using the CCTV is a process that precedes face analysis, and it is a technique that detects where the face is in the image. Research in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has been difficult because the human face reacts sensitively to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lighting, color of skin, direction, angle and facial expression. The utility and importance of face recognition technology is coming into the limelight over time, but many aspects are being overlooked in the facial area detection technology that must precede face recognition. The system in this paper can detect tilted faces that cannot be detected by the AdaBoost detector and It could also be used to detect other o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