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언어 능력

검색결과 934건 처리시간 0.027초

국제독서협회(IRA)의 독서교육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Instruction Standards of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85-205
    • /
    • 2014
  • 이 연구는 국제독서협회에서 제시한 독서교육자 전문성 기준, 언어교육 기준, 읽기 쓰기 평가기준을 살펴보고, 이 기준이 우리 문헌정보학과 도서관의 독서교육에 비추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고찰하였다. 국제독서협회는 언어교육의 관점에서 독서교육을 접근하고 있는데, 이 협회는 독서교육자를 7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전문성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언어교육 기준은 독서를 포함한 언어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문서이며 독서교육을 계획, 전개, 실천하는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이다. 그리고 읽기 쓰기 평가기준은 언어평가의 목적과 방법을 규정함으로써 학생의 독서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기준들이 우리 상황에서 지니는 의미는, 독서교육자 기준은 독서교육자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이들에게 책무성을 강화시키며, 양성과정을 정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언어교육 기준은 일관된 독서교육을 실천하고 구체적 교육방법을 구상하는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읽기 쓰기 평가기준은 독서능력을 측정하고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독서교육을 실시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언어적 전환과 인문교육 (Linguistic Turn and the Education of Liberal Arts)

  • 백도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279-288
    • /
    • 2020
  • 본 논문은 인문학이 실용적이지 않다는 선입견에 대해 비판한다. 우선 지식에 대한 최근의 새로운 모형과 그에 따른 교육학 흐름의 변화를 소개한다. 새로운 지식관으로 전체론을, 새로운 교육이론으로 구성주의를 소개한다. 이와 함께 또 하나의 주목할 만한 현상이 '언어적 전환'이다. 언어는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문화 자체가 언어적 속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특별한 요소이다. 따라서 문화는 일종의 텍스트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으며 언어와 맥락 등의 이해와 분석을 주로 맡았던 인문학이 세계를 읽고 구성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을 깨달을 수 있다. 인문학 대학원에서의 수업과 같은 전통적인 인문연구 교육방식의 회복이 현재의 사회 변화에 적절한 새로운 '실용성'을 만족시킬 수 있음을 보이려 한다. 다만 학문적 기여가 중요하다. 또한 '지식기반사회'라는 새로운 환경은 또 다른 이유로 이 글의 주장을 강화한다. 지식의 빠른 변화는 종래의 암기식, 주입식 교육보다 지식의 통합과 재구성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교육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외국어교육 환경에서 영어습득을 위한 읽기유창성과 정확성에 관한 연구 (Reading Fluency and Accuracy for English Language Acquisition in EFL Context.)

  • 신규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49-256
    • /
    • 2018
  •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 읽기의 유창성과 정확성의 언어습득적 의의를 고찰하고, 효율적인 영어 학습 패러다임을 연구하는데 있다. 언어습득 측면에서, 제 2언어학습의 정확성과 유창성사이에서 무엇을 우선 가르치느냐의 문제는 중요한 이슈가 되어왔다. 제 1언어와 제 2언어의 교실상황에서, 많은 언어연구가들의 관심 때문에, 유창성은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정확성과 유창성은 둘 다 중요하지만, 외국어의 경우, 유창성 중심의 학습에서 정확성 중심의 학습으로 점진적인 학습 패러다임의 전환이 있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외국어의 유창성 개발을 위한 대안으로 자발적다독법을 제시하고 있다. 빠르고 정확한 단어 인지 기술과 읽기 유창성이 없으면, 좋은 읽기 능력을 가질 수 없다. 그러므로 유창성 개발을 위한 방법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것에 대한 해법으로, 자발적다독법이 외국어 교육상황에서 읽기유창성을 위한 효과적인 연구방법론임을 입증하고 있다.

영어 수업환경의 유형에 따른 언어불안 정도와 불안요인에 대한 비교분석 (Comparative study on the language anxiety levels and factors in different English class environments)

  • 차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014-6028
    • /
    • 2014
  •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영어수업환경에서 대학생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언어불안정도와 불안요인들에 대해 설문조사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언어불안정도는 수업환경의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또한 교수와 영어 수업반 사이에 나타나는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미한 양상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수업환경과 학습자들의 개별적 특성 양자 모두가 의미 있는 언어불안의 변인임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언어불안요인은 언어불안정도와 달리 수업환경에 따라 큰 차이가 없으며, 전체적으로 의사소통, 대인평가, 시험 등의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의사소통은 수업환경의 차이에 관계없이 거의 일관되게 가장 중요한 불안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육적 시사점으로 학습자들의 영어능력에 적절한 수업환경의 구축, 교수의 영어구사력을 고려한 수업환경의 설계,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긍정적인 수업환경의 조성을 제시하였다.

Finding Ways to Improve the Bilingu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pplying Waldorf Education

  • Kim, Jae-Nam;Moon, Kyung-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233-242
    • /
    • 2019
  • 현재 우리 사회는 전반적으로 출산율이 감소하여 학령인구가 줄어들고 있지만 다문화 학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사회 현상을 맞이하고 있다. 우리 모두는 포노사피엔스 시대를 함께 살아가야 하는 다문화가족 자녀들에게 효과적인 이중 언어 교수학습법이 이루어져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자신 있게 살아갈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족 자녀들이 언어와 문화의 편견으로부터 자유롭고 소통과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중 언어 교수학습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발달주기, 학령, 한국어 구사 능력에 따라 교수학습법을 다양하게 적용한 맞춤형 이중 언어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제시된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 언어 교수학습법은 발도르프 교육원리를 준용한 교수학습법이다.

한국 국제학교에서의 이중 언어를 활용한 수학학습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bilingual learning of mathematics at International High School in South Korea)

  • 공미나;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15-132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일반 고등학교와는 다르게 이중언어로 수학을 가르치고 있는 한국의 경인지역에 있는 A 국제학교에서 학생들이 이차함수와 그래프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영어로 학습하였을 때의 실태와 성향에 어떤 특징이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특별히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내 고1 교육과정을 따른 수학 I 수업을 한국어로 진행하였고 미국 Common Core State Standard을 따른 Algebra II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이중 언어를 활용한 수학 학습이 한국 학생들의 수학 학습능력 향상과 수학 학습 태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는 학생들의 학습참여도와 동기부여가 잘 되었고 대학 진학을 위한 준비 단계로서도 유익한 과정이었다. 둘째로는 본 연구 결과로서 얻게 되는 시사점으로서 소수이기는 하지만 한국에서의 이중언어로서의 수학교육에서는 학생들의 필요와 다루게 되는 교재들의 국가 간의 차이에 의한 영향들을 고려하여 이중언어 수학수업에 보다 효율적인 지도방법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몰입형 가상현실 영어 회화 학습이 언어불안감과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mersive Virtual Reality English Conversations on Language Anxiety and Learning Achievement)

  • 정지연;정혜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21-33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사용한 영어 회화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몰입형 가상현실과 모바일 기기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학습자는 가상 캐릭터와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회화 패턴을 9 개의 에피소드에 걸쳐 학습하였다. 학습을 시작하기 전(사전)과 모든 학습을 마친 뒤(사후)의 언어불안감을 비교한 결과, 언어불안감은 몰입형 가상현실과 모바일 조건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몰입형 가상현실 조건에서 언어불안감이 더욱 크게 감소하였다. 학습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해 각 에피소드에서 회화 패턴을 학습하기 이전의 반응(1단계)과 가상 캐릭터와의 회화 학습이 일어난 후의 문장(4단계)을 문장 길이, 적절성 및 정확성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조건 모두 1단계보다 4단계에서 문장 길이, 적절성, 정확성이 향상되었다. 그 중 문장 길이는 몰입형 가상현실 조건에서 더욱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몰입형 가상현실이 학습자가 영어 회화 학습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언어불안감 감소 및 회화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계독해 데이터셋의 교차 평가 및 블라인드 평가를 통한 한국어 기계독해의 일반화 성능 평가 (Evaluating Korean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Generalization Performance using Cross and Blind Dataset Assessment)

  • 임준호;김현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13-218
    • /
    • 2019
  • 기계독해는 자연어로 표현된 질문과 단락이 주어졌을 때, 해당 단락 내에 표현된 정답을 찾는 태스크이다. 최근 기계독해 태스크도 다른 자연어처리 태스크와 유사하게 BERT, XLNet, RoBERTa와 같이 사전에 학습한 언어모델을 이용하고 질문과 단락이 입력되었을 경우 정답의 경계를 추가 학습(fine-tuning)하는 방법이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KorQuAD v1.0 데이터셋에서 학습 및 평가하였을 경우 94% F1 이상의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최고 수준의 기계독해 기술이 학습셋과 유사한 평가셋이 아닌 일반적인 질문과 단락 쌍에 대해서 가지는 일반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번째로 한국어에 대해서 공개된 KorQuAD v1.0 데이터셋과 NIA v2017 데이터셋, 그리고 엑소브레인 과제에서 구축한 엑소브레인 v2018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데이터셋 간의 교차 평가를 수행하였다. 교차 평가결과, 각 데이터셋의 정답의 길이, 질문과 단락 사이의 오버랩 비율과 같은 데이터셋 통계와 일반화 성능이 서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KorBERT 사전 학습 언어모델과 학습 가능한 기계독해 데이터 셋 21만 건 전체를 이용하여 학습한 기계독해 모델에 대해 블라인드 평가셋 평가를 수행하였다. 블라인드 평가로 일반분야에서 학습한 기계독해 모델의 법률분야 평가셋에서의 일반화 성능을 평가하고, 정답 단락을 읽고 질문을 생성하지 않고 질문을 먼저 생성한 후 정답 단락을 검색한 평가셋에서의 기계독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블라인드 평가 결과, 사전 학습 언어 모델을 사용하지 않은 기계독해 모델 대비 사전 학습 언어 모델을 사용하는 모델이 큰 폭의 일반화 성능을 보였으나, 정답의 길이가 길고 질문과 단락 사이 어휘 오버랩 비율이 낮은 평가셋에서는 아직 80%이하의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 기계 독해 태스크는 특성 상 질문과 정답 사이의 어휘 오버랩 및 정답의 길이에 따라 난이도 및 일반화 성능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고, 일반적인 질문과 단락을 대상으로 하는 기계독해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평가셋에서 일반화 평가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PDF

전문대학 학생의 계열별 학업성취도에 따른 기초학습능력 향상방안 (Improvement Strategy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Junior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Scholastic Achievement Grades of the each Departments)

  • 한성일;이상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524-53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전문대학 학생들의 취업과 진로를 위한 기본적인 능력인 기초학습능력의 저하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기존에 제시되고 시도된 다양한 기초학습 능력 제고방안에 대한 사례 분석 및 서울지역 I 전문대학 사례를 조사하여 언어영역 학습능력에 대한 학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계열별 특성을 도출하여 계열에 적합한 기초학습능력 제고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수행을 기반으로 도출된 결과 및 시사점을 토대로 영역 및 계열에 기초한 기초학습능력 진단 및 평가관리시스템 구축 및 학생경력개발 시스템 내의 기초학습능력 미흡 학생에 대한 계열별 학생지도 방안 적용 등을 통한 본 논문 제안의 활용을 기대한다.

좌측 전두엽 손상자의 화행이해능력 특성 및 화행이해능력과 실행기능의 상관 (Study on the speech act comprehension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eech act comprehension characteristics and executive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a Left Frontal Brain Injury)

  • 김지채;이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495-5501
    • /
    • 2014
  • 본 연구는 좌측 전두엽 손상자(Individual with Left Frontal Lobe Injury, ILFLI)의 화행이해능력을 평가하고 화행이해능력과 실행기능 간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ILFLI집단 18명과 정상 성인집단 18명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화행이해능력검사와 Kims 전두엽-실행기능 검사 중 EXIT를 실시하여 화행이해능력과 EIQ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ILFLI가 정상성인 보다 화행이해능력과 실행기능이 낮게 나타났으며, ILFLI의 화행이해능력과 실행기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LFLI는 화행이해능력에 손상이 있으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언어치료 접근법과 더불어 실행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